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해수의 순환부분 짧게 정리한것 틀린부분 수정 부탁드립니다 (워드가 첨부가 안되서 복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918868
전세계 평균 염분: 35PSU(practical실용적인 salinity염분 unit단위)
<표층 해수의 염분 분포>
중위도>저위도>고위도>
적도부근, 60° 부근 바다는 저기압 대라서 강수량이 많다
∴강수량>증발량
중위도 부근은 고기압 대라서 강수량이 그렇게 많지 않다
∴강수량<증발량
*하천수의 유입
하천수가 바다로 유입되면 당연히 염분이 낮아진다
∴대양의 가장자리, 연안(물 따라갈 연, 언덕 안: 바다와 육지가 만난 해역)에서 염분이 낮다.
*빙하의 융해(녹을 융, 풀 해: 녹아 풀어짐)
빙하가 녹으면 염분이 낮고 결빙(물이 얾)
기체의 용해도(녹을 수 있는 양 쉽게 말하면 용매가 용질을 담을 수 있는 퍼텐셜?)
수온, 수압, 염분의 영향을 받는다.
수온: 높을수록 용해도가 낮다. → 녹아 있던 기체를 대기 중으로 방출
수압: 높을수록 용해도가 높다. → 대기 중의 기체가 녹아 든다.
수심이 깊어짐→수온감소, 압력상승→기체의 용해도가 크다.
수온이 올라가면 기체 분자들의 에너지가 상승하여 활발히 움직이기 때문에 기체가 물 밖으로 빠져 나오기 쉬워진다.
수심∝용해도∝ 수압∝1/수온
용존 산소량
<해수면~100m>: 가장 높다
대기로부터 산소 유입, 해양 생물의 광합성을 통한 산소 공급
<800m~1000m>: 감소한다
대기와의 상호 교환 차단, 광합성 생물 감소, 생명체 증가로 인한 호흡을 통한 산소 사용
<1000m 이상>: 증가한다.
생명체 감소, 고위도의 심층해수 유입(고위도의 심층해수는 대부분 빙하의 용해수→온도가 낮으므로 산소가 많음)
용존 이산화 탄소량
수온 반비례, 염분 반비례, 수압 비례
<표층>: 가장 낮음
식물성 생물의 광합성으로 인한 CO2 소비
<500m 이상>이산화탄소가 많은 표층 수 침강→CO2증가
<1000m까지> 상승
호흡하는 생명체의 CO2 방출
<1000m이상> 완만하게 증가 or 유지
해수의 온도 분포
태양 복사 에너지를 통한 온도상승
∴ 위도와 계절별로 온도가 달라진다.
<연중 온도 차이(계절별)>
저위도<고위도
수온의 연직 분포
<혼합층> 물의 깊이와는 상관없이 온도가 일정한 층(섞을 혼, 합할 합, 층층)
온도가 높다, 온도가 일정하다.
바람에 의한 혼합→바람의 세기가 강할수록 두꺼워진다.
바람의 세기는 계절별, 위도 별로 달라진다→ 혼합층의 두께도 계절별, 위도 별로 달라진다.
중위도>저위도>고위도
바람세기∝혼합층의 두께
<위도별 혼합층의 두께차이>
중위도는 바람이 강하게 부므로 혼합층의 두께가 두껍다(편서풍대)
저위도는 바람이 잘 불지 않으므로 혼합층이 얇다.(전향력이 약해서 바람이 약함)
위도50° 이상의 고위도 잘 가열되지 않음→ 혼합층이 잘 발달하지 않는다.
(바람은 기압차이로 일어나는데 저위도는 중위도에 비하여 온도차가 크지 않다 지형마다 가열되는 시간이 달라서.)
<수온약층>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층 (물 수, 따뜻할 온, 뛸 약, 층 층)
아래쪽은 수온이 낮음→밀도가 큼
위쪽은 수온이 높음→밀도가 작음
∴상하 혼합이 어려움(온도 별 물질의 기본 분포: 뜨 위, 차 아래→이미 이 상태임) →대류가 잘 되지 않아 =혼합층과 심해층 사이의 열의 교환을 막는다
여름에 발달, 위도가 낮아질수록 형성되는 수심이 얕아진다.
<심해층>수온약층 아래의 수온변화가 없는 층 (깊을 심, 바다 해, 층 층)
수온의 변화가 거의 없다(태양 복사 에너지가 거의 들어올 수 없기 때문이다)
태양복사 에너지가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매우 차갑다.
∴부피가 매우 크다(전체 부피의 80% 이상)
위도 별 수온의 연직 분포
저위도에서는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다
∴혼합층이 얇다
중위도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분다
∴혼합층이 두껍다
고위도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입사량이 적다.
∴혼합층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저위도에서는 수온약층이 가장 발달한다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가 크다)
고위도에서는 수온약층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깊이에 따른 수온변화가 거의 없다)
해수의 밀도 분포 (해수의 연직 운동을 일으킨다 빽빽할 밀, 법도 도 빽빽한 정도)
일반적인 표층 해수의 밀도: 1.022g/cm3~1.027g/cm3 수심 100m에서는 1.027g/cm3
수온, 염분, 수압의 영향을 받는다. (염분이 수온과 수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
수온에 반비례, 염분에 비례, 수압에 비례
밀도는 해수의 연직 운동을 일으키는 주요인이다.
<위도에 따른 밀도 분포>
50°~60°부근에서 밀도 최대(물이 차가움→염분이 높음)
수온이 높고 염분이 낮은 지역에서 밀도 최소(온도가 높으면 염분이 낮아짐)
<수심에 따른 밀도 분포>
수온 약층에서 밀도가 급격히 증가함(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
심해층에서 일정한 분포(온도가 거의 일정)
수온-염분도
염분보다 수온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수온변화의 폭이 염분변화의 폭보다 크기 때문),(염분은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수심에 따른 해수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수괴의 형성(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해수의 덩어리≒기단 물 수, 덩어리 괴)
수괴의 성질을 형성하는 요소: 수온, 염분, 용존 산소량, 영양 염류
수괴의 특징 분석: 해역의 수온과 염분을 보존한다.
수온-염분도로 수괴를 구분하고 추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
<위도에 따른 표층 수온 분포>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짐, 저위도로 갈수록 높아짐
계절별 수온차: 여름<겨울
<지역별 표층 수온의 분포>
황해: 수온의 연교차가 가장 크다(육지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동해: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조경 구역이 나타남 수온 차이가 가장 크다(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 밀물 조, 지경 경, 물 수, 지경 역)
남해: 수온이 높은 쿠로시오 해류가 영향을 미침 연중 수온이 가장 높고, 해수의 연교차는 가장 작다(쿠로시오 해류는 규모가 매우 큰 난류)
해수의 온도는 육지의 기후에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염분
여름철에 주변 바다의 염분이 낮아진다.(온도가 높을수록 염분이 낮아진다.)
황해: 평균32.1psu
표층 염분이 가장 낮다(동중국해와 황해 연안의 하천수 유입되기 때문)
동해: 평균 33.7psu
계절에 따른 염분 변화가 크지 않다(수심이 깊고, 하천수의 유입량이 적기 때문.)
남해: 평균 33.0psu
염분이 높다(쿠로시오 해류의 영향 때문)
여름철에는 염분이 낮아짐(양쯔강으로부터 유입된 하천수가 유입되기 때문)
육지에 가까울수록 염분이 낮다(육지근처 하천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작 확통 생윤 사문 하
-
7월 더프 결산 0
국어 95 (7번, 38번) 수학 73점 (22번 27번 계산실수 쳐 함 ㅅㅂ)...
-
외모vs학벌 2
20대 초반 여자분들, 댓글에 의견부탁 내 친구랑 이거 가지고 50분 언쟁함. 물론...
-
영어 2등급받음 0
내인생에이런날이오다니 씨발
-
길고양이 핥기 2
-
그래그래
-
백호 한종철 0
고2이구요 내신과 수능 대비해서 방학때 유전을 할라구 합니다 백호쌤 상크스로...
-
다들 개념 암기 하시나요? 이해 -> 암기 요 순서인가요 ㅠㅠ 전 이해만 하면 암기...
-
릴스 보다가 갑자기 화남
-
걔는 96점인데 난 80나옴 ㅅㅂ 존나어렵던데 어땟음
-
1분만에 조회수 50이 나와
-
언미영 생1 화2 건대탈출가능?
-
141528이 다 찍어서 맞힐 수 있게 설계돼서…
-
29점인데 시발 개ㅈ창난건가….하…….. 2,3,4,5 다 나갔는데 이새끼 원래 이래?
-
경제가 아니라 IQ테스트잖아 ㅆㅂ아
-
안풀어봐서 뭔소린지 모르게씀
-
7덮 결과 1
사실 안 봄
-
답지 어디서 볼 수 있나요…ㅜㅜ 답지 있으신분들 부탁드려요?
-
지렸다
-
과연 ㄷㄷ
-
더프 큰그림 2
기강 해이해지는거 알고 정신차리라고 뒤통수 한대 때려준거임 ㅇㅇ 근데 나는 열대정도 맞았음
-
한국사 1등급이라 가정하고 제 2외국어 제외 수능에서 5개틀리면 일반적으로...
-
7덮 결과 6
작수 경제의 악몽이... 참고로 수학 14번 찍맞임
-
가정이 무너지고 0
미적이 무너지고
-
서바 강케이 최빈값 96, 못봐도 92정도 나오는 실력이면 떡을 침
-
무보 컷좀 0
83 77 45 41(언미세지사문) 감삼당
-
7월 더프 결산 0
언매 92 수학 77 영어 75 생윤 44 사문 44 20분써서 언매했는데 언매에서...
-
앞장에서 두개 틀리고 7덮 37점뜸. 보정 1은 뜰까요
-
5덮 100에서 7덮 83됐는데 시험 난이도 비슷했나요?ㅠㅠ
-
담요단마냥 사문만잘봣노 국어수학 보정2안될가 ㅋㅋ 독서6개틀렷어
-
언미지1화2 0
97924750 수학이많이어려웠음
-
사문 두개찍음;;
-
아 허리 아파 0
운동 잘못 했나
-
7더프 개망했네 10
와...이건 공개 불가수준인데 ㅋㅋ 수학 화학만 잘봄 국어 영어 물리 망함
-
화작은 모르겠는데 언매가 워낙 그래서 격차날듯하고 문학에서 걸린분들 있으신가여 그게...
-
45점인데 높2일가요..?
-
7모보다도 어려움? 예상1컷?
-
7덮 국어 0
화작인데 70점이면 4뜰까요..?
-
ㅈㄱㄴ
-
7덮원점수 0
화미영생사 86 88 3 47 37
-
화작 확통 영어 생윤사문 74 72 3 39 39 32322? 정돈 나올려나요?...
-
우선 국어뿐만이 아니라 그냥 공부 자체를 해본적이 없어서 수능이나 공부 관련 정보를...
-
씨발 7모 생윤 50점 6모 2등급이었는데 더프 28점 6
시발 원래 이래요? 진짜 충격먹어서 대가리가 안돌아감 지금
-
ㅋㅋㅋ하…..
-
6모를 워낙 말은거죠…?
-
국어 영어 죽고싶다.... 수학 지구는 마음에 드네요 점수가
-
떠올라서 혼자 웃참 ㅈㄴ함ㅋㅋㅋㅋㅋㅋ
-
덮 더프 생윤 1
앞장 2 3 4 5번 다 틀려서 40점인데 이거 맞나…
-
6점 날림 ㅅㅂ..
밀도가 수온에 반비례하고 염분에 비례하눈건 맞아요. 근데 수온이랑 염분이랑 반비례관계인건 오개념이에요. 염분은 증발량-강수량이나 담수유입량으로 결정되는거예요. (온도가 높을수록 염분이 낮아진다는 말이 틀림) 그래서 위도 50~60이 밀도가 가장 큰건 어폐가 있는것같아요.(어디에 나와있나요?) 실제 위도별 수온과 밀도분포 그래프입니다. 등밀도곡선에서 알수있다시피 온도가 영향을 더 많이주지만 염분이 더 많이 관여하는 부분이 있어요
온도가 높을 수록 수온이 낮아진다 가 틀렸다고 하셨는데 관계도 없는거죠?
온도가 높을수록 "염분"이 낮아진다가 오개념입니다 아마도 난류가 염분이 낮아서 그런 오개념이 생겼을것같은데 염분은 강수량-증발량 & 담수유입두개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온도나 염분 수온약층 등등등을 저.중.고위도 나눠서 그냥 외우기보다 그래프를 보면서 이해하시면서 외우는게 더 나을것같아요
저 글씨체, 저 형태 익숙한데 하이탑인가요?
아뇨 오지훈 oz개념입니다
나머지는 보기에 좋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