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화산지형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230575
'용암 대지와 나리 분지에서는 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X)'
이렇게 돼있는데
나리분지->안산암질->현무암질보다 배수안됨->논농사(벼농사)
이렇게 생각해서 O를 체크했는데 왜 X인가요?
다른 조건은 없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껏해봤자 대학생인 커뮤니티에 분탕러도 많은거같고 죄다 정치전문가 ㅋㅋㅋㅋㅋ 나라...
나리분지는 밭농사 아닌가여?
왜 그런지 설명도 필요할것 같아요ㅜㅜ
칼데라라서 물을 못 지킨다고 해야하나 그래서 밭농사만 되는걸로 알고있어요
칼데라도 천지처럼 물 모일수도 있지않나요??ㅜ
화산재로만 이루어져서 물이 못 모여요
아 백두산의 칼데라와 울릉도의 칼데라는 지질구조가 좀 다른가요?
용암대지 현무암질이라 물 잘 빠져서 벼농사 못함
나리분지도 용암대지인가요?
나리분지도 밭농사에요 화산재 덮였다고 기억하는데 배수가 잘돼서 저는 그냥 용암지형이라고 기억했어요
아하.. 일단 대충 알것같아요
감사합니다
용암대지가 현무암질이라서
그럼 안산암질은 어디서 나오는건가요?? 울릉도는 현무암질 아니라고 알고있었는데 아닌가보네요ㅜ
울릉도 현무암질 아닌거 맞아요 조면암이랑 안산암이고 나리분지는 칼데라분지고 용암대지는 아니예요
아아 근데 해설에는 나리분지에서 벼농사가 안된다고 돼있어요!
오히려 용암대지가 철원때문인지 별다른 언급이 없네요
현무암질 기반암이랑 용암대지랑 구분을 해야할 것 같네요 전자는 배수 잘 되서 벼농사x 인데 후자는 현무암질 용암이 흐르면서 땅을 메워서 벼농사o 칼데라분지 벼농사x
요약하자면 현무암질 기반암 자체는 배수 잘되서 벼농사x 밭농사o 인건 맞음(ex제주도) 그렇지만 용암대지는 현무암질 용암이 흐르면서 지표를 메꾸고 평탄하게 만들어서 벼농사o(ex철원)
철원은 한탄강 때문에 논농사가 된다고 들었는데 이건 아닌가요?
그리고 저건 나리분지에 대한 설명은 아니지 않나요..?ㅜ
애초에 용암대지에서 농사짓는건 철원같은 특수한 경우 빼고는 없어요 다 밭농사임
아하.. 감사합니다
안산암질과 현무암질의 차이는 용암의 점성입니다. 즉 암석이 되기 이전에 용암의 형태일 때 용암의 특성에 따라 현무암과 안산암으로 나누어지는 것입니다. 안산암이 점성이 컸기 때문에 용암이 덜 퍼졌을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현무암보다 물이 덜 빠지는 건 맞을 겁니다. 그러나 안산암도 결국 용암이 식어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용암이 식는 과정에서 절리는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현무암이 배수가 잘 되는 것은 절리가 정말 많기 때문입니다. 너무나도 빠르게 식어버리기 때문에요) 즉 절리가 현무암보다는 적지만 벼농사를 할 만큼 물이 덜 빠지지는 않습니다.
결론은, 현무암보다 물이 덜 빠지긴 하지만 벼농사를 할 만큼 물이 덜 빠지는 것은 아니다. 입니다. 도움 되셨음 좋겠네요.
아하 감사합니다
그럼 철원 제외한 화산지형은 모두 밭농사라고 봐도 무방할까요?
네 수능 한국지리 한정으로는 그렇게 보셔도 무방합니다.
아항ㅋㅋ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