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수학가형은 말할 자격 있다고 생각하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104388
216T가 말하는
암묵지->명시지->암묵지
이말 아주아주아주아주 강하게
동의하는 바입니다
고정 100 받고 사설까지 다 100받는 실력의 최종장이
승리T가 말하는 단순함은 궁극의 정교함이다
즉 단순한 "말" 에 불과한 집합론적 사고라던지
그거의 세부사항인 함수의 구성분석
이런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국어는 216t가 갑인가여

18국어 98이 뭘 더 하려고?안들어봤어요!
아... 답변 고마워요

제목과 본문이 도대체제가 말이 좀 두서가 없어요.. ㅠㅠ
진짜 그런듯
으앙....
나빠...
제목이랑 내용이랑 따로 놀때 꽤 있음
근데 이건 수학제목 수학내용이잖아요!
정리하면
수학가형은
데이터 쌓기-> 객관화-> 추상화의 단계거든요
대충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노베 울어요
분발haseyo뇌절
옛날에 어중간한 시절에 이거 봤을땐 뭔소린지 이해 안됐는데 공부하다보면 가끔 이 글 생각이 나더라구요.
그리고 강사는 아무리 잘 가르쳐봐야 행동영역이란 이름으로 명시지화 시키는 단계까지밖에 도움을 못주는것 같습니다.
그런게 크죠
아무래도 자기 지론은 자기만 만드는거라ㅎㅎ
객관화시키는과정이 못푸는문제에있어서 왜못풀었나.라는걸 정리하는과정이라치면
결국 이게 하나로뭉쳐지고 쌓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셤장에서아무렇지않게 나오는게 추상화단계라보면될까요?
ㅡ근데저는 수학 문제자체에서 독해가안되서 뭘말하는거지???하는게 많았는데 이런건 어떻게 공부하고 정리해야 할까요.
그게 객관화 전단계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