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국어 [720978] · MS 2016 · 쪽지

2020-08-25 03:47:58
조회수 4,691

잘 읽었는데 안 풀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779417

선지 분석에 대해


목차



1. 선지 분석이란?


2. 선지 분석의 필요성


3. 선지의 종류


4. 선지 분석 방법



1. 선지 분석이란?

 

선지 분석이란 말 그대로 ‘선지/분석’ 즉, 선지를 분석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17수능 이후 그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문 내용이 어려워지면서 지문 독해가 중점이 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그에 따라 공부의 중심을 지문 분석에 맞추고, 선지 분석을 경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능을 잘 보기 위해서는 두 지점에 대한 고민이 모두 수반되어야 합니다. 최근의 모평 및 수능은 지문을 잘 읽는다고 해서 예전처럼 문제가 쉽게쉽게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한 선지들은 필연적으로 시간 부족을 발생시키게 되죠. 또한 틀린 문제를 분석할 때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아 실수했네 ㅋㅋㅋ 똑바로 볼 걸 ㅅㅂ’ 


혹은 


‘판단이 안 되는데? 지문 똑바로 읽은 거 같은데;;’ 


이는 모두 선지 분석을 소홀히 해서 일어난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선지분석은 무엇일까?


선지의 의도를 분석하고, 지문에서 답의 근거를 찾아보고, 적절하지 않은 선지를 적절하게 고쳐보고, 사후적인 해설도 생각해보고, 실전에서 어떻게 풀어야 했을지 고민하는 모든 행위가 선지 분석에 해당합니다.


선지 분석은 어느 정도까지 해야 할까요?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수능 1등급을 위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분석의 범위를 지정해드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올바른 공부를 하고 있었는지 점검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2. 선지 분석의 필요성


선지 분석은 다음과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전에서 지문은 잘 뚫은 것 같은데 문제가 풀리지 않는 경우

실전에서 문제를 한 번에 풀어냈는데 틀리는 경우

지문으로 돌아가는 빈도수가 높은 경우


이외에도 실전 혹은 분석 시 발생하는 문제는 많을 수 있겠지만, 결국 수험생들이 가장 고민인 지점은 저렇게 세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세 상황 모두 필연적으로 시간 소요를 발생시키고, 이는 성적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상황은 선지의 근거가 지문의 여러 군데 있거나, 선지 구성이 세밀하여 판단이 힘든 경우입니다. 지문을 유기적으로 잘 읽어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너무 많거나, 선지가 너무 지엽적인 부분을 물어보는 내용일치 문제가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죠.


두 번째 상황은 그럴듯한 선지에 낚이는 경우입니다. 가장 무서운 유형입니다. 깔끔하게 풀고 나왔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결국 틀려있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보통 모평이나 실모에서 이런 경우를 겪으면, ‘아.. 의문사 했네 ㅋㅋㅋㅋ 여기 근거 있는데 개빡치네’ 이런 반응과 함께 별다른 피드백 없이 넘어가게 됩니다. 반드시 피드백이 필요하고, 이런 선지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대책을 강구해야 합니다.


세 번째 상황은 사실 지문을 제대로 독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몇몇 선지의 경우는 지문에서 한 번에 근거가 잡히지 않아 발생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자신이 선지를 대하는 확실한 태도와 함께, 그 선지를 풀기 위한 분명한 목적의식이 필요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어떤 선지 종류가 우리를 괴롭히는지 살펴봅시다.


____________


내일 올라갈 칼럼의 일부임


바로 보고 싶다면 팔로우 ㄱㄱ

____________


완벽한 화작 분석을 보고 싶다면? 

https://www.orbi.kr/00031564975

https://www.orbi.kr/00031564975

https://www.orbi.kr/00031564975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