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빵꾸똥꾸 · 256289 · 12/11/15 18:25 · MS 2008

    그냥 평면 그리려고 하지말고 평면을 X 이렇게 그려서 사잇각 세타로 놓고 평면의 방정식에 있는 법선벡터로 푸는 연습 하시고요
    평면 뿐만이 아니라 직선-평면 구-평면 뭐 이런것들도 전부 마찬가지...
    이차곡선은 정의가 처음이자 끝인 것 같고. 나머진 뭐가 중요하지...
    직선의 방정식에서 어떤 한 점 구하고, (=t로 놓고나서) 그걸 다른 평면의 법선벡터랑 내적해서 0만드는 뭐 그런거 연습 많이 하세요 ㅎㅎ;;

  • 여느세대고리여대짱푸 · 320542 · 12/11/15 18:33 · MS 2009

    그냥 오리지날 공간도형은 어케해야되나요??ㅠㅠ..

    정말 궁금합니다 저좀 살려주세요 ㅠㅜ

  • kaiabrid · 390218 · 12/11/15 18:36 · MS 2011

    +로 삼수선 중요합니다. 사실 이과 애들이 잘 모르고 대충 법선 그어서 직각 된다 이렇게 알고 있는게 다 삼수선입니다. 이거 이해 제대로 하셔도 어지간한 문제 다 풉니다.

  • 여느세대고리여대짱푸 · 320542 · 12/11/15 18:55 · MS 2009

    조금더 자세하게 어케해야되나요??ㅠㅜㅠ..

    정말 기벡떄문에 미치겟네요 ㅠㅠ

  • kaiabrid · 390218 · 12/11/15 19:25 · MS 2011

    오리지날 공간도형이라는게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기벡을 포함해서 수학공부 하시는 방법은 그냥 열심히 푸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문제 보고 "어 모르겠네 틀렸다고 생각하고 답지보자. 아 해설 보니 이제 알았다 ㅎ" 이거 잘못된 공부법입니다.

    이 방식으로 양치기 한 다음에 왜 수학 문제 많이 풀었는데 점수 안나오냐고 묻는 분들이 계시지만, 공통적으로 듣게 되는 답변은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일겁니다.

    모르는 문제 있으면 알 때 까지 계속 풀고, 풀은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더 쉽고 간편하게 풀 수 있나, 다른 개념을 써서 풀 수 있나 계속 고민해 보셔야 합니다.
    답지는 과격한 말로 그냥 찢어서 버리세요. 말 그대로 답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일례로 이 삼수선만 할 줄 알면 공간도형에서 털리는 일은 드뭅니다. 틀렸으면 계산을 잘못했던가, 정답률이 20%를 넘어서 안드로메다로 향하는 문제던가 둘 중 하나죠.

  • thinking24 · 402720 · 12/11/15 19:05 · MS 2018

    공간도형은 진짜 정의로 시작만하면 거의 모든문제가 풀리는.. ㅋㅋ 벡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시고 즐기시면 쉽게다가올텐데ㅠㅠ

    저같은 경우엔 중학교때 경시공부를 했는데 그때 기하가 제일 재밌었거든요.. 수식보다 볼거리도 있고요

    그래서 수능준비할때 매일 벡터문제 몇개씩 골라두고 머릿속에서 굴려가면서 풀었었어요

    실제로 매일 그렇게 하니까 기하에서 자신감도 붙더라고요

    잘하려하기보단 일단 매일 몇문제씩 푸시는식으로 가볍게 대해보시는건 어떨까요?

  • 여느세대고리여대짱푸 · 320542 · 12/11/15 19:07 · MS 2009

    제가 벡터부분에서는 그래도 할만하다고 생각하고있거든요

    근대 정말 오리지날 공간도형문제잇자나요;..

    그냥 정말 깜깜해져요.. 아무리 개념공부를해도 그러는데도.. 정말 답답해요..

    방법이없을까요??.

  • 심해 · 416615 · 12/11/15 21:26 · MS 2017

    단면화+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