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할수있어 라고 말해주세요 [995770] · MS 2020 · 쪽지

2020-10-11 14:44:41
조회수 1,298

생명과학 교감신경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605926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낮을때는 열 발산을 줄이려고 혈관이 상대적으로 수축된 상태인 (가)이고 반대로 높을때는 (나) 입ㄴ다


그래서 보기 ㄱ이 맞는 거고

ㄴ은 틀린 선지잖아요

체온이 낮을때는 정상 체온으로 높여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가)가 흥분 발생빈도가 높아서 ㄷ은 틀린 선지입니다


근데 해설지에서 


피부 근처 혈관에 연결된 교감 신경의 흥분 발생 빈도가 높아지면 피부 근처 혈관으로 흐르는 혈액량이 감소하므로 (나)에서가 (가)에서보다 교감 신경의 흥분 발생 빈도가 낮다.


라고 되어 있는데



교감신경이 흥분 -> 심장박동수 증가-> 혈액량이 많아짐 -> 혈압 상승 (으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혈관은 왜 수축하는 거에요?

체온을 높이려고 그러눈 건가요


만약 체온 상승을 위해서 수축하는게 맞다면 혈액량(혈압)과 혈관의 수축/이완 정도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거에요?


혈관이 이완될 때 단위 시간당 지나가는 혈류량도 많지 않나요?

반대로 수축이 되면 당연히 혈액양도 작아질텐데 이 두가지가 양립할수 있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