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러 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749799
임정환선생님께서 직업 귀천 ㅇㅈ은 플라톤밖에 없다고 하셧는데 더프보니까 순자도 직업 귀천 나눈다고 되어잇어서요
어떤게 맞나요?
또 롤스가 공리주의 결과론적 관념에 비판하면서 분배를 결과보다 과정에 중시했는데 더프보니까 노직이 롤스 결과론적 분배에비판한댔는데 왜 그런가요...? 하.. 저 오개념 지리는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롤스 노직 둘 다 절차적 정의 아닌가요
노직이 롤스 비판하는건 최소 수혜층을 위한 분배제도 관련해서 세금 사유 재산권 침해쪽 아닌가...
임정환 선생님 교재 림잇 보시면 순자 가 하는말에 귀천이 있다고 나와요 보니까 형광펜도 그어져 있네요...
롤스 노직 둘 다 자신들딴에서는 절차를 중시한다고는 하지만 노직이 보기에 롤스는 상대적으로 결과를 중시하는 것처럼 보이는거죠 이유는 아시겠졍
상하간의 귀천은 없고 직업간 중요도로 귀천을 나누는 것입니다
분별이 있는 학자는 직업귀천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구용
롤스는 공리주의자들을 비판하는 입장인데, 롤스의 분배하고자 하는 생각은 그 원천이 자연적 의무에서 도출되기 때문이라네요.
또한 노직은, 롤스의 분배원칙이 '정형적 원칙' 이라서 노직의 '비정형적 원칙'에 반하기 때문에 비판한대요
임정환 쌤도 순자가 직업의 귀천이 있다고 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