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 난이도가 높아진 순서/삽입에대한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926380
올해 6월 모의고사 오답률 Top 10에 속해있는 순서/삽입 문제의 정답률을 봅시다.
EBSi 기준
38번 문장 삽입 (EBS 연계) 28.7%
37번 순서 30.4%
39번 문장 삽입 35.3%
정답률이 상당히 낮습니다.
그렇다면 틀려도 되는 문제일까요?
평균적으로 순서/삽입 4문제 다 틀리면 10점이 차감됩니다.
그러면 90점이 되니 1등급 이득이다.?
순서/삽입을 다 틀린 친구들이 나머지 빈칸 흐름무관 어휘 어법 단문에서 안틀릴까요?
틀립니다. 저중 1개라도 틀리면 2등급 빈칸 2개 어휘 어법 틀리면 어느 순간 3등급으로 내려갑니다.
많은 학생들이 순서/문장 삽입에 대한 강좌를 듣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0%정도의 정답률을 보입니다.
왜 그럴까요?
많은 강사들이 순서/삽입에서 지문의 구조 삽입혹은 지문안에서 단절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런 지문의 구조를 무시하고
지시사로만 풀려고 합니다.
자 다음 문제를 봅시다.
<18 수능 39>
It is postulated that such contamination may result from airborne transport from remote power plants or municipal incinerators.
An incident in Japan in the 1950s alerted the world to the potential problems of organic mercury in fish. Factories were discharging mercury into the waters of Minamata Bay, which also harbored a commercial fishing industry. Mercury was being bioaccumulated in the fish tissue and severe mercury poisoning occurred in many people who consumed the fish. ( ① )The disabling neurological symptoms were subsequently called Minamata disease. ( ② ) Control over direct discharge of mercury from industrial operations is clearly needed for prevention. ( ③ ) However, it is now recognized that traces of mercury can appear in lakes far removed from any such industrial discharge. ( ④ ) Strictly controlled emission standards for such sources are needed to minimize this problem. ( ⑤ ) Fish advisories have been issued for many lakes in the United States; these recommend limits on the number of times per month particular species of fish should be consumed.
* postulate: 가정하다 ** incinerator: 소각로
이 문제를 풀어보시면
답은 아마 2번이 나오실겁니다.
왜냐하면 주어진 문장안에 있는 'such contamination'이 'Minamata disease'로 판단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정답은 4번 입니다.
왜냐하면 4번 앞 문장인 이러한 공장의 배출로 부터 먼 곳에서도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주어진 문장은 'such contamination'이 멀리 떨어진 발전소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소각로로부터 공기를 통해 전파된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가정된다고 합니다.
주어진 문장은 4번 앞 문장을 구체화하고 있으므로 4번에 들어가야 합니다.
지시사에만 매몰되면 이러한 문제는 빠르게 틀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평가원은 순서/삽입을 어떻게 풀고 있을까요?
<2021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험 시험학습방법안내 127~128p>
<2020 수능 36번>
Movies may be said to support the dominant culture and to serve as a means for its reproduction over time.
(A) The bad guys are usually punished; the romantic couple almost always find each other despite the obstacles and difficulties they encounter on the path to true love; and the way we wish the world to be is how, in the movies, it more often than not winds up being. No doubt it is this utopian aspect of movies that accounts for why we enjoy them so much.
(B) The simple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at movies do more than present two-hour civics lessons or editorials on responsible behavior. They also tell stories that, in the end, we find satisfying.
(C) But one may ask why audiences would find such movies enjoyable if all they do is give cultural directives and presc/2ions for proper living. Most of us would likely grow tired of such didactic movies and would probably come to see them as propaganda, similar to the cultural artwork that was common in the Soviet Union and other autocratic societies.
* didactic: 교훈적인 ** autocratic: 독재적인
<평가원 해설>
주어진 글을 보면 이 글의 소재는 영화이며, 중심 내용은 사회 혹은 문화 속에서 영화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C)의 “if all they do is give cultural directives and presc/2ions for proper living.”이라는 내용은 주어진 글에서 말한 내용을 재진술 한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해 “one may ask why audiences would find such movies enjoyable”고 하였고, “such movies”는 바로 주어진 문장에서 언급한 역할을 하는 영화를 가리키므로 주어진 글 다음에는 (C)가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C)에서 제시한 질문에 대한 답이 (B)에서 “The simple answer to this question”으로 이어지면서, “movies do more than present two-hour civics lessons or editorials on responsible behavior. They also tell stories that, in the end, we find satisfying.”라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C) 다음에는 (B)가 이어지는 것이 논리적으로 맞다. 마지막으로 (B)의 내용과 관련하여 (A)에서 우리가 만족스럽다고 느끼는 이야기의 구체적 사례를 보여주면서 “this utopian aspect of movies that accounts for why we enjoy them so much.”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따라서 이글의 올바른 순서는 (C)-(B)-(A)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밑줄친 문장은 평가원이 제시한 근거들입니다.
지시사만 사용하나요? 아니죠
재진술, 질문에 대한 답, 예시등
지문의 구조를 근거로 듭니다.
이번 6월 모의고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평가원은 순서/삽입 문제에서 지시사, 접속사를 없애고있습니다.
심지어 39번 문제에서는 지문안에서 단절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럴때 일수록 중요해 지는 것이 지문의 구조입니다.
지금이라도 지문의 구조에 대해서 면밀하게 공부합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223 0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 2(80단어) +추가 표제어 암기 영어 수능특강 3강...
-
지각이야 지각~ 4
-
얼버기 0
부지런행
-
젭알
-
나만 강의가 한두개 뜨는거임? 교재 사야 강의가 다 뜨는건가요? 왜 강의가 전부...
-
얼버기 19
-
음냐링 3
30분만 더 잠
-
ㅇㅂㄱ 9
-
ㅇㅂㄱ 0
-
ㅇ
-
이제 진짜 거의 두 달 남았네.
-
얼 1
음
-
어르버르기 3
-
시대인재 3관 0
혹시 창가 근처 자리면 자동차 소음 좀 심하지 않나요?
-
얼버기 0
좋은하루
-
최근 수능국어 시험들 난이도 나열해보면 21 - 적절함 22 - 씨발 23 -...
-
아가 일어낫어 0
아웅졸려 얼버기!
-
얼버기 0
좋은 아침입니당
-
국어 커리큘럼 0
제 국어 커리큘럼 봐주실분 구합니다
-
잠잘못잔것도아닌거같은데머리를오른쪽으로살짝만기울여도목이너무아픔왼쪽으로기울였을땐안아픔거의1년째이럼
-
방구방구뿡뿡뿡 16
방귀쟁이뿡뿡뿡우하하
-
인바디 ㅇㅈ 2
-
출근 5시간전 3
6병 돌파 취권 가자
-
고등학교때도 1
늦잠잤을때 열나서 병원간다고 하고 진단서 떼우면 질병지각으로 처리되는거 통하나요
-
4월이에요 2
4월은너의거짓말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의대 가서 복전 2
의대 가서 복전하는 경우가 있나요? 있으면 의대 1년 유급은 거의 확정적으로 해야하지 않나요?
-
에휴 라고 생각하기 전에 오늘의 스크린타임을 되돌아봅시다 릴스 좀 작작쳐봐라 라고...
-
ㅇㄴㅎㅈㅁㅅㅇ 2
ㅈㄱㄴ
-
흫 4
기분좋아
-
예비의주빈 취침 5
설레서 잠이안오네
-
빨리 돈 벌고 싶어요 11
개강 이래 한 달 동안 식비로 40, 기숙사 들어온 첫 달이라 세제 밀대 행거 샴푸...
-
ㄱㄱ혓
-
진심이다...
-
현역 이번 3모 성적입니다. 언매 89 미적 81 영어 96 사문 47 생명 45...
-
돈달라고? 으이구
-
역류성 식도염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게 느껴져요
-
살기싫다 8
안녕들하신가요
-
섹완 ㅋㅋㅋㅋㅋ 4
확실한건 어제 시킨 개창렬 1인피자보다 포만감이 더 느껴진다는거임
-
N수생 1
용돈
-
ㅇㅈ 23
똑같은위치에서 봇치따라하기
-
인문1등인데걍자연계애들한테상대가안되네….. 과탐했으면진짜큰일났을듯 그리고 현역들...
-
수능준비한다는 티가 나지도 않으면서 적당히 재밌고(나는 재밌었음) 수능범위에서...
-
잘자요 2
-
저렇게 뛰는 서울대생 봄 뭐죠… 몸이 여러갠가
-
지브리 어케하는거냐
-
지브리 해봤는데 2
이건 뭔 딴 사람을 만들어놨네 ㅋㅋㅋ
단순히 수능뿐만 아니라 사관, 경대, 텝스생들에게도 중요한 말이라고 생각드네요 감사합니다:)
단절윽 찾아야 겟다고는 알겟는데 그게 잘 안보여요ㅠㅠ 글의 구조위주로 봐야하나요?
평가원이 출제하는 단절은 지시사 단절
최근에는 내용상 단절입니다
이번 38번도 Alternatively를 통해 뒤가 Solution이니
앞에는 Solution에대한 Problem이 나온다 생각하시면
쉽게 푸실수잇구요
39번 같은 경우 Process가 제시되엇고
그 안에서 추론하는 거기때문에 구조가 중요합니다!
영어 진짜 못 하는 사람인데
지문의 구조 공부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영어 구조는 국어 구조와 비슷합니다
우선 단어와 구문을 통해서 해석을 보완하시고
기출문제를 보시면서
한문장 한문장의 연결고리를 파악하는 연습을 하셔야합니다
예시 구체화 전환 대비 나열 인과 P-S Q-A가
주로 출제됩니다
구조독해!
이런 방법 책으로 출간해주심 안될까요.. 6평 듣기 2점 나간 87따리입니다..
구조독해로 출판합니다!!
기다릴게요..... 저 6평 듣기 2점 나가서 87점인데 뭘 어찌 해야할 지 몰라서 고민이에요...
이번달안으로 출판될거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우선 듣기는 괜찮습니다
하지만 ebs 수특수완 점심때 꾸준히 들어주셔야합니다
87점이시면 충분히 잘하시고 있습니다
크게 걱정하지마시고 스스로를 믿으세요!
혹시 사관학교 기출에 대해서는 안다뤄 주시나요.??? 그것보다 그냥 제 상태에서 ebs만 죽도록 파는 게 나을까요?? 무조건 1등급 받아야 가고 싶은 대학을 갈 수 있거든요 ㅠㅠ..... 단어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구문도 부족한 것 같기도 하고...
단어는 우선 기출+ebs단어 꾸준히 외워주시구요
87점이시니 구문은 해석 체크하시면서 모르는 구문 따로 정리하셔서 꾸준히 보셔야합니다
일단 영어가 ebs 직접연계가 크긴하지만 비연계가 21문제기 때문에 기출-ebs변형-기출 이순으로 돌려주시면 안정적으로 1등급 맞으실 수있으실겁니다
사관학교 기출은 다루지 않습니다 ㅠ
삽입이라는 단어..
해석은 전부 할 줄 아는데 어법 문제는 아예 할 줄 모릅니다. 수능날 어법 문제를 맞히려면 어떻게 공부 하는게 좋을까요?
어법 한문제에 투자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나오는 포인트가 뻔하기도 하고
해석이 다 되신다면 구문을 잘 알고계실거고
구문에서 단순히 좀더 디테일한것이 어법이기 때문에
특강을 들으시거나
스스로 기출문제 풀어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실 겁니다!
특강 들어보겠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제가요즘에 뼈저리게느낀거네요
지시사가 중요한거는 부정못하지만 너무 거기에 함몰되어서는 안되겠죠..
가장중요한건 문장간 논리, 글의 구조니...
38 37 39다 맞은 사람으로써 이명학이 최고입니다. 이명학 들은 사람은 38 39푸는데 1분도 안걸림..진짜 제일 쉬운게 삽입 어려운게 빈칸이랑 순서임 삽입만큼 수ㅏ운게 없음 단절만 찾으면 바로 답이라서...
저도 리로직 들었는데 오히려 요새 삽입이 제일 어렵던데ㅠㅠㅠ정답은 맞혀도 찜찜함이 남아있음,,,
그건 회독 안하셔서 그럴거임 2,3회독 하면 삽입이 데일 쉬움 답도 명확하고 이명학쌤도 삽입은 근거가ㅡ딱 보여서 쉽다하시는게 이유가 있음요
알고리즘만 봐도 충분한가요?
아뇨 순삽은 알고리즘으로 해결 안될거에요 알고리즘은 순삽에 필요한 논리를 알려주는게 아니라서
단순 직독직해만을넘어 문맥의 선후관계,흐름까지 살펴봐야하는 고난도 문제라 생각합니다.
이 문제들을 넘어서야 1등급이되느냐 2등급이되느냐의 '벽'인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