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엣94 [386569] · MS 2011 · 쪽지

2012-10-02 09:38:20
조회수 556

[10.2] ★피니싱린치★ 화학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96011







2010 9월 모평 화학1  오답률 탑투



다시 풀어보자.


시간제한 8분?   OK?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잇힝 · 377447 · 12/10/02 11:11 · MS 2011

    줄리엣님

    님 과탐공부 기출하고 듄말고 시중파이널같은거는 안 푸시나요?

  • 줄리엣94 · 386569 · 12/10/02 19:58 · MS 2011

    넹~ ㅋㅋ 오직 기출이랑 듄만 하려구요~

  • sdijhg192 · 389063 · 12/10/02 11:40 · MS 2011

    19번
    최고점이 중화점이므로 Q=cmt(t는 온도 변화)에서 I과 II를 비교해보면 I과 II 반응에서 물 생성량이 4:3임을 알 수 있음
    I 중화점에서 생성되는 물 분자수를 4N, II 중화점에서 생성되는 물 분자수를 3N이라 둘 수 있음
    ㄱ. I은 20ml의 산에 4N개의 수소 이온이 들어있고 II는 30ml의 산에 3N개의 수소 이온이 들어있으므로 4배가 아닌 2배(거짓)
    ㄴ. C는 두 경우 모두 산을 과량 집어넣은 경우이므로 OH-는 존재하지 않음... 따라서 구경꾼인 Cl-와 SO4^2-의 수만 비교해주면 됨
    I의 경우 산을 40ml 넣었으므로 Cl-는 8N개를 넣은 것... II의 경우 산을 40ml 넣었으므로 SO4^2-는 2N개를 넣은 것
    두 경우 모두 Cl-와 SO4^2-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I이 II의 4배(거짓)
    ㄷ. 실험 I의 A에는 H+ 6N개와 OH- 3N개가 들어있음, 실험 II의 B에는 H+ 2N개와 OH- 4N개가 들어있음
    둘을 합치면 H+ 8N개와 OH- 7N개를 반응시키는 것과 같으므로 산성 용액이 됨(참)

    20번
    그래프에서 A이온 2N개가 반응할 때 H+ 6N개가 빠져나오므로 A의 양이온은 +3가임을 알 수 있음
    마찬가지 방법으로 B이온 N개가 반응할 때 H+ 2N개가 빠져나오므로 B의 양이온은 +2가임을 알 수 있음
    ㄱ. (참)
    ㄴ. A, B와 반응해서 빠져나온 H+의 수가 3:1이므로 들어간 전하량도 3:1, 그런데 A는 +3가, B는 +2가이므로 들어간 A와 B의 수는 2:1
    따라서 생성된 양이온수의 비도 2:1(거짓)
    ㄷ. A와 B의 분자수는 2:1, 상대적 질량은 3:7이므로 질량비는 둘의 곱인 6:7... 따라서 A의 질량 백분율은 50%보다 작음(거짓)

  • 줄리엣94 · 386569 · 12/10/02 19:58 · MS 2011

    와우 굿굿! ㅋㅋㅋ

    이 컴퓨터풀이 ㅋㅋ100점 츄카츄카~~ㅋ

  • 줄리엣94 · 386569 · 12/10/02 19:59 · MS 2011

    192님은 따로 기출정리 할 필요없이 이걸로 끝내시면 될 듯 ㅋㅋ 나도 그렇고 ㅋㅋ

  • 줄리엣94 · 386569 · 12/10/02 20:00 · MS 2011

    생물이랑 언어 수학 왜 오늘은 안푸세영?

    화학이 제일 좋으신가바요?

  • sdijhg192 · 389063 · 12/10/02 23:00 · MS 2011

    ㅋㅋ 생물은 풀긴 풀었는데 유전이 두 문제라 댓글로 달면 너무 길어질 거 같아서 안 올렸어요. 언수는 하루
    쉬려고 ㅋㅋ 낼것부터 풀게여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