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땡 [980562]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0-10-09 16:45:01
조회수 753

스포주의) 엄기은 엄그리니치 2회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574289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번 ㄷ선지. 

대서양면적 판단 시 최근일수록(나이많을수록)

해령발산거리 길다는 거로 푸는건가요?


5번 ㄷ선지.

여름이 남동풍이니까 겨울 북서풍보다

동해안 용승은 여름이 더 잘 나타난다로 푸는건가요?


15번 ㄷ선지.

백색왜성이 초거성보다 주계열단계에서

진화속도 느릴테니 백색왜성 나이가 많다로 푸는건가요?


18번 ㄴ선지.

반지름 비교로 밀도 계산하는건가요?

질량은 크게 신경안써도 되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리니치 팀장 · 647604 · 20/10/09 18:52 · MS 2018

    안녕하세요! 출제자입니다.

    2번.
    맞습니다. 최근에 가까울수록 대서양이 발산형 경계로 인해 점점 확장되어 면적이 커진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5번.
    맞습니다. 여름에는 남풍이 더 활발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에크만 수송에 의한 용승이 여름에 더 활발하게 나타납니다.

    15번.
    맞습니다. 별의 일생 중 주계열 단계가 90%를 차지하는 만큼, 일생 중 크게 차지하는데 전주계열 및 주계열 단계에서 초거성으로 향하는 별이 백색왜성으로 향하는 별보다 훨씬 더 빠르게 진화합니다.

    18번.
    H-R도를 그려보시면 이해가 될겁니다.
    H-R도 상에서 기울기(m)<0 인 형태 즉 대각선으로 등밀도선이 형성되는데 이때 아래로 향할수록 밀도가 커지게 됩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동일 광도에서 표면 온도가 더 높은 별이 등밀도선이 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밀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리니치 팀장 · 647604 · 20/10/09 18:53 · MS 2018

    또다른 질문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시면 됩니다!
    (20번은 난이도가 높은 관계로, 타이핑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관계가 있으니 나중에 해설지 또는 해설강의가 나올 때 그것을 참고해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노땡 · 980562 · 20/10/09 22:54 · MS 2020

    20번은 머리 잘 굴려보니 풀리더라구요. 문제가 전체적으로 비어있는 개념들을 잘 채워주는 정말 도움되는 모의고사였어요. 감사합니다!

  • 단치조현 · 958886 · 20/10/11 23:30 · MS 2020

    해설지 언제 나오나요??

  • 그리니치 팀장 · 647604 · 20/10/12 01:39 · MS 2018

    이번 주 내에 엄기은 선생님께서 해설 강의 또는 해설지를 배포하실거라 하셨는데, 저도 자세한 날짜는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