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이해가 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382634
"모든 판단은 'S는 P이다.'라는 명제 형식으로 환원되는데, 그 가운데 이성이 개념을 통해 지식이나 도덕 준칙을 구성하는 '규정적 판단'에서는 술어 P가 보편적 개념에 따라 객관적 성질로서 주어 S에 부여된다."
전기추2 18강 찍으려고 준비하다가 멍때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위 문장 이해가 되나요? 혼자서든 강의를 들어서든 이해했다면 이거를 도대체 어떻게 이해했나요? 지문에 추가설명도 없어서, 도무지 무슨 말인지 감도 안 잡힐 텐데... 어떤 식으로 이해했는지 알려주시면 강의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덧: 위 문장을 이해하려면 분석철학의 역사에 대해 아주 대략적으라도 이야기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시험지문에 그런 내용이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 답답해서 그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저기 관리자한테 따로 방파여서 저격도먹어보고 현실에서 얼굴도 보고 쟤네가...
-
나 괴롭히지마 1
ㅠ
-
작수70초반대로 3떴는데 부산대상경이 목표입니다 영어 단어,실모만 조금씩하고...
-
김수문ㅋㅋㅋㅋ
-
금테까지 두명! 1
저를 금테로 만들 역사적인 두분 구합니다!
-
어 형은 기하물2지2야
-
간단한 개념도 조온나게 연결선으로 표현해야함.. 그냥 글로 적는게 나은거같음..
-
유빈이 뭔일이래 4
음지방이 어쩌구 plp방이 어쩌구 하던데 뭔 말인지 모르겠네
-
저 병신이 저 대학을 다니는게 말이 안됨
-
이벤트 결과 발표! 10
만점자는 총 2명으로 모두 미적이었어요 미적 평균은 84, 중앙값은 89로 확실히...
-
웩 0
토
-
고교학점제 도입 석 달…벌써 폐지 청원 나선 교사들 왜 2
[주간경향] 경기도에서 두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 A씨는 최근 서울 강남에 있는...
-
얼마나 공부가 하고싶으면 저렇게 민폐를 끼치면서까지 꾸역꾸역 남아있을까.. 하는...
-
강의듣는거보다 읽거나 보는걸 선호함
-
사랑이뭔데 11
시발..
-
지구 커리 0
지금 오지훈 선생님 매개완 완강했고 oz기출도 3회독 했는데 이제 무슨 문제를 풀고...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2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현역5덮 2
현역 미적 5덮 80이면 2뜨나요?
-
좀 아쉬움 네...
-
왜냐면 그녀는 나에게 계속 올라
-
사실일치 ㅈㄴ 어려운데 이거 어떡하냐
-
짝을 지어야대구법아닌가요? 1연 6연과 2연 7연은 멀리떨어져있는데 왜 대구죠?...
-
1.7 환불해라 ㅅㅂ ㅋㅋㅋㅋㅋ
-
너와 마신 커피 한 잔에도 난 세상을 가졌어
-
백투더2022 0
아자아자
-
도대체왜나는가질수없는거야
-
뭔지문이 나오든 대부분 내용이 "자연좋아임금좋아나는신선속세병신" 이잖슴
-
궁금한데 패스 덜컥 사긴 싫음 후기좀요
-
현역 5덮 결과 7
언매90 확통76 영어95 한국사35 화1 35 (…) 지과 27 (……..)...
-
뭔가 상방 높이는 공부만 하고 하방 다지는 공부는 안 한 느낌임 2
왤케 불안하지...
-
그래그래 물2는 완강한지 3년됐어
-
마조히스트같이 수업끝날 때마다 질문하러 다니는 중임
-
문학이독서보다더어려움시발
-
원래 이 회차는 등급컷이 없는건가요? 시즌2 1회차는 얘가아니라 2호에 해당하는거...
-
비용을 제가 마련해야 해서 주말 오전 알바 중입니다 알바비로 장학 되는 관독 등록...
-
나임
-
언매 92 최근에 철학지문 많이 봐서 철학지문이 좀 익숙해진듯 미적 96 14번...
-
논술 학원을 다니려고 하는데 약술형 논술을 지금 부터 준비해야하나요? 인문 논술...
-
2개틀리면댐 아화학은1개네
-
수열이 헬이라는데 12
등차기도 하고 일단 가형30번찌발샊이보단쉬워서버티는중 미적하면좋은점킬러문제버틸체력이길러짐
-
만점자가 없는 관계로...
-
먼가 스타일이 좋아보임
-
5덮 등급 예상 2
화작미적 68, 92 보정 전 후 몇정도 뜰까요??
-
오늘의 와인 3
아빠가 어디선가 받아옴
-
친구가 없니 5
외 자꾸 나한테 연락해
-
국어 공부하면서 시를 많이 접하다보니 시문학을 즐기는 이유를 알 거 같음 5
솔직히 고전시가는 그 특유의...
-
오늘의 저녁 5
너!
-
저번에 결혼식 갔는데 신부한테 고백받고 신랑신부 파혼당했거든
저는 저거
이성이 개념을 통해 지식이나 도덕 준칙을 구성하는 '규정적 판단' 이라고 정의 해줘서
술어 P가 보편적 개념에 따라~~를 규정적 판단의 예시로 보고
'보펀적 개념에 따라'를
규정적 판단의 정의에 써있는 '개념을 통해'랑 똑같은 말로보고
'객관적 성질로서'를
마찬가지로 규정적 판단의 정의에 써있는
'지식이나 도덕 준칙을 구성하는'
으로 바꿔 읽었습니다.
실제로 지식이나도덕 준칙을
객관적 성질로 읽어도 말이 맞고해서
그렇게 공부했던거 같아요
제가 잘못 읽은건가요?
그렇게 읽으면 주어 S와 술어 P의 관계가 누락되는 것 같아요.
언제 기출인가요 지문도 같이 첨부해주시면 좋을까 같아요
(전기추2 18강) 2015 수능A [27~30] = 2015 수능B [27~30]입니다.
전 보편적 개념을 그냥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술어p= 주어 s의 객관적 성질) 이라는 관계가 규정적 판단에서 성립한다라고 이해했어요
그냥 술어 p가 주어 s의 일반적인 성질을 설명한다는 뉘앙스로 이해했어요
무슨 소리지 하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갑니다
ㄹㅇㅋㅋ
??? : 아~~이게뭐지 이러면 바보천치되는거야이!
팩트 그 자체로 받아들이거나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죠 안되는거 몇시간 동안 붙잡고 있어봤자 무슨 말인지 몰라요
맞습니다. :)
이거지
그냥 슥 넘기고 푼거같네용 ㅎㅎ
규정적 판단은 이성이 중요하구나. p는 주관적성질이 아니구 객관적성질이구나. 그게 s의 요소가 되는구나.. 이정도만 이해했습니다.
국어 진짜 어렵네요..
위에도 있지만, "무슨 소리지 하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갑니다" 이게 보통 정답입니다. ㅎㅎ
당연히 한번 쓱 읽고 이해는 안돼서 다시 읽었는데요, 그 과정을 그리며 대응시켰습니다. 규정적 판단의 역할을 생각했고요.
또 규정적 판단이 왜 있어야 하는가를 무의식적으로 생각한 것 같아요.
그런데 납득을 한 것 뿐이지 이 내용 자체에 대해 깊게 파고들었다는 느낌은 아닌 것 같아요
딱 문제 풀만큼만 받아들이면되는데ㅠ
아 시험 풀 때는 붙잡고 있으면 안 되죠~ 근데 공부할 때도 30분정도 붙잡고 있다가 안 되면 넘겨야한다고 생각해요
모든 판단은 'S는 P이다'의 형태로 환원됨.
특히, 판단 중에서 '규정적 판단'이라는 게 있음.
규정적 판단에서는 '이성'이 중요한데, 이는 차치하고
술어 P가 주어 S에 대한 '객관적 성질'의 역할을 한다는 게 특징임.
과 같이 이해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판단에서는 사람에 따라서 s는 p이다 라고 판단하는 사람도 있고, s는 p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규정적 판단’ 이라는 녀석이 있는데, 여기서는 수학적 원리와 같이 s는 p이다 이외의 판단은 존재해선 안되므로(존재할 수는 있지만 그놈은 이단이므로 돌로 쳐 죽여야 함) p는 곧 s와 사실상 분리 불가능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나아가 다른 논리를 전개할 때에도 p가 s의 위치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즉, p는 s의 단순한 하나의 속성이 아니라, p가 s를 ‘규정’ 한다.
저 문장만 보면 저는 이렇게 이해한 거 같네요... 근데 일단 넘어가고 뒷부분 읽는게 맞는듯ㅋㅋㅋ
'p가 아니다'도 '(~p)이다' 꼴로 나타낼 수 있죠 :)
음 그게 어떻게 문제가 되나요...?
무슨 말인지 정확히는 이해되지 않지만, 앞 문장에 '이성'이 '개념'을 통해 어쩌고 저쩌고 했으니까 '술어 P가 주어 S의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성질이 된다.' 정도로 해석할 것 같아요;
S가 P이다가 규정적 판단인건 일종의 정의느낌인거고, 무언가 정의할땐 보편적 개념에서 객관적 사실을 얻어내는 특성이 존재하니 ok 뭐 이런식으로 현역때 이해했던듯해요
'S는 P이다'가 지식, 도덕준칙이 되기 위해서는 술어 P가 객관적 성질로서 주어 S에 부여되어야 한다 라고 느껴지네요.
이성이 규정적 판단을 하는 것이라면 보편적 개념에 따라 판단하는건 당연한 것이고요.
'모든 생물은 죽는다'를 이성적으로 알수있고, 논리적인 추론을 통해, 예를들면 연역법으로 모든 사람은 생물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로 추론할수 있을때, 비로소 사람이 죽는다라는 성질을 부여받는 것이 판단이다..?
이런 문장은 그냥 넘어가는게...
지문만으로 뭔가 설명하려하면 할수록 꼬일거같은데..
예외가 있는. 보편적이지만 반례가 존재할 수 있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