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1등급분들 필독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92515
어제 많은분들이 쪽지랑 댓글남겨줘서 진짜 도움 많이됬어요
그 결과 제가 진짜 글을 개판으로 읽고 호구짓했고 매일 80점대유지한게 놀라운결과라는 쪽지도받았어요
제가 그래서 어제 조언들 다 읽어보고 일단 백지법부터 해봤는데
진짜 글읽고 남는게 하나도없더라구요
차라리 점수대라도 아예 50-60점대나왔으면 진짜 심각하게 문제있나보다하고 일찍 알았을텐데
문제푸는 스킬만 진짜 연습해서 안풀리면 실력이아니고 실수했네 이딴식으로 생각하다보니
이지경까지 왔나싶어요
그래서 결론은 독해력을 올리고싶은데 어떡하면좋을까요
남은기간이 이제 40일인데..기본적으로 독해력을 올릴 수 있는기간인지..
제가 20년살면서 책이라곤 아낌없이주는나무,어린왕자,삼국지,아프니까 청춘이다 진짜 이거밖에없는거같아요
어린왕자도 그냥 내용만 대충알지 다른사람들처럼 감명받고 이러진못하고 딱히 떠오르는게없어요
남은기간 독해력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냥 ebs모든 글 다 첫줄만보고 머리속에 연속으로 내용떠오를때까지 읽고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녁여캐투척 8
명란젓키타
-
한권으로 크게주면 안되나 모든선생마다 매주몇권씩주니 개좆같네ㅅㅂ 내가 존나예민한건가
-
어떤가요?
-
똑같은회사가면 후자가 더 메릿이있나
-
건동홍 컬렉터 3
건동홍 다 모았네 하지만 중대로간다
-
으흐흐
-
터미널 챌린지 6
연습했는데 힘드네
-
오피셜 0
https://youtu.be/VEVqay5q0Io?si=rBhI7P4xm_O1RRR-
-
하
-
할말하않.. 12
-
3개 성공적으로 수집 완료
-
23 6모 국어 언매 선택하고 풀어봤는데 언매 언어에서 4개 틀려서 9점 까이고...
-
당시 수특에 잇엇는데 절대 안나올 지문으로 뽑히다가 나와서 뒤통수 후려갈긴걸로...
-
세월이여...
-
3세트정도 가볍게 풀어야지
-
정말 상당히 아팠음
-
반드시 그 극대점과 극솟점 사이에 변곡점이 있나요?
-
1세 반수 0
1세반수 하려면 수강신청 기간에 온라인으로 1학년 세미나만 신청하면 되는건가요?
-
아 궁디 아파 2
넘 오래 앉아있었나봐 ㅠㅠ
-
전문대에서 학고반수 할려고하는데 교수님한테 미리 말 해놔야함? 어이없는 질문이긴한데...
-
네
-
경험담임
-
말던지 앞에서 말하고 끝내야겠다
-
전에 다니던 스카에 용트름빌런 있었는데 스카 옮겼더니 걔도 곧 여기로 왔단말임?...
-
이과에 1점중반 내신인데 정시에서 문과로 교차지원할시 cc 나올 가능성있나요 ??
-
여기 좋아♡♡
-
ㄷ44집갈째띠지핮시근정도2
-
내가 수학4여서 대학을 못가는 사람인데 3모까지 하나는 확실하게 하고 시퍼서 뉴런을...
-
소로소로 오와리니시요
-
에타에 대거 펑크란 찌라시 어제 봤는데 ㅇㄱ ㅈㅉㅇㅇ??
-
제곧내
-
다이어트 개망했다 그냥
-
연애는 못해도 괜찮음 37
본좌도 연애 못하고 있지만 탑툰과 애니를보면서 사실상 연애중이라 봐도 무방한 심리상태임
-
기숙학원 다녀보신 분들 13
소지품검사 어디까지함?? 필통도 다 열어보고 옷가방안에 들고가도 다 열어보려나
-
이거ㄹㅇ임뇨
-
s 세타라고 두고 미분하고 d 세타랑 dx dy 끼리 값다 구하고 s'세타값 구하는걸로
-
아니 일단 그 뭐지 초1은 기억이 안나고 중1은 초딩 친구 몇 명 있어서 남녀 안...
-
영어문제 질문 3
왜 어법상 틀린거임? 어디 부분이?
-
최고의 조합 ㅇㅈ 11
-
미적하는 중인데 계속 확통이 아른거리네
-
없음
-
새터 0
안가도 문제없겠지? 반수할거라 그시간에 공부도 할겸 안가려고 했는데...
-
친구가 아프다고 나한테 dm보내면 내가 침놔줄까? 라고해보셈 그럼 어떻게 놔줄건데...
-
히토츠데 이이 4
치라누 보탄노 히토츠데 이이
-
재수생인데 하루종일 앉아있으니까 계속 딴생각이 드는데 뭐라그러지 문제를 풀면서도...
-
확통<<<<<미적 11
은 아닌거 같고 확통 처음 하는데 문제 왜 이리 안 풀림? 시발점 워크북 정답률이...
-
재수랑 군수랑 하니까 올해 4월말에 전역하는데 1학기 건너뛰고 여름계절로 듣고...
-
한심하다 2
그 사실을 나도 알고 있다 그 꼴을 보기 힘들어하시나 보다 근데 나는 바뀔 의지도...
-
간지가 좀 떨어졌잖아요 만약 의대가 증원해서 입결떨어지면 간지가 떨어질까요?
-
대학 캠퍼스에 잇따른 화재…방화 추정 20대 중국인 유학생 검거 2
울산의 한 대학교 안에서 연쇄 방화를 저지른 20대 중국인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비문학 독해력 높여주는 강의 들으세여
전 김동욱 쌤꺼 들었는데
시간이 없으시다면 제가 한강 한강 들으면서 정리한 교훈?결론? 만 적어드릴게여
독해할 때 항상 유념하시고, 이론적으로 알기만 하면 되는게 아니라 적용하는게 점수를 높이는 길입니다
1.첫문단을 보고 [중심화제 + 다음 글에 이어질 내용] 을 찾는다.
2.필자와 문제의식을 같이 하게 되면, 글의 전체 내용이 보인다
(예 -> 과학지문:부활절을 정확히 지키려는 필요로 그레고리법으로 역법을 바꾸었다
---> 그레고리법으로 바꾼 이유 : 부활절을 정확히 지키기 위해
그렇다면 글 전체는 그레고리법으로 바꾼 이유와 그레고리법이 대체 무엇인지, 그럼으로써 최종 목표인 부활절을 정확히 지킬 수 있게 됬는지 이런 구조일것이다. 구조를 알고 읽는것과 구조를 모르고 읽는건 전체적인 글의 주제를 아냐 모르냐의 문제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여기서의 필자의 문제의식 : 부활절을 정확히 지키지 못하는 기존의 율리우스력을 개선하고싶다 이것이겠지요?
이렇게, 필자와 문제의식을 같이하면 글의 전체 내용 파악에 용이합니다.
3.글을 읽을 때, 한줄 한줄 초집중해서 읽어야한다. 내가 무심코 흘려읽은 2줄에서 선지가 출제될 것이다.
------> 항상 이런 마인드로 읽으면 놓치는 지엽적인 부분이 점점 없어집니다
4.문단을 읽고, 항상 그 문단의 내용을 한 줄로 정리해보라.
(예 => 첫문단이 사전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개념 설명이고, 둘째 문단은 갑자기 쌩뚱맞게 자전거 얘기가 나옵니다; (어? 가뜪이나 머리도 복잡한데 자전거가 왜나와)
그렇다면, 학생들은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안되고, 그 문단을 읽었으면 " 아 그래서, 이 문단은 첫 문단의 개념들을 자전거로 예를 들어 설명해주면서, 중심화제를 확장,심화 한것이군" 하고 지나가면 문제풀이에도 큰 도움이 되요
5.첫문단의 중요성을 뼛속 깊이 인식해라. 괜히 중요하다 중요하다 하는게 아니라 정말로 중요하다 !
why? : (김동욱 쌤이 들어준 예시) vs 수능날 주의할 점
1. 일찍간다 1. 일찍 간다
2. 쉬는시간에 푹 쉰다 2. 쉬는시간에 푹 쉰다
3. 최선을 다해 임한다 3. 최선을 다해 임한다
위에서와 같이 [수능날 주의할 점] 이 부분은 첫문단에 해당합니다, 님이 첫문단 대충 날려읽고 1,2,3번 읽으면 전체적인 글의 맥락이 무엇인지, 이 글을 쓴 필자가 도대체 무엇을 말하고 싶은건지 파악이 안되서 읽어도 읽은 것 같지가 않은겁니다.
첫문단은 표지판과 같습니다. 님이 앞으로 생각해야할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어요, 첫문단을 대충 읽어내려간다는건, 글의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데 시간도 더 오래 걸리게 하고 (갑자기 1,2,3번을 만나니까 얘네들이 그래서 뭘 말하고 있는건지 모름) 읽어도 글의 결론이 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반드시 첫 문단에서 중심화제와 다음 글에서 나올것 같은 내용(예술,인문 등등) or 필자의 문제의식(과학,경제,인문 등등)을 파악하고, 그 다음 문단의 내용이 생소하더라도, 괜히 튀어나온게 아니라 첫문단과 연관이 있을거라고 생각하며 읽는다면, 한결 더 수월하게 읽으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끝에 가서 두문단 정도 첫문단에 나오지 않은 소주제를 밝히며 내용을 전개하는 경우도 있긴 한데,(예 => 첫문단:인간의 인식은 언어표현에 영향을 미친다/ 4번째문단: 그렇다면, 반대로 언어표현이 인간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그런 지문보다 위처럼 첫문단이 글의 전체 내용을 아우르는 그런 역할을 하는 지문이 더 많습니다.
이보다 더 많은걸 정리했지만, 글의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이쯤 끝내겠습니다
이 정도만 지켜도 독해력을 높일 수 있고, 글을 똑똑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내용을 숙지했다고 하더라도, 막상 비문학 읽으실 때 적용 안하고 읽으면 보나마나 입니다.
반드시 적용/응용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말로만 하는게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라 라는 말처럼, 아는것에서 끝나지 않고 적용해라! 응용해라! 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윗분처럼 하는게 가장 이상적인데 그게 안되시면 읽으면서 '에라이 그래서 어쩌라는거야? 하고싶은 말이 뭔데 그래서?'이런 질문을 던져 보세요. 정교한 독해는 안될지언정 최소한 글의 핵심은 짚을 수 있습니다. 내용일치 같은경우는 스킬로 극복이되니깐 핵심이라고 정확히 파악하는쪽으로 가보시는것도..
김동욱 이비다 들어보세요
독해력은 김동욱선생님 이비다인데 결국 중요한건 연습량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