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논술) 연대 D-1 / 논제: 죽음 (제 답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02064
검고_논술공 입니다.
수험생 여러분 연대 논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저는 어제 오늘 내일 삼일간 좀 연대 논술 벼락치기 중 입니다 ㅠㅠ
지난 한달간 수능 공부 때문에 논술 공부에 소흘했던 까닭일까요?
조금 많이 떨리네요..
소원하는 연세대 철학과... 꼭 합격하고 싶습니다 ㅎㅎ.
연대 시험을 준비하시는 수험생 여러분 모두 그간 공부한 것들 정리 잘 하시고.. 꼭 합격하시길 빕니다.
아래는 제가 오늘 쓴 답안입니다.
논제 분석은 시간이 없어서 못했구요..
도움이 됬으면 합니다 ^^.
=====
1번
_1) (가)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죽음을 초월하고 극복하는 태도이다. 2) (가)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을 기피하거나 무시하는 생명체로서의 본능이 약화된 존재이다.3)이에 인간은 사후세계와 죽음 자체에 대해 숙고하며, 나아가 죽은 자와 함께 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_4)(나)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죽음을 무시하는 태도이다.5)(나)에 나타난 태도의 주체는 고릴라로서 죽음이라는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6)이에 고릴라들은 죽은 동료에게 지속적으로 반응을 유도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_7)(다)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죽음을 기피하는 태도이다.8)(다)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한다.9) 이에 인간은 죽음을 연상시키는 것들 조차 모두 기피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_10)세 제시문은 생명체의 본능을 죽음을 무시 혹은 기피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11)(가) 역시 인간의 원초적 본능에 대한 견해는 두 제시문과 일맥상통한다.
_12)세 제시문은 첫째, 개체의 생명체로서의 본능 극복 여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13)먼저 (가)는 인간이 생명체로서의 본능을 극복한 태도를 나타내는 반면, (나)와 (다)는 개체가 본능을 극복하지 못한 태도를 나타낸다.14)하지만, (나)는 고릴라가 죽음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인 반면, (다)는 인간이 죽음을 인식하나,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동물적 본능에 구속된 상태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_15)둘째,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는 태도의 여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16)우선, (가)와 (나)는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지 않는 반면,(다)는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는 태도를 보인다.17)다만,(가)는 사후 세계를 생각하는 인간이 특수성으로 인해, (나)는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죽음을 끝이라고 생각조차 못한다는 차이가 있다.
_18)셋째, 삶에 대한 애착의 정도가 다르다.19)(가)는 죽음을 삶의 연장선상으로 인식하여, 삶에 대한 애착이 상태적으로 적은 태도를 보인다.20) 반면 (나)와 (다)는 각각 삶만을 인식하므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삶에 대한 강한 애착을 지닌 태도를 보인다.
_21)마지막으로 죽음에 대한 의례의 목적이 다르다는 것이다. 22)우선 (다)에서 인간은 죽은자를 멀리 치우기 위해 의례를 행하는 태도를 보인다.23) 반면, (가)와 (나)에서는 죽은자를 곁에 두고자 의례를 행하는 태도가 나타난다.24)예컨데 (가)의 인간은 풍요로운 껴묻기를 통해, (나)의 고릴라는 의례적인 폭행을 통해 그러한 태도를 극명하게 나타내고있다.
(1250자.)
----
2번
_ 1)실험1과 실험2의 결과는 을 집단이 갑 집단에 비해 죽음과 연관된 단어를 약 3배를 연상한 것이다.2) 그러나 실험1의 경우엔 갑 집단은 배설물에 관련된 단어를 연상했고 을 집단은 친근한 단어를 연상했다.3)반면에, 실험2의 경우에는 갑 집단이 배설물에 관련된 상황에 처해있었고, 을 집단은 아무런 사전 정보에 노출되지 않았다.
_ 4)(가)는 죽음이 인간에게 친근한 대상이며,인간이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기피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5)따라서 (가)는 실험 1의 결과에 대해 을 집단이 갑 집단과는 달리, 친근한 대상을 미리 연상했기 때문에 죽음과 연관된 단어를 더 잘 완성했다고 해석할 것이다. 6)반면, 실험2의 결과에 대해서 설계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실험이라고 해석할 것이다.7) 왜냐하면 을 집단이 약 3배가량 죽음에 연관된 단어를 완성한 것은 을 집단과 갑 집단 사이에 고려되지 않은 친근함과 관련된 변인이 존재하지 않으면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_8) (다)는 죽음이 인간에게 두려운 대상이며, 죽음을 연상시키는 모든 것을 기피한다는 입장이다.9)특히 (다)에 따르면 배설물은 인간에게 죽음을 연상시키는 주요한 표상이다. 10) 따라서 (다)의 입장에 따르면 실험1과 실험2의 결과는 동일하게 해석될 것이다. 11)즉,(다)는 갑 집단이 배설물과 관련된 표상을 접했기 때문에 무의식 중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게 되어 죽음에 연관된 단어를 연상하지 못한 것이라고 해석할 것이다.
_ 12)두 입장 중 (라)의 실험결과를 해석하는데 타당한 입장은 (다)의 입장이다. 13)왜냐하면 실험1과 실험2의 결과에서 나타난 두 집단간의 편차를 일관된 논리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14)물론 실험1의 결과를 근거로 (가)의 입장이 타당하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15)그러나 (가)의 입장은 실험2의 결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한계를 지닌다. 16)따라서 (가)의 입장은 두 실험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다)의 입장에 비해 타당하지 않은 입장이다.
_ 17)요컨데 이 실험의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이란 인간은 죽음과 관련된 표상을 접하게 되면 죽음을 생각하지 못하는 존재인 것이다.
·(1000자~1050자.)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야식 개마려운데 0
하아.. .
-
삼성 이겼군 1
기아를 상대로 이기다니 ㄷㄷ
-
억까야 억까 낡은 세상은 망하고 어서 새로시작하자
-
인지는 모르겠네 걍 중산층인데...사태이전에도 10년대 중반에만해도 의사가...
-
약대가면 나중에 개국할때 부모님이 4~5억정도는 그냥 지원해줄수 있다하시는데 어디가 더 좋을까요
-
카페에서 0
쫒겨낫어..닫을시간이래 커피는주고쫒아내
-
개좆같이 어렵네 ㅋㅋㅋㅋㅋ 문학 7개 쳐틀랴서 78점이네
-
나 굶어 죽어 으헝헝
-
야마노래듣기 0
야마돌아버리기
-
평소에 틀린 건 알겠는데 정확히는 모르다보니 대댓글만 보고 넘겼는데 마침 '전형태...
-
인생망함 2
ㅠㅡㅠ
-
노베인데 수특 독서 풀면 도움 될까요? 수특 문학은 중요하다해서 하고 있습니다.
-
반갑습니다 이천이십육 빅포텐 수학원 시작하겠습니다 그런데 풀기 전에 하나 알아야 할...
-
?
-
https://forms.gle/KywVRnPuh4tmUk479 안녕하세요...
-
정시파이터라서 앞면이 나오면 개인 과제 하고 뒷면이 나오면 개인 과제 던지니까...
-
내 이미지가....
-
나는 공부할때 동기부여 16
하루 공부끝나고 할거 생각했던거같음.. 예를 들어서 오늘 밤은 애니보고 코코이하고...
-
2대1로 구해요!
-
이미지 커리 타는데 미친기분 완성편 까지 끝내고 복습만 계속 할까요 아니면 엔티켓 들어갈까요
-
근데 장지문에 중세국어 내는 게 좋을 수밖에 없는 게 10
별의별 신박한 내용 들고 오면 학생들은 어지간한 변태가 아닌 이상 지문을 읽을 수밖에 없음
-
노모어는 크기 작아져서 손절했고 다른데는 거의 안 먹어봄
-
이제 나도 어둠의 현강자료 받는다 히히
-
여러분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공부하시나요 ,, 가끔씩 마음이 가벼워질때 몸도 축 쳐지더라구요
-
요즘 드는 생각 0
또 없음
-
자퇴생은 수능성적에 따른 비교내신으로 처리되는 건가요? 연대는 검정고시 점수는 상관...
-
국어 비문학연습 0
시간 꼭 재고 풀어야됨? 비문학 실력 늘리고 싶은 목적임 독해 실력
-
학력없이 외모로만 다이까도 아이돌 탑티어 가능한 분 3
예상은 하셨죠? 니게tv 개국 160일차
-
ㅎㅎ 6
ㅎㅅㅎ
-
결말 보고 ㅈㄴ 웃었는데 야하기도하고 안나오긴할듯
-
이거 진짜 하나도 이해가 안가는데 어카죠
-
맞으니까
-
1-12,16-20,23-27 풀고 나머지 풀기 보통 20-25분이면 풀어서...
-
저도 대학 가고 싶어요
-
이해할수없다 0
점점 뭐라 할말이없어진다
-
뼈는 어떻게 하시려고 그러지
-
작화는 좋던데
-
흰티 청바지에 밑에 바시티 블루종 입으면 어떨거 같나요?
-
김승리 현강에서 내년엔 젠지랑 콜라보 한다고 떡밥 뿌렸는데 0
매승 1~3 드랍하고 4호부터 하려고 하는데 1~3에 주요기출이나 최근기출 넣어놓은거 있나요?
-
원래 이차곡선 0
포물선이 제일 어렵나요 타원까지 진도나갔고 쎈 포물선 타원 푸는데 타원은 딱히...
-
중국군 ‘대만포위훈련’ 이틀째…해협 봉쇄하고 폭격기 동원까지 1
중국군이 2일 반년 만에 벌인 ‘대만 포위’ 훈련을 이틀째 이어갔다. 스이...
-
큰거온다 7
캬캬
-
첫정답자2000덕드리겠습니다!
-
저는 접점의 x좌표도 t에 관한 함수라고 생각해서 g(t)라고 놓고 합성함수...
-
[속보] 中, 대만포위훈련 종료 발표…"훈련 과제 원만히 완료" 0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의 국기 게양대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휘날리고 있다....
-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네번은 읽은듯... 읽다가 머리 빠개지는 느낌 근데 지문 어려운...
-
어느 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한다 이런 식으로 낼 건데 어느 물건을 생산하는 공장이 좋을까요?
아.. 요컨대 를 계속 요컨데 라고 쓰네요 ㅠㅠ 이런 바보..
참고하겠습니다. 감사드려요 검고님.
네 연대 수시 건승을 기원합니다 !
일단 지엽적인 것부터 틀린 게 보여요 근데 제가 권대승 선생님 꺼 듣는데 매우 다르네요
일단
_15)둘째,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는 태도의 여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16)우선, (가)와 (나)는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지 않는 반면,(다)는 죽음을 개체의 끝으로 여기는 태도를 보인다.17)다만,(가)는 사후 세계를 생각하는 인간이 특수성으로 인해, (나)는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죽음을 끝이라고 생각조차 못한다는 차이가 있다.
근데 님의 답안에서 모순이 나타나죠 여기서 고릴라는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끝으로 여기나요?
16번 문장을 잘 읽어 보시면 끝으로 여기지 않는다고 썻어요 ^^.
아 제가 잘못 말했네요 어떻게 끝으로 여기지 않을 수가 있나요? 라고 쓸라 했어요 죄송해요 ㅜㅜ
죽음을 인식한 전제 상태에서 끝으로 인식하든 인식하지 않을 수가 있는 것이죠.
물론 냄시님께서 말씀하셨 듯이
고릴라는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니까.
죽음을 끝으로 여기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
하지만
논제의 요구는 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라는 것이기 때문에,
고릴라의 인식-사고 여부 등은
결론 둘째 비교기준에 대해 제가 쓴 결론 문장이 아닙니다..
결론 문장은 자세히 보시면 보이시겠지만 [태도]라고 썻어요..
즉,
"고릴라의 행위들이
죽음을 끝으로 여기지 않는 듯한 [태도]가 나타난다고"
쓴거구요..
이렇게 태도의 관점에서 본다면 모순되지 않는 것이죠..
저는 제 논리가 타당한 해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냄시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아니 제 말은 죽음이라는 것이 존재하지도 안 존재하는 지도 모르는데
그것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지닐 수 있냐는 것이에요. 그리고 태도나 인식이나 별 차이는 없다고 봐요.
그런면에서 본다면 죽음의 끝여부는 고릴라는 서술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맞죠.
검고님 말씀대로 라면
좌파와 우파로 나뉜 정치가 있습니다
좌파는 A고 우파는 B고 그리고 여기서 보너스로 정치에 ㅈ도 모르는 초등학생이 C라고 봅니다.
좌파와 우파 A B는 차이가 있죠 일단 차이라는 것은 공통점을 전제로 하죠
둘다 모두 정치에 관한 입장이라는 공통점이 있죠 둘은 차이가 맞습니다.
그런데 C라는 초등학생보고 너는 좌파가 아니네 그러므로 우파와 대비된다.
또 어느날 갑자기 너는 우파가 아니네 좌파와 대비된다.
이건 좀 그래요;
1.
저는
고릴라가 어떤 태도를 [지녔는지가] 아닌 (나)에 [나타난 태도]를 나타내는지를 쓴거라서요..
냄시님과 저의 관점의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
2.
서술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제 비교 방법론과 상충합니다.
비교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는 노코멘트입니다. 그냥 자신이 더 잘 쓸 수 있는 방법론을 선택하면 되는거 같아요.
3.
^^.
전 이만 집에 가서 가야할 것 같아요.
더 덧글을 달지 못해서 죄송하구요 .
시험 잘 보시길 ^^.
흠.. 그렇게 생각하시면 안 말리겠는데요
다른건 조금 양보해도 이건 아닌 것 같아요.
위에서도 말했지만 차이는 공통점을 전제로 하거든요. 이것은 ebs 비문학인가 기출에서도에도 나온 걸로?? 알고 있어요.
스거 하세요 ㅜㅜ 잘 시간이네
그리고 실험 1과 실험 2에서의
단어수의 3배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이에요. 왜냐하면 실험 1에서는 단어를 6개가 죽음과 관련되있고요 실험 2에서는 2개 였거든요
실험 1과 2가 서로 3배 차이가 난다는 것이 아니고
실험 1에서 갑과 을 3배
실험 2에서도 갑과 을 3배 라는 의미 였습니다.
제가 표현이 좀 서툴렀네요 ^^;
그리고 죽음이 왜 친근한 것이 될 수가 있나요?
죽은 것 상태가 좋다. 자고로 인간은 죽어 있을 때 가장 아름답다. 이런 것이 있나요? (가)에서 말입니다.
단지 죽음을 생명의 연장선으로 바라보는 것 아닌가요? 그럼 예로부터 전해지는 고대 유물들은 죽음이 좋다! 죽어서 부럽다하면서 다들 만든건가요?
죽은자와 함께 머무르고자한다 등의 구절에서 도출한 결론으로 이는 페로즈 선생님께 과외를 받을 때 지도받은 것입니다.
저는 이견이 없네요.
-
극복이라는 단어의 뉘양스가 잘못 전달 되 것 같네요.
=
이에 인간은 사후세계와 죽음 자체에 대해 숙고하며, 나아가 죽은 자와 함께 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
라는 의미에서 쓴 것 입니다 ^^.
문제 2번같은 경우는 글쓴이분의 주장이 없네요,
문제 상에선 본인의 견해를 쓰라고 했는데요.
그건 제시문 내에서가 아니라 본인이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들어주셔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제시문의 견해를 끌어다 쓰는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철저하게 제시문내에서만 해결하셨기 때문에 여기서 아마 좀..감점이 있으실 것 같아요. 죽음 2번문제가 좀 특이해서 그런 것도 있는데, 자신의 견해라는 말이 들어갔으니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직접 써주셔야합니다.
1.
본인의 견해에 대해서 ..
페로즈 선생님 께서
현강과 절대구조_논증 편에서
말하시길
자신의 독창적 견해가 아닌
두가지 제시문 중 특정 제시문에 대한 우월 논증을 펼치는 것이라고 배워서요 ^^;
즉 논제의 지시를 [해석에 대한 견해] 를 쓰라는 것으로 받아드린 측면으로 쓴 답안입니다.
2.
물론 자신의 주장을 써도 타당할 수 있다고 생각되요..
연대는 다면사고형 논술이니까요^^.
* 받아드린 -> 받아들인
태클은 아니구요. 다면사고형이라는 측면에선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는게 득점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그럼 시험 건승하세요.
근데 죽음을 무시하다...는 인식하지 못한다와 조금은 뉘앙스가 다르지 않나요?
네 좀 다른 것 같아요.
하지만 (가)에서 말하는 [생명체의 본능]이 연대의 출제의도라고 생각해서요..
아 그건 맞는거 같네요 인간은 생명체의 본능을 초탈한게 논지이니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094545&sca=&sfl=&stx=&spt=0&page=1
제 글 쓴거 한번 읽어 봐주세요 예시답안 그대로 쓴거에요 기껏 올려놨는데 댓글이 0인데..
일단 학교에서 비교 기준을 쓸모 있는 것만 잡아야 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비교 기준을 잡는 건 좀 그렇다고 생각하고요
비교의 결론에서 논거가 하나도 없어요.
하튼 잘 보세요 ㅜㅜ 저는 사실 연대 반 포기인데 이렇게 많이 코멘트나 달고;
잘 쓰시네요! 답안 형태는 매우 깔끔해서 읽기 편하네요..
근데 몇몇 비교기준에서 제 생각과 다른 부분들이 있는거 같네요..
논술에 기본적인 답안의 형태나 내용은 있지만
같은 제시문을 보고도 사람마다 조금씩은 다르게 생각할수도 있으니
제 생각이 옳은 것도 아니고..제가 남의 글을 판단할 수준이 아닌지라
페로즈님이나 다른 논술 잘 쓰시는 분들의 이 글에 대한 견해를 듣고 싶네요..
제시문라에서첫실험집단은무작위로서로모르는상대로뽑혓고두번째실험은 기숙사상황에서뽑혓죠. 기숙사라는상황자체가서로간의친밀한상태이기때문에 실험1의을집단보다 실험2의을집단에서비율로따졋을때 실험2에서죽음관련이조금더만앗던거고요. 이포인트를집어주는게변별의핵심이라들엇습니다
무슨말씀인지
실험1의을집단보다 실험2의을집단에서비율로따졋을때 실험2에서죽음관련이조금더만앗던거고요
이부분이 이해가 안가네요.
퉁쳐서 배설물애들은죽음생각안하고 친밀상황은생각한다이러고가면 변별이떨어지죠
2번은 제가 좀 철저하게 풀지 못한 것 같아요.
그런데 어짜피 연대는 1번 잘풀고 2번 평타치면 합격하는 거니까요 ^^;
제가 2시간 딱 재고 푼거라서요.. 완벽하지 못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