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nism [376046] · MS 2011 · 쪽지

2012-09-30 20:49:50
조회수 6,169

[공부방법] 일주일 동안 논술 정복하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93155

안녕하세요, Hwanism 입니다.

추석 잘들 보내고 계시죠? 추석에 시간이 남아 오랜만에 글을 다시 써보려고 합니다.
오늘 글을 쓰려는 주제는 남은 일주일 동안 논술공부를 어떻게 마무리 해야할까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
(*모두 제 경험을 바탕으로 쓰는 것이니 이것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주 토요일이면 연세대 논술고사가 앞으로 다가 왔구요. 여러분들은 지금까지 논술실록, 인강, 학원 등의 많은 방식들을 택하여 공부하셨을 거에요.
이제는 지금까지 공부해오셨던 공부를 총 정리하는 시기가 다가온 것입니다. 
제가 제시하는 2가지 방법으로 공부를 총 정리하시길 바랍니다.

1. 기출문제의 답을 찾으라.
기출문제의 답을 찾으라니, 지금까지 해왔던 공부가 답을 찾는 것이었는데 또 뭘하라고? 
이런 반응 보이시지 마시구요, 앞으로는 총 7개 + 2011 모의, 2010 모의 총 9세트의 기출문제가 있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기출문제를 "한번쯤은" 다 풀어보셨을 테구요. 이제 하셔야 될건 기출문제를 1번푸신분은 일주일동안 2번을, 2번푸신분은 3번을. 
한번더 풀어나가시면 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해왔던 방식과는 좀 다르게 풀어보세요.

예를들어드리겠습니다. 2011 연세대 사회계열 "인과론"기출문제의 1번을 보실게요.
답은 (가)vs(나)(다) 후, (나)vs(다) 입니다.
근거는 (가)= 인과론의 추론자체가 불가능하다./ 반면 (나)와(다)는 추론자체는 가능하다.
그런데 (나)는 필요가 없고, (다)는 추론은 가능하나, 완벽한 추론이 불가능하다. 한2개의 추론만 가능하다. 입니다.

이를 제시문에서 근거를 찾아보시는 겁니다.
제시문 (가)의 2번째 문단,4~5번째 줄 "또한 어떠한 논리적 과정을 통해서도 원인이 되는 대상을 추리해내질 못할 것이다."

제시문 (나)의 2번째 문단,3~4번째 줄 "그리고 과학자는 실험을 통해서 이런 이론적인 모델들을 확인하거나 부정한다. 이것이 바로 과학이 수백 년 동안 수행되어 온 방식이다." ,4번째 문단 1번째 줄 "그러나 페타바이트 시대에 엄청난 데이터 앞에서는 가설, 모델, 실험 과 같은 과학적인 접근은 구시대의 것이 된다.

제시문 (다)의 1번째 문단, 1번째 줄 "우리가 원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어떤 과정 속에서 재단 가능한 원인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이렇게 제시문에는 비교의 준거가 되는 근거가 FACT적으로 제시되 있습니다.
모든 기출문제에서 그렇냐구요? 네. 그렇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비교 준거를 다시 찾아보시면서 그 비교준거가 제시문의 어디에있나를 다시한번 파악하시면서 복습해보세요.
충분히 독해력적으로도, 비교준거를 잡는 연습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2.기출문제를 구조적으로 관통해보라.
7+2개의 기출문제를 보게되면 구조적으로 동질성이 느껴집니다.
느껴지는게 아니라, 구조적으로 동일 합니다. 
1번문제를 보면 비교가 항상 나오구요(2012 낭비를 제외하면 모두 3자비교)
2번(가끔가다 2,3번으로 나눠짐)을 보면 다 표대응 + 논평문제가 제시됩니다.

수능 기출문제를 공부하시는 이유가 무엇 때문인가요? 기출문제가 반복되어 시험에 출제되기 때문이 아닌가요?
논술도 동일 합니다. 기본적인 text, 즉 제시문과 표의 내용만 매년마다 변화되고 실질적으로 물어보고자 하는 내용은 이미 fix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제가 제시한 1번째 방법으로 각각의 문제를 어떻게 공부하실지 미시적으로 복습하시고,
2번문제를 통해 연세대해서 제시하는 유형 1.3자비교 2.표대응 3.논평과 그 외 유형들, 예를들면 2012낭비에서 양자비교. 2010 공공성에서 표대응 없음.
이러한 예외적인 현상들을 보시고, 이건 좀 다른데? 라고 느끼실 수 있어야 기출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셨다고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기출문제를 보시면서 그 기출문제끼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시고, 새로운 문제를 보셨을 때 어떻게 접근하실지 방향을 잡아 두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2가지 방법으로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기출문제를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남은기간동안 좀만 더 힘내시고 시험모두 잘 보시기 바랍니다! 
*교육대학 시험보시는 여러분! 제가 그날 학교 행사 일원으로 합격 사탕 나눠드릴 것 같은데.. 그날뵈요^.^
*논술과 논술외적 모든 질문은 쪽지나 댓글을 통하여 받아드립니다!
*도움되셨으면 좋아요 하나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