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에 연결된 부교감신경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025149
무조건 연수에서 뻗어나오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군 19명 모집 예비 41번 받고 1차 추합 29 2차 추합 22 3차 추합 18...
-
서강대 자전 0
다군 자전 먼가 은근 충원 많이 돌거 같음
-
정원이 15인 과에서 1차추합이 11명이면 많은 건가요? 하재호 재호 교과우수 지구...
-
고려대 수시 학우 최초합 발표에서 1배수까지만 예비번호를 주잖아요 그러면 1차 추합...
-
충원율 0
작년 충원율은 모집요강으로 볼 수 있는거 아는데 재작년 충원율은 어케봄?
-
16명 뽑는 학과에서 14번 받았는디... 작년엔 18번까지 돌고 재작년엔...
-
너무 답답해서 처음으로 글써보는데... 4차까지 5/4/3/2빠져서 14까지...
-
2~3차에 합격되려나? 안되면 아주대 영문 감
인슐린 분비와 관련된거면요
부교감은 중뇌 연수 척수인데용.....
목 아래, 골반 위(다리 포함)로 분포하는 모든 부교감신경은 미주신경이라는 하나의 뇌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미주신경이 연수에서 뻗어나오기 때문에 결국 이자에 분포하는 부교감신경은 연수에서 뻗어나오는 게 되겠죠.
위에서 간뇌에서 혈당조절을 한다는 이야기는, 혈당을 감지하고 이를 조절하는 핵이 간뇌의 시상하부에 있다는 소리이고, 이것이 뇌의 어떤 신경로를 거쳐서 연수의 부교감신경 신경세포체로 전달되어 연수에서 뻗어나오는 신경에 의해 이자까지 신호가 간다는 이야기입니다.
님 사랑해요
근데 척수에서 뻗어나오는 부교감신경은 뭐죠 그럼
아까 목 아래, 골반 위라고 했었죠? 골반(그러니까 비뇨생식계통이나 직장 아래쪽의 소화계통)에는 척수에서 뻗어나오는 부교감신경이 따로 있습니다. 골반내장신경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간뇌 시상하부에서 나온 (방광을 수축해야겠다 같은)신호가 쭈욱 척수를 타고 끝까지 내려가서 척수 끝쪽의 이 신경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아 그럼 중뇌 는 동공반사 이고
척수는 배변배뇨쪽이고
연수는 나머지라고 외우면되나요
네 정확히 이해하셨습니다.
와 님 진짜 ㅠ
TMI 하나만 덧붙일게요
침분비를 조절하는 부교감신경은 같은 연수에서 나오지만, 뻗어나오는 위치와 신경 종류는 다릅니다. 설마 이런게 쓰여져있는 교과서가 있긴 싶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