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471에서 중앙대까지의 기록-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503886
53471에서 중앙대까지의 기록 수기 보러가기 링크
https://orbi.kr/00032131021/53471%EC%97%90%EC%84%9C%20%EC%A4%91%EC%95%99%EB%8C%80%EA%B9%8C%EC%A7%80%EC%9D%98%20%EA%B8%B0%EB%A1%9D%20%EC%88%98%EA%B8%B0%20%EB%A7%81%ED%81%AC
ㅡ수기는 매주 일요일에 올라옵니다.
ㅡ댓글과 좋아요는 항상 감사합니다.
재수는 사람마다 어느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필자는 대학을 죄다 떨어진, 그러니까 1월부터 재수를 시작했다. 그 때 엄마는 필자의 한심스런 끈기와 실력을 알고 있었기에, 저 멀리 지방의 기숙학원으로 가서 공부할 것을 권유했지만 태어나서 지금까지 서울을 벗어난 적이 없던 필자가 그 말을 제대로 들을 리가 없었고, 초딩들도 눈뜨고 못 볼 떼쓰기 끝에 결국 대치동의 한 학원에서 전부터 알던 고등학교 친구(※참고로 영감-Lee다)의 권유로 같은 학원에서 재수를 시작했다.
재수 생활의 하루 패턴은 학교생활 때와 크게 다르지 없었다. 아침 일찍 학원으로 와서 독서실 비슷한 장소에서 공부를 하다가 점심이 되면 대치동 주변에서 밥을 먹고, 다시 돌아와서 공부를 하다가 저녁쯤에 집으로 돌아간다. 뭔가 모르는 게 있으면 학원에 계시던 선생님들한테 질문하고, 문법이나 영어듣기같이 본인의 취약점으로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면 선생님에게 신청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평상시의 재수학원과는 많이 다른 느낌의, 좀 더 자율성을 중시하는 분위기였는데, 실제로 학원의 분위기도 굉장히 조용하고 차분했다. 만약 본인이 진득하게 앉아서 공부만 할 수 있는 성격이었다면 굉장히 잘 맞는 재수학원이었을 것이다.
공부 방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자이스토리와 마더텅같은 문제집을 풀고 채점.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에 적고 복습한다. 수특도 나오지 않았을 때라 볼 ebs도 없었다. 영어와 국어는 여전히 실력이 처참해서 단원 하나를 풀 때마다 우수수 틀려나가곤 했다. 고3때까지 보았던 한국사가 2016년부터 필수 절대평가로 빠졌기 때문에 사탐을 새로 하나 정해야 했는데, 그 때 당시에는 같은 역사기도 하고 공부 방법이 한국사랑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 세계사를 생각 중이었다. 적어도 3월 전까지는 굉장히 스무스하게 흘러갔다. 뒤가 없는 재수생활이었기도 했고, 비싼 돈 주고 재수비용까지 대주는 부모님한테 미안한 마음도 있었고, 성적 좀 올려보자는 마음가짐도 있었고, 공부하기에도 괜찮은 환경이었으니, 그럭저럭 나쁘지 않았다.
그렇게 3월이 되었다. 그 때 학원에서 3평을 보았는데, 성적이 상당히 잘 나왔다. 거의 2년 만에 부모님에게 성적 자랑을 해본 날이기도 했다. 공부를 안 했던 세계사는 5등급이었지만, 수학을 96, 무엇보다도 계속해서 발목을 잡아오던 국어와 영어를 2등급 언저리로 끌어올렸다는 것이 고무적이었다. 부모님도 기뻐했고 필자 본인도 정말 기뻤다. 드디어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아보는 것 같았다.
고3때도 비슷하겠지만 재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3월, 또는 6월이라고 생각한다. 재수 시간은 주변에서 잡아줄 사람이 고3에 비해 부족한 시기이기 때문에 동기 부여가 부족해지고, 이 기간에 해이해지기 정말 쉽다. 초반에 열심히 하는 건 어렵지 않다. 일단 동기 부여가 강할 때고, 무언가를 열심히 하고 싶어하니까. 관건은 이런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다. 공부는 동기부여가 관건이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람이 10달 동안 꼬박 공부만 할 수 있을까? 말도 안 된다. 99.99%의 사람은 몇 달정도 공부 하다보면 분명히 슬럼프가 올 것이다. 왜하는지 모르겠고, 하기 싫고, 지치고, 그런 마음을 제쳐두고 책을 펴고 펜을 드는 이유는 좋은 성적을 받고, 좋은 대학을 가고 싶은 동기가 그 마음들을 넘어서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까 지쳐도 된다. 그게 정상이다. 쉬어도 된다. 힐링도 필요하다. 손에서 아예 떼버리진 말자. 회복하는 게 너무 어렵다. 포기하지도 말자. 회복이 아예 불가능하다.
이렇게 열심히 밑밥을 까는 것을 보면 대충 감을 잡았을 텐데, 필자는 여기서 해이해졌다. 그렇게 되면 어떤 식으로 생활이 바뀌나 하면, 서서히 학원에서 조는 시간이 늘어나고, 하루 계획이 다음 날로 미뤄지는 날이 늘고, 문제집 진도가 느려지며,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나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4시쯤에 학원을 나와서 PC방으로 향하고, 강남대성에서 재수하던 친구 몇 명과 술 마시러 가기도 한다. 지금 생각하면 스스로가 정말 한심하게 느껴지지만 뭐 어떻게 하나, 그 때의 필자는 그랬으니까. '그래서 이새끼 도대체 언제쯤 공부 시작하는거야?'라고 생각하며 수기를 읽어가는 수험생들도 있겠지만, 정말 유감스럽게도 그건 적어도 지금은 아니다.
0 XDK (+1,100)
-
1,000
-
100
-
답변 감사합니다.
-
서너달 지냈고 정보가 많이 없더라고요 생각나는 거 다 쓸 거라 깁니다 이글도 서치가...
-
아침 8시부터 밤10시까지 n제, 과제 벅벅하기..흐흐... 옛날에(?)...
-
외쳐 대킹버드 1
오르비의 정상화 대 킹 버 드
-
수분감 다음 2
뉴런 하는게 정베인가요? 스텝1까지만 다품
-
우흥~
-
영어는 고정1임
-
개추 1
드디어 풀렸구나
-
게이밍 노트북왔다 23
-
센츄... 0
리 스프!!!
-
나도 뱃지 달면 1
은테 벗어날지도..? 칼럼도 쓴다면..?
-
꼭해야함
-
재수학원 0
아파트 1층부터 건물 앞 신호등까지 5분
-
1+1=3
-
자율전공인데 성적제한이 있음 그레서 내가 1지망으로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수 있을지...
-
원래 있던 영언진 아는데 갑자기 막 어느순간부터 유행어처럼 쓴거같은데
-
올해안에 금테 1
가능할까여?
-
집중 안되는건 제가 이상힌게 아니겠죠?? 어려운 응용뭊제 풀때 계속 기침하면 절대...
-
그냥 피지컬로 맞춰버리는데 이래도 되는걸까요..? 재수때 삿던 뉴런 이번에 수능...
-
8시간 하니까 5
못하겠다 쉬면서 오르비에 글싸지르고 다시 수학하고 ㅠㅠ죽겟네
-
생명과학 좋아해서 생1 공부할 때 내용자체는 재밌어하는 반이과틱?한 사람인데 윤리,...
-
사망직전 2
-
서로 비밀로 하기로함 ㅎㅎ
-
[단독] 미국행 러시는 없었다…'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4
[앵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사이에선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를 하면 된다는 반응도...
-
특정되도 알빠노? ㅋㅋ 진짜 특정되면 좆되는 새끼는 장수생에 병신일베페미글 싸지르는...
-
제가 뉴런 내용을 확실하게 체화 하고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쉽지 않나요 심지어 프사도 같은걸로..
-
공부 많이 했는데 오늘..
-
다들 공부하다가 0
한번씩 정신병 올 것 같을 때 어떻게 대처하나요?
-
매일같이 특정당하는중 20
이제는일상과도같음
-
"대학 절반만 갈래?"
-
뀨
-
왕복 두시간임 광역버스 타고 지하철 갈아타서 가는 학원은 수능날까지 체력이 너무...
-
불쌍하네
-
아무리봐도 안할 이유가 없는데
-
다른과목 봐도 서울대갈정도의 실력이 아닌거같은데 허구한날 내신 cc인가요 bb인가요...
-
맞팔구 2
ㄱㄱ
-
전담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외계인 느낌남 에일리언도 아니고 ㅡㅡ
-
고1~고3까지 국영수(미기확 다) 통과 통사 포함하여 수능보다 쉽게 봐서 평가하는...
-
https://orbi.kr/00072134399#c_72134635 요거 쓴...
-
매수업마다 덤앤더머찍음 어이거왜안되지 어이거왜계산안되지 어뭐지...
-
전 사격선수 하고 싶었는데, 가정을 부양해야할 의남자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혹은 자기...
-
걍 해설지랑 책 n회독하면서 중요작품 열심히 공부하면 굳이 살 필요 없긋죠?
-
이미지 적어드림 30
밖에 있는데 배터리 없어서 응답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
-
시간 지나도 덤벙거릴까봐 걱정되네
-
짬@뽕하네 8
-
오르비 화력 테스트 10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