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급효과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821790
미적분 맛보기 내용을 보니까 그래프 위주의 직관적 풀이를 구사하는거 같은데 맞나요? (이창무 느낌)
해보신 분들 어떠셨는지 알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114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7년 05월) 47
본 제114차 심사는 2017년 5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신청은...
-
제113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7년 04월) 0
본 제113차 심사는 2017년 4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신청은...
-
제112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7년 03월) 6
본 제112차 심사는 2017년 3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신청은...
-
제111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7년 02월) 10
본 제111차 심사는 2017년 2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신청은...
-
제110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7년 01월) 34
본 제110차 심사는 2017년 1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신청은...
-
제109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6년 12월) 38
본 제109차 심사는 2016년 12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
제108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6년 11월) 25
본 제108차 심사는 2016년 11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
제107차 에피/센츄리온 심사 결과 (16년 10월) 38
본 제107차 심사는 2016년 10월에 접수된 신청에 대한 결과입니다. 심사...
완전히 직관을 이용한 것은 아니고 그 직관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와 이에 적합한 설명을 하는 구조입니다.
h(x)= f(x) (x>=a), g(x) (x<a) 일 때
1. f(a)=g(a)여서 h(x)가 x=a에서 연속이고
2. f(x), g(x) 각각이 x=a에서 미분가능하다면
위의 경우엔 도함수 극한으로 미분가능성 조사한다고 하셨잖아요...
근데 위의 경우라면 도함수 극한 필요없이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해 f(a)=g(a), f'(a)=g'(a) 사용하면되잖아요.
뭐 그러셔도 되는데 때에 따라 (구체적인 식이 등장하는 경우, 이건 예시를 들어 설명해야 하는데 여기에 일일이 다 적긴 힘드네요) 도함수 극한이 편할 때가 있습니다.
다만, 정의로 하셔도 확실히 한다면 큰 시간 차이는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