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올리려면 뭘 해야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551178
재수생이고 지금 양승진쌤 개코제외 풀커리 타고있는데 왜 점수가 안오를까요...
나름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회의감이 드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패로인 좋다 4
안나양 나를 받아줘요
-
저정도면 거의 나혼렙 성진우급인데
-
먼가 멋잇음 단어가
-
너무처참하구나
-
방금까지 비밀번호 치고 열었는데 갑자기 다시 열려고 하니까 안열려서 10분정도...
-
안 되겟다
-
페도필리아임
-
아
-
전 한 과목하면 기본 3시간 이상은 가서
-
꼬얌이 먼 뜻임 9
꼬X 야함 인가
-
옛 추억이 새록새록
-
1초에 한 1200번은 진동하는걸로 알음
-
출근하자마자 집에가고 싶당
-
미사카미코토 공부법으로 수능만점 쟁취하자
-
조별사진을 컨셉으로 찍자 대여하자~ 싫은 티를 내도 계속 대여하자 하는데 조별사진만...
-
연세대 기출로 시작하는 인문논술의 기초 대치 오르비 인문논술 최은식 문제 소개 및...
-
하리보
-
수학 조건 보고 10
자연스럽게 조합이 너무 안됌 하나하나의 의미를 너무 깊게 생각하다보니까 조건 쓰는...
-
원래대로
-
교복 상의 배꼽부분 도려내고 배꼽티 입고다니네
-
프로,, 펠라,, ㄷㄷㄷㄷ..
-
다음날 6모라 기숙 다시 들어가야 될텐데 단체로 버스타고 투표하고 오나? 근데...
-
[속보]한 달 무단결석 의대생 1916명, 오늘 '제적' 통보 12
[서울=뉴시스]
-
모 지방의 학종 5.0이 영재고 과고가 맞다한들 문제인건 21
1. 서울영재고여도 5.0인거면 내신 완전 버렸다는 아니어도 저 성적대면...
-
펠라 14
치
-
이제멀미로 토나올것같다
-
입결표에 찍힌 내신 점수가 진짜 의미없는듯 학종이면 표준편차/소속 학교/개개인의...
-
지문 난이도 '최상' 정보량 '최상' 정답 '1번'
-
강사들은 너무 기가 쎔 10
강사여서 그런가봄 약사는 기가 안 쎌꺼임
-
시집을 샀어용 10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를 온전히 느낄 수 있는 게 너무 행복하네요 언젠가는...
-
원래 여기서만 뚝뚝거리는데 가만히 누워있어도 너무 아파요
-
작수 4라 이번년도에 이미지 미친개념부터 풀커리쭉타려해서 수2 미친개념 완강함....
-
마제소바 먹고싶어요
-
좋긴한데 너무 무난하다
-
뭐지 2
음
-
빌런 왜케 많냐 3
그럼 난 히어로임
-
레전든데 3
https://orbi.kr/00073004979 이 글을 읽고 문학의 고수가 되진...
-
만년필 명품 수시빌런 ㅅㅅ
-
지금은 대학교 수업때문에 일정이 안맞으니까 여름방학때 한번 말씀드려볼까... 자의식...
-
이재명보다는 2
짤녀를 다음 대통령으로 하자.밀레니엄 세미나의 일원이기도 하니까 웬만한 국가운영...
-
나 태어남
-
3번을 못 푸는 사람입니다.
-
나랑 같은 고딩인데 존나무섭네시발
-
아닌가? ...
-
세이버가 더 대통령에 어울린다고 생각함 심지어 통치자 경력직임
-
응 ㅇ ㅐ 1
나 아가
-
순천향대 의대 학생부 종합(최저 X, 지역인재 아님) 내신5등급 합격
-
야하네
모호한 개념 복습
뭘 했는지보다 하루 동안 몇시간동안 어떤 방식으로 몇 문제를풀었는지/ 강의 복습 정도와 강의 진행은 어떤 템포로 나가고 있는지 등을 써 주시면 더 좋은 답변을 얻으실 수 있을 거에요
여기 있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한 선생님 풀커리 타는 거는 다 하고 있는데 다들 성적이 오를 리는 없죠..ㅎㅎ
좀 더 자세히 적어 주시면 피드백이 좋게 갈 겁니다
쓰려고 하다가 어차피 아무도 안볼거 뭐하러 쓰나 했는데 생각보다 댓 달아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놀랐네요.. ㅋㅋ
하루에 비킬러/준킬러 과제 30문제정도(교육,사관,과년도ebs)하나+양가원코드(킬러N제)5문제정도 하고있어요
모의고사 보면 항상 틀리는건 사인,코사인법칙활용문제이고
도형속극한이랑 등비급수문제는 어쩔땐 맞고 어쩔 땐 틀려요.. 특히 도형속극한은 맞긴 했는데 필연적인 풀이가 아니라 어떻게어떻게 비집고 하다보니 맞춘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ㅠㅠ
제가 볼 때는
성적이 오르기 위해 소화해야 하는 문풀 양에는 많이 부족한 거 같구 (자기보다 윗 등급 애들은 이미 더 해둔 게 많기 때문에 그들보다 좀 더 많은 문제 풀고 더 많이 공부한다 해도 그들은 이길까 말까입니다..) 님이 할 수 있는 최대를 자꾸자꾸 늘려 나가세요.
그리고 필연적이지 않은 풀이로 이렇게 하다 저렇게 하다 풀리면 풀리고 안풀리는 건 또 안풀리고 하는 거는 새로운 문제를 덜 풀어봐서라기보다는 개념+기출의 소화 정도가 좀 체계적이지 못해서일 가능성이 높은 거 같네요.
적어도 기출을 풀 때엔 사후적으로 풀이를 보고 이해하는것에서 그치지 말고
내가 푼 풀이든 선생이 푼 풀이든 그 풀이의 필연성을 계속 판단하시고 좀 비판적으로 바라보셔야 할 거에요.
과연 이 풀이가 진짜 교과과정에 충실하고 정당한 풀이가 맞는가?
그냥 문제 여러 번 본 선생이 일반화해서 그냥 편하게 못들어지게 푸는 것은 아닌가?
등등울 계속 비판적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양이 많이 부족하군요.. ㅠㅠ 기출서를 하나 더 껴서 기출을 더 봐야할까요..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기코를 다시 체계적으로 보시는 게 어떨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