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avroche · 799225 · 20/07/28 20:58 · MS 2018

    하강적 이미지는 2번과 5번 모두에 사용되었는데
    5번의 하강적 이미지가 부정적 느낌과 연관되는지?

  • Sweet한돌 · 954146 · 20/07/28 21:10 · MS 2020

    아 그러면 5번은 부정적 이미지가 아닌가요??
    그러면 1번, 3번도 부정적 이미지인데 왜 2번만 정답인가요..?ㅜㅜ

  • Gavroche · 799225 · 20/07/28 21:11 · MS 2018

    (나)에 드러난 하강적 이미지는 구체적으로 이별의 슬픔이므로..

  • Sweet한돌 · 954146 · 20/07/28 21:20 · MS 2020

    그럼 1번도 비슷하지 않나요??
    '이별'이라는 키워드만 보면 2번에 좀 더 가깝긴 한데,
    1번은 아들 등 다른 가족이 아닌 이성과의 관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1번이 더 가까운 면도 있지 않을까요?

  • Gavroche · 799225 · 20/07/28 21:24 · MS 2018

    1번 시에서 주되게 드러나는 정서를 나타샤에 대한 그리움과 이별의 슬픔으로 보기도 힘들고 설령 그렇게 본다 하더라도 여기서 내리는 눈은 순수, 현실 초월과 관련이 있지 이별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 Sweet한돌 · 954146 · 20/07/28 21:28 · MS 2020

    아 그러면 1번 시는 그리움에 대한 시가 아닌가요?

  • 배성민누가막을껀데 · 968530 · 20/07/28 21:11 · MS 2020

    한밤중에 부는 바람이 '애기'를 떠올리게 하는 것 같아용

  • Sweet한돌 · 954146 · 20/07/28 21:17 · MS 2020

    바람은 하강적 이미지가 아니지 않나요?

  • 배성민누가막을껀데 · 968530 · 20/07/28 21:34 · MS 2020

    은수저에 맺힌 눈물이 어찌 보면 하강적이라고 볼 수는 있을것같아요(떨어진다는 내용은 없습니다만)

    산이 저문다는 게 애기가 묻힌 산에서 해가 저문다는 뜻이긴 한데 파악하기 힘들기도 하고

    부정적인 감정은 무서움보단 슬픔을 의도하신 듯 합니다.

    내신이라면 역시 선생님께 질문하시는 것이 제일 효과적일 거에요.

  • Sweet한돌 · 954146 · 20/07/28 21:37 · MS 2020

    문학 몇번 질문해봤는데 쌤들마다 맨날 답이 다르더라고요ㅜ학교쌤도 별로 신뢰성은 없는것같아요

    아 일단 어느정도 알것같아요ㅜ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