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경제 질문이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589548

밑줄친 부분이 이해가 안돼요
금리가 상승하면 1년 후 받게될 금액이 상승하는건데
그러면 채권의 현재 가치가 증가하는 거 아니에요?
왜냐하면 현재 사두면 1년 후에 더 비싼 값으로 이익을 내잖아요
그러면 사람들이 채권 사려고 경쟁하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지 않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589548
밑줄친 부분이 이해가 안돼요
금리가 상승하면 1년 후 받게될 금액이 상승하는건데
그러면 채권의 현재 가치가 증가하는 거 아니에요?
왜냐하면 현재 사두면 1년 후에 더 비싼 값으로 이익을 내잖아요
그러면 사람들이 채권 사려고 경쟁하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지 않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110원은 고정이라서 아닌가욥
110원이 고정기라기 보단 이자율이 고정이라서 그런듯해요 내일 이자율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고정된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니까요···?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래요
지문 안 읽어도 님이 어디서 문제인지 알 것 같아서 읽으면 참고될 만한 자료 첨부드립니다.
간단히 말하면 채권의 현재가치는 이자율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식으로 표현됩니다
감사합니당 이해 됐어용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받게 되는 현금액(이자, 원금)은 고정되어 있어요!
그래서 채권을 Fixed Income Securities의 일종이라고 부릅니다. 인컴이 fixed되어 있으니까요.
들어오는 현금액이 고정인데, 시장이자율이 올라가면, '미래에 들어올 그 현금액'들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 fixed 되어 있다는 거에 집중해서 좀 더 찾아봤더니 확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