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아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785276
주관적이며 뇌피셜로 가득하므로 수험생은 절대 참고해서는 안됨.
심심한 국어 전문가들이 시비를 걸어 주시면 제가 스스로 고민하며 고치기 위한 글이니
(그렇게 안해주셔도 상관은 없구요)
수험생분들은 자료로 사용하지 않아 주셨으면 합니다
지문 분석
2006학년도 6월 모평 문제입니다.
동생의 도화지에 빈 그림이 그려졌다는 것은 무엇일까?
동생의 도화지는 어떤 순수를 의미한다. 순수하다는 것은, 노루의 이미지와 일치하며,
동생은 순수하면서도 상처받은 본재가 되기에 처음 소설의 피 흘리는 노루와 일맥상통한다.
형은 그런 노루가 죽는 것을 괴로워한다. 즉 형이 동생의 그림에 딴지를 거는 것은, 동생이 보다 “독한” 존재가 되어 살아남기를 바라는 것이기도 하다.
47, 48, 50번 문제는 간단하고 46, 49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46번 문제.
우선 1번 선지. 인트로 부분의 형의 소설을 읽은 다음에 그 후의 내용을 읽다 보면 동생의 말대로, 그 소설이 동생과 형의 만남이 계기가 되어 지어진 것이기에 이야기와 연관성에 대해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번 선지.
자명합니다. 사회의 갈등은 드러나지 않습니다.
3번 선지.
간결한 문체와 사실적인 묘사. 이를 통해 노루가 처한 상황을 어느 정도 긴박하게 보여주고는 있으나, 중요한 것은 그 이후의 글에서 계속해서 확실한 서사의 주인공이 장황한 문체로 글을 이어나가고 있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4번 선지.
자명합니다. 읽으면 확실합니다.
5번 선지.
대화 당연히 확인 가능하고, 추상적인 독백도 나타납니다.
1번. 형의 입장에서 드러나는 것입니다. 또한, 동생이 비워 놓은 그림을 그린 이유는 동생이 앞서 말한 순수한 인간의 형태인 아담, 즉 하나님만을 품고 사는 사람을 뜻하는 것인데, 형은 타락해서 인간성을 지닌 인간을 말하고 있으므로 동생의 철학을 정리하지는 못합니다. 동생은 순수한 인간도, 어떤 인간도 아닌 궁극적인 인간을 찾고 있었습니다.
2번. 가장 강하게는 자신을 무시함을 알고 있다 정도입니다. 또한, 선에 대한 해석, 긴장감에서도 크게 드러납니다.
3번. 무언가를 찾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고, 동생의 생각을 어느 정도 간파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찾음이 드러납니다.
4번.
형의 의지대로 그려지기 원하는 것입니다.
5번.
혜인과의 결별이라는 충격 이후 자신의 그림을 완성하지 못하는 동생이 생각을 바꾸기를 원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6분 걸렸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세개합해서 100으로나타냈을때 저는 식욕37 수면욕38 성욕25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