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장 [385090] · MS 2011 · 쪽지

2012-10-04 12:52:05
조회수 1,019

"이것이 정답이다." - 연세대 2012학년도 인문계열 2번문항(채용설계) 모범답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00600

연세대 2012학년도 인문계열 2번문항 모범답안입니다. 이 문제는 아무도 못 풉니다. 왜냐하면 제시문이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업로드했으니 제 아이디로 검색해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는 모범답안만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범답안>


제시문(나)에서 제시하는 과학적 관리법이란 작업과정에서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제시문(라)의 실험 내용은 최초 공개시 희미한 정도가 ‘상’일 때 인지비율을 살펴보면 122초일 때 25.3%, 35초일 때 25.2%, 13초일 때 19.4%로 공개시간의 차이가 사진을 정확히 인지하는 데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최초 공개시 희미한 정도의 차이와 사진 인지비율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상’일때 23.3%, ‘중’일 때 44.7%, ‘하’일 때 59.8%로 희미한 정도가 ‘상’일 때에 비해 ‘하’일 때 인지 비율이 2배 이상 높고 공개 시간이 122초일 때에는 인지비율이 희미한 정도가 ‘상’의 25.3%에 비해 ‘하’가 72.9%로 약 3배 이상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에서 최초 정보의 질이 인식의 정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최초 정보의 질이 낮으면 공개시간이 길어져도 인식의 정확성이 올라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과학적 관리법을 적용하여 채용과정을 설계한다는 것은 채용과정에서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반면 우수한 지원자를 최대한 판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채용설계과정에서 정해진 원칙은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경쟁률이 매우 높은 회사이고 이것은 지원자가 매우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서류심사를 할 때는 지원자들을 최초로 만나는 상황이라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의 질이 매우 낮다. 이것은 실험결과에서 희미한 정도가 ‘상’인 경우와 유사하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정보의 질이 낮은 경우 공개 시간의 차이가 정확한 인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서류심사는 최대한 짧은 시간에 많은 지원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면접심사의 경우에는 서류심사를 통과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지원자들의 정보의 질이 향상된 상황이고 이는 실험결과에서 희미한 정도가 ‘하’인 경우에 해당된다.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최초 공개시 정보의 질이 높은 경우에는 공개시간이 길수록 정확히 인지할 비율도 높아진다. 면접심사의 경우 면접대상자의 수도 서류심사에 비해 현저히 적고 업무 수행 능력이 높은 지원자를 식별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 긴 시간을 배정하여 면접을 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