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서를 만들려면 가장 중요한게 무엇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130079
왜라는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이라는 말을 중심으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의문점을 던지고 한번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과를 바닥에 떨어뜨린다고 생각해 봅시다.
'왜 사과가 바닥을 향해 떨어질까? '
이의 의문을 가집니다.
이 의문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뭔가 이상함을 느끼시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사실 이 상황에는
전제 하나 빠져있습니다.
이 질문은 완벽한 질문이 아닙니다.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대체 왜 그럴까요?
아래것과 비교해 볼까요?
어떠한 꼬마가 사과를 바닥에 떨어뜨린다고 생각해 봅시다.
'왜 사과가 바닥을 향해 떨어질까? '
이의 의문을 가집니다.
그렇습니다.
의문에는 '질문의 대상' 이 필요합니다.
요점이 무엇이냐 하면
사과가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에 대한 대답은
길가던 꼬마와 강의실에 앉아있는 대학생들에게 대답할 때는
서로 다르게 대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당연히 강의실에 앉아있는 대학생들은 길 가던 꼬마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있고
(물론 아닌경우는 배제하고 일반적인 경우를 이야기 하겠습니다.)
이에 수준 높은 대답을 이야기 한다면 알아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꼬마는 그렇지 않습니다.
유치원, 초등학생 과학 수준에 입각한 지식을 가지고
사과가 바닥을 향해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서는 그 근본적인 원리에 대해 답할 수 없습니다.
단지 '암기' 하고 알아 두는것에 그칠 뿐입니다.
길가던 꼬마에게 그 자리에서
중력이라는것은 두 질량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고, 두 질량의 크기의 곱에 비례하고 두 질량 중심 사이의 거리의 제곱의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하며, 힘의 방향은 질량체의 중심 방향으로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질량체는 그 중력을 받아 알짜힘이 지구 중심방향으로 받으므로 바닥으로 떨어지며, 가속도 운동을 하게 된단다.
라고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알아 듣지 못할 의미없는 대답입니다.
그냥
지구라는 아저씨가 물체를 너무 사랑해서 당겨서 안아주려 하기 때문이야!
이게 더 효과적인 대답일 것입니다.
역으로 여기서 무엇을 생각해 볼 수 있느냐
저는
노베이스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에게 개념서를 제공하여 어느정도 베이스가 쌓이고 고수가 될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싶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문제가 '노베이스' 라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지식 수준이 구비되어 있는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노베이스가 중등 수학 과학을 못하는 정도이며, 초등학교 지식 정도 수준만 아는 사람인지
아니면, 고등학교 수학 지식은 어느정도 구비되어 있는 상황인 사람인지
모르겠다는 뜻입니다.
확실이 어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독자의 수준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그 독자에 맞게 설명하는 방식을 달리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서울대생들에게 개념을 설명하는것과
6학년을 마치고 이제 중학교에 올라가는 학생에게 설명하는것은
엄연하게 달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에이.. 수능을 공부하는사람인데 초등학교 수준이 있겠어?' 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어 말씀 드리자면
수능을 보시는 분들 중에는 중학교때까지 공부 안하시다가 고등학교 3학년되어서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 분들을 비하하는것은 아니지만, 그 분들에게 수능 과목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이전에
이에 선행되는 초등, 중등수준의 수학과 과학을 알려 줘야 그 다음 수능과목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념서를 제작하는데 가장 큰 골치거리입니다.
내가 만든 개념서의 독자는 저 지식의 바닥에서 출발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고
일전에 수능을 본 적있는 흔히 베이스가 있는 학생이 볼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는 초등 지식까지 적어둔 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후자의 경우는 초등 지식까지 포함된 책은 내가 필요 없다 생각할 것이고, 자신이 얻어갈 것이 없다 할 것입니다.
이 둘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저는 일전까지 메카니카라는 개념서를
후자의 경우를 생각하며 만들어 왔습니다.
하지만 평가는
베이스가 없는 사람들은 읽기가 어렵다
라고 답변이 왔습니다.
베이스를 쌓는다
베이스를 공부한다
이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끝까지 고민하고 고민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선에서부터 질문을 하고
어느 정도 선에서부터 설명해야할지
아직까지 고민입니다.
하지만 이 동영상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smc7jbUPiE
여러분들이 노베이스 상태에서 머문다면
저는 왜 사과가 바닥을 향해 떨어질까
에 대한 대답을
지구라는 아저씨가 물체를 너무 사랑해서 당겨서 안아주려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해야 합니다.
노베이스에 대한 해결은
저는 본인 스스로 라고 생각합니다.
수능 개념서는
본인이 일정 수준의 중 고등학교 정도에 대한 지식을 구비하고 있고
이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상태인 학생들이 봐야 합니다.
그런데 그 선행되는 지식이 없는 노베이스 상태의 학생들이 본다면
당연히 '이건 너무 어렵고 노베한테 읽기 어렵게 써놨어' 라고 할 것입니다.
자신이 일전에 중 고등학교때 기본적 공부를 하지 않았던것을 생각하지 않고서 말이죠.
비판이 아닙니다.
개몽할 때가 되었다 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본인이 어떤 개념서를 보기가 어려운 상태라면
그 개념서 보다 한단게 낮은 레벨의 책을 보는게 어떨까요?
저도 생전 처음보는 생명과학이나 지구 과학도 처음 시작은 수능특강으로 했습니다.
그러고 문제를 풀고
문제가 틀리면 내 해석과 해설지 해석을 비교해 보고
공부는 자신이 찾아서 해야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누구든 떠먹여주는 그런 개념서가 필요하기 마련이죠
쉽게 예를들어
학생들이 인터넷 강의를 많이 들으실 것입니다.
보시면 개념 강의 자체가 너무 어려워서 노베이스 학생들은 들을 수 없다는 강의가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그럴까요?
사실 그 강의를 듣기 위해서 선행되는 지식을 공부하고 그게 왜인지에 대해 본인이 찾아보는 과정이
학생들에게 필요합니다.
그래야 본인이 본인 스스로 그 개념에 대해 절대 잊지 않을 것이고 본인것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왜 라는 질문도 선생님이 해결해 주길 바라고
거기에서 파생되는 모든 질문들도 모두 답변해 주길 바랍니다.
여기에서 선생님과 강사가 큰 역할을 합니다.
모든 질문에 대해 답해주는 사람일 것이니까요.
하지만 개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내가 책을 읽다가 생긴의문은
그 질문에 대해 답변을 바로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니 노베들은 당연히 읽을 수 없습니다.
그럼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사실 없습니다.
있다 하더라도 책 맨 뒷장에 모르면 연락하라고 제 번호를 남기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스스로 그 의문에 도전해 보고자 하는 노력을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내가 어떤 개념을 모르면 한번 찾아보고
진짜 모르겠으면 생각해 보고
생각을 해봐도 모르겠으면 다른사람에게 질문해 보고
이 과정이 여러분들의 수능 개념 성장에 매우 도움이 될것입니다.
메카니카는 여러분들이 어느정도의 지식이 있다는 가정하에 접근해야 하는게 맞을까요?
댓글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느 정도 베이스 있다는 가정 하에서는 그냥 반수해서 6평 후 3개월 + 9평 후...
-
중3때 완자 독학으로 물1 한 바퀴 고1때 통합과학 물리 친구들한테 가르쳐줘서...
-
한달 남았다
-
그렇게 중요함?? 고려대 같은 경우에는 학추나 학우나 최저랑 조건들이 비슷하지...
-
나 초등학교 입학할때 태어난 애들인데 ...
-
수능으로 지1 지2 가 나을까요? 지1 화1 이 나을까요? 전자 후자 뭐가 더 등급따기 유리한가요?
-
제곧내
-
AD Garden VPN???이란 게 깔려 있는데 이게 뭐임???? 누가 깔앗지
-
수도권 끝에 사는 고3이라...자금껏 학원없이 인강만 들어오다가 올해 시대인재...
-
얼마나 되는지 한번 보자
-
이벤트당첨인증) 3
감사합니다 수험생도 아닌 사람이지만 커피는 좋아하므로 꺼억하겠습니다~~
-
17개중에 그나마 괜찮은건 사문
-
배도안고픈데 끊임없이 먹음 학원끝나고 음식점을 지나치치못하고 항상 머 포장해와서...
-
내신 6인데 생기부 꽉채워져있어도 많이 손해에요?
-
팀07의 시대가 왔다 10
이제 고닉분들 대학가서 핑크빛인생 사실동안 우리가 오르비 먹으면 된다 이말이야~
-
n수의 위험성 읍읍
-
기엽떡볶이면 더 좋았을듯
-
이런거 있어야 나중에 억울한일 안당하지
-
내 로또최고기록 0
4등이 5만원인가 그거 엄마가 사다준로또중에 있었음
-
오늘의 저녁식사 4
그것은 엽기떡볶이였구용ㅎ
-
언제되냐 나도 인생 역전 좀 해보자
-
5등
-
실력이 늘어도 2
부족한점도 같이 늘어간다
-
대체 어떤 구조로 돈을 벌길래 저리 많은 공급을 감당할 수 있는가 궁금할 지경......
-
설뱃들을찾아요 1
친구랑 갑자기 서울대 가는데 경치좋은곳 추천좀요
-
구란데 7
댓글 달리니 좋네요
-
자운과 필트오버
-
실수가 더 늘어버렸어
-
트리플링 되면 개답없는데 개원의들은 공중제비 돌면서(자체정원감축 +페이떡락) 돈...
-
아는 틀딱있음? 알면 최소 01인데
-
동의치한약수임 0
동강대 goat 반박안받음
-
김기현샘 풀커리탈 예정이고 지금 수2 idea하는중이고 미적도 idea할거같네요...
-
슬슬 될 때가 됐는데 백화점 VIP 한 번 찍어봐야하는데
-
화1을 버린자 로 닉변할게
-
하..
-
3뜸 근데 1년동안 내신한 지구는 5라는거
-
찐 행복 0
30분 달리고 집와서 물 마시는거 한번 참고 샤워하고 물 마시는거 한번더 참고 머리말리고 물 마시기
-
어떻게 맨위가 저거임 ㄹㅇ..
-
진짜 큰일났다
-
제대로 기억나는 사진이 없다는게 놀랍네.. 다들 이러나?
-
지들끼리 좆목하다 지들끼리 싸우고 지들끼리 죄송하면 메인에 올려서 정보글 내려가게...
-
난 고정 2등급일듯 폐지 잘됐다
-
영어잘하는사람 1
영어 풀면서 시간 없을 때 봤었는데 완전 모르는 문제를 다시 보는거랑 새로운 문제를...
-
나만 어렵나 수능이랑 난이도 비슷함?
-
개너무함ㅋㅋㅋㅋㅋㅋㅋ
-
에스파 윈터 뉴진스 해린 아이브 리즈 르세라핌 채원 베몬 아현 있지 유나 엔믹스...
-
과외하려면 6
수능성적 까야됨? 꼭 그래야만 되는거냐 아님 학부모님께서 요구하시면 보여드리는거냐...
-
아니 소름이 아니고 당연한게 아님이 아니고
-
걍 우다다다 가서 포탑 엘리전하고 있네 ㅋㅋㅋㅋ 이게 맞냐 담 패치때 라인스왑 숨통...
글 논지에 동의해요. 수능 개념서를 만들 때 타겟팅을 어찌하느냐의 문제인데, 타겟을 너무 최상위권으로 잡는것도 문제지만 넓게 잡아버리면 난이도가 중구난방이거나 너무 쉬워지거나 책이 너무 커지거나 셋 중 하나가 되더라고요. 상위권은 상위권용 책이 필요한거고 하위권은 하위권용 책이 필요한듯 합니다. 근데 하위권은 자습을 할 역량이 안되다보니 강의를 들어야 하고요..
메카니카의 경우 물리 초보인 학생들까지 만족시키는건 무리일테고 적어도 중상위권을 타겟팅으로 해야 좋지 않을까요? 아니면 중위권용 개념서도 컨셉이 괜찮고요
저는 타겟을
중학교 수준의 수학 과학 수준은 알고 있고, 고등학교 수학을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 봤을 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잡을 생각이비다.
중위권을 타겟팅하여 메카니카를 만드려니 학생들이 중위권용이 아니라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그러면 물1 공부 시작할 때 책이랑 기출만봐도 자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준인가요? 좋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