학습자료) 수분 퍼텐셜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654502
1문단:1.일반적으로 대기 중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물기둥의 최대 높이는 10m 정도이다.
2.그런데 지구상의 나무 중에는 그 높이가 110m를 넘는 것들도 있다.
3.어떻게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높이 110m의 나무 꼭대기에까지 전달될 수 있는 것일까?
사고: 1번째 문장의 '일반적으로'라는 키워드를 보고 뒤에는 일반적이지 않은 이야기를 해줄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2번째 문장의 '그런데'를 보고 그 추측이 맞다고 생각했다.
3번째 문장을 읽으며 뿌리에서의 물이 어떻게 꼭대기까지 전달되는지에 대해 서술해줄것이라 예측함
2문단:1.대기 중의 수분 농도는 잎의 수분 농도보다 낮기 때문에 물의 표피에 있는 기공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데, 이를 증산 작용이라고 한다.
2.기공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면 물의 통로가 되는 조직인 물관부 내부에 물을 끌어올리는 장력이 생기며,
이에 따라 물관부의 물기둥이 위로 끌려 올라가게 된다.
3.이때 물기둥이 끊어지지 않고 끌려 올라갈 수 있는 것은 물의 강한 응집력 때문이다.
4.물의 응집력이 물관부에서 발생하는 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물기둥이 뿌리에서부터 잎까지 끊어지지 않고
마치 끈처럼 연결되어 올라가는 것이다.
5.물관부에서 물 수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러한 작용을 증산-장력-응집력' 매커니즘이라 한다.
사고:1번째 문장에서 대기 중의 수분 농도는<잎의 수분 농도이기 때문에 물이 잎의 표피➟ 대기로 이동한다는 것을 보고 수분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수분(물)이 이동하는것을 캐치했으며
1문단의 뿌리에서의 물이 꼭대기까지 전달되는데 필요한 과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캐치했다.
2~4번째 문장을 보고 증산 작용(기공을 통해 물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면)이 일어나면 물관부 내부에 장력이 생기며,이 장력에 따라 물기둥이 올라가며
물의 강한 응집력이 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끊어지지 않고 올라갈 수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즉 증산작용-장력-응집력 이라고 정리를 할 수 있게 되고
5번째 문장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납득이 된다.
.
3문단:1.이 매커니즘은 수분 퍼텐셜로 설명할 수 있다.
2.수분 퍼텐셜은 토양이나 식물체가 포함되고 있는 물의 양을 에너지 개념으로 바꾼 것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3.단위로는 파스칼(Pa, 1MPa=106 Pa)을 사용한다.
4.물은 수분 퍼텐셜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이동한다.
5.순수한 물의 수분 퍼텐셜은 0MPa인데, 압력이 낮아지거나 용질이 첨가되어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수분 퍼텐셜이 낮아진다.
6.토양의 수분 퍼텐셜은 -0.0 ~ -3 Mpa, 대기의 수분 퍼텐셜은 -95Mpa 정도이다.
7.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뿌리, 줄기, 잎으로 갈수록 수분 퍼텐셜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물은 뿌리에서 줄기를 거쳐 잎에 도달한 후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사고:1번째 문장을 보고증산-장력-응집 매커니즘을 수분 퍼텐셜로 설명해줄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4번째 문장에서는 수분 퍼텐셜이란 물의 양을 에너지 개념으로 바꾼것으로
'물은 수분 퍼텐셜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한다'를 보고 2문단에서의 수분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한다를 생각해냈으면 잘한것이다
5번째 문장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용질이 첨가되어 이온농도가 높아지면 수분 퍼텐셜은 낮아진다는
화살표로 정리해두면 편할것이다
6~7번째 문장에서 숫자가 제시되어 있다.
토양(0.0~ -3 Mpa) > 뿌리> 줄기> 잎 > 대기 (-95Mpa) 정도로 정리하며 아 증산작용 말하는거구나~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4문단:1.기공의 개폐는 잎 표면에 있는 한 쌍의 공변세포에 의해 이루어진다.
2.빛의 작용으로 공변세포 내부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수분퍼텐셜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물이 공변세포로
들어와 기공이 열린다.
3.그러면 식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통해 포도당을 생산할 수 있다.
4.문제는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기공을 열면 물이 손실되고, 반대로 물 손식을 막기 위해
기공을 닫으면 이산화탄소를 포기해야 하는 데 있다.
5.물과 포도당이 모두 필요한 식물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이 있는 낮에는
기공을 열고 그렇지 않은 밤에는 기공을 닫아서 이산화탄소의 흡수와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냈다.
6.그 결과 기공의 개폐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게 된다.
사고:1번째 문장을 보며 아~ 공변세포를 통해 기공의 개방.폐쇄를 말해주겠구나 생각하자.
2~3번째 문장을 보면서 빛의 작용 ➟ 이온 농도 높아짐 ➟ 수분퍼텐셜 감소 ➟ 기공 열림➟ 이산화탄소 흡수
➟ 광합성 ➟ 포도당
으로 정리해보자
그러면 반대로 빛의 작용이 없음 ➟ 이온 농도 낮아짐➟ 수분퍼텐셜 증가 ➟ 기공 닫힘 ~~➟ 광합성x 로
반대추론을 해볼 수 있다.
이런 반대추론을 해보면 나머지 4~6 번째 문장은 자연스럽게 납득 갈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좋아요 0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나를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
친구데리러가서 대로변에 세워두고 소리100으로키워두니까 러셀에서 내려와서...
-
진실을 밝힐 때가 온 듯..
-
커하임 플레야 기다려라
-
옵만추하실분 0
옵붕이 만두먹이고 추노하기
-
신기하다는거물론 계속 잇는 사람들도 잇지만
-
아무나 구해요
-
야식머글까 8
잠안오니 배고프다
-
인스타에선 전적대 흔적 전부지움
-
귀여운짤 2
확대해서보면더귀여움
-
하는 오댕이
-
물론내차에타면어그로가 ㅈㄴ끌리는데감수를해
-
인스타에서 수학하는땅우랑 마이린 차단함
-
생지할거에요
-
사실 전 차단 0
부러운사람 차단함
-
근데 무서울 뿐이야 2명 정도 있음
-
키 160대남자한테
-
머하지
-
미적분 질문 0
첫번째 사진에서 제가 쓴 식대로 연산 어디가 틀린건가요? 그리고 해설지 4번째...
-
이제와서말하지만 15
최초불합보고 숙소에서 혼자 겁나 울었음... 처음 딱 봤을때는 엥?하면서 점공보면서...
-
레어 기만한다 4
내 레어 짱귀옂지??
-
찾아봐야지
-
1년햇는데 이정도면 적은건가
-
기묘하네
-
매주 서바이벌을 보는데 선생님이 하나틀린사람! 두개틀린사람! 이렇게 손 들어보라고...
-
그 전까진 일만 다니면서 죽은 듯이 살아야지
-
개구리 4
개굴개굴
-
은근 띠꺼운 임티 12
-
엠티가면무조건하겠지...
-
사탐은 솔직히 웬만하면 엔수할땐 안바꾸는게 나은거같음 아무리 안맞아도 엔수하면 달라짐
-
세지 먼가 끌리는데
-
독서의 즐거움 초본 2025.02.21.
-
컨텐츠 많나요
-
하체 무리하다가 토할것같아서 잠시 앉을라했는데 몸에 힘 다 풀리면서 앞 까매짐...
-
술게임 8
개어렵네 하…
-
아제발쳐누워잇을테니까 17
지식을나의머리에넣어주고입에밥도넣러주셈좆은안되
-
위에서부터 가족끼리 먹은 폴드포크랑 텍사스바베큐? 수학여행 전날 친구들이랑 먹은...
-
비록 수능에선 망햇지만 삼수하지만 그냥 현강도 재밌게 다녔고 공부하는거 자체가...
-
네 이건 진심입니다
-
최고의 휴식
-
경제 사문.. 6
츄릅.. 맛봐볼까.. 롤체 마스터도 가야하는데..
-
하나라도 쟁취한 게 어디야~ 3칸 이겼으면 된 거지
-
80점을 받고싶 2
지는 않다
-
팀 경제 화이팅 2
화이팅
-
개강하고 나면 공강 생길때 바로 과방으로 가세요 그러면 거기 상주하는 과방...
-
삼일만에 일등급 받을만큼 쉬운 과목이 아닌데 자꾸 우리 경제 무시하니까 좀 그래
-
하 또시작이노 하고 넘기지 않나 그냥
-
더현대 지하에서 먹은 버거인데 파이브가이즈 사람많아서 그냥 수제버거집으로 갔었어요...
-
나도 우울증만 5년 넘게 앓았고 1년동안 약먹으면서 공부했는걸 실제로 올해 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