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고수님들!!!! 기출질문 하나만 봐주세요 ㅠㅠ 근거찾기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73600
2011학년도 수능 45번문제요 채권비문학문제인데..
근거가 안보여요 이문제왜이렇게 어렵나요
1번부터5번까지 명확한 근거를 찾기가 힘들고 다 추론하고있는데
불안하네요
제시문속에서 근거 찾으신분들 알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탠다드수2ㄱㅊ게풀정도면이해원n제시즌1바로들어가도되나요? n제를한번도 안 풀어봐서...
-
자버렸음 3
시바
-
Don't Blink <-- 우는 천사 GOAT
-
다시 현생을살자
-
닥터후?얘나오는거 이유는 ㅁㄹ겟는데 개역겨워
-
뉴런에 있는 문항들은 개념 배우고 푸니까 잘풀리는데 타 문제들도 정복 가능함? 뭔가...
-
수능 수학도 어려워요
-
요즘 나오는 8~10번용 입문N제는 실제 시험에서는 10~12번 난이도인듯 2
마찬가지로 11~13번용 입문N제는 실제 시험에서 13~15번 난이도임 모래주머니...
-
"한덕수 재판관 지명 위헌 확인" 헌법소원·가처분 잇따라 1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사진)가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위헌임을...
-
내가뽑아줄게
-
저 슬슬 무서움뇨 단어 하나하나가 저를 관통하는군뇨
-
이게 진짜 궁금함.. 왜냐하면 어디서 가무한 실무한 얘기를 대충주워들어서 잘 기억은...
-
21대 대선 후보 기호 1번(더불어민주당) 하츠네 미쿠가 선거 운동을 하는 모습이다.
-
젖지안나오냐 진짜 대머리같은것
-
대성패스 저렴하게 양도해주실 분 계실까요? 가격은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몰래...
-
쓰레기 개새끼 6
나쁜 놈, 인간말종
-
아무도 안적어저 어떻게
-
회로 과부하 1
녹아내리는 퓨즈
-
난 정상인이었어
-
내가 뭘본거지 6
진짜 개더러운걸봤는데
-
작년 수능에서 국어5 영어4 나왔는데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까요 집은 강남쪽에 살아요
-
사설 국어를 풀다보면 문학 파트 옳지 않은 문제에 와 지문에 없는 선지의...
-
음침하게 혼자 오르비하는건 디폴트니까 그건 좀 빼시고
-
위치 상관없음
-
일단 여자는 그런거 같음
-
더러워요..
-
앙 2
앙
-
똥쌌어
-
대단하다 진짜
-
새 프사 어떰 3
.
-
전학 vs 자퇴 2
ㅈ반고 다니는 정파 고2인데 자퇴하고 독재다니거나 집주변 갓반고 전학 고민중입니다....
-
실험 과목들이 특히..
-
노곤한거 같음 하루종일 잤음 몸에 기운이 없어 내일부터는 안먹어야지
-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지겠지
-
제가 맨날 강아지 귀엽다고 코박고 끙끙 소리 내는데 얘가 기분좋을때마다 끙끙거리는게...
-
진리를 꿰뚫는다
-
곽준빈이나 기안84 보면 지상파 방송이 예전같진 않아도, 확실히 그 상징성 같은 것은 있지 않나요? 2
지상파에 고정으로 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구독자 수와는 별개로 완전한 메인스트림으로...
-
흠..
-
나랑 마주칠때마다 ㅈㄴ웃음 곧 자살할 예정
-
꺼라
-
팩트는 인간이랑 공룡은 서로 만난적이 없음
-
아빠가 사주라 하고서 데리고 갔는데 아무것도 말 안해도 다 맞힘 게다가 재밌음 +...
-
우리집 누렁이도 아는데..
-
흠..
-
ㅇㅇ
-
겁나 하기 싫다 진짜
채권 첫번째문제인가요..? 다 근거있는데..
두번째문단인가 순수익은 현재가치-채권가격이고
첫번째문단에 액면이자액=액면금액x뭐더라..
책이지금없음 암튼 이런 수학적관계위주로 내용생각햐보면 다 근거나와여
팁으로 비문학문제에서 항상문제로나오는게 정비례 반비례관계 위에쓴댓글처럼 수학적관계가 항상 문제로나옴 작년 불확정성49번문제인가 그것도그렇고요
45번 문제 해설입니다..
발문) 위 글로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은?
① 채권이 발행될 때 정해지는 액면 금액은 채권의 현재 가치에서 이자액을 뺀 것이다.
☞ 액면금액이 어떻게 결정 되는지는 제시문(본문)에 전혀 언급 되지 않았음.
즉 본문에 없는 말을 하고 있음.
불일치라 생각하면 됨.
발문이 ‘미루어 알 수 있는’이라 해서 추론을 요구하여
학생들을 헷갈리게 하는 전형적인 문제임.
앞으로 ‘미루어 알기’ 문제는 일치/불일치로 접근하기 바랍니다.
‘채권의 현재 가치’와 ‘채권 가격(매입 가격)’과 ‘액면 금액(가액)’의 개념과 관계를 다시 한번 정리해보세요..
② 채권의 순수익은 정기적으로 지급될 이자액을 합산하여 현재 가치로 환산한 값이다.
☞ 2문단에서 ‘순수익’ = 현재 가치(액면 + 이자의 현재 가치) - 매입 가격(채권가격)
역시 불일치
2문단의 내용이 아니더라도 상식선에서 말이 안 되죠.
순수익을 계산(알려면)하려면 이자가 얼마든 간에 내가 채권을 사는데 얼마 들어갔는지
비교 기준이 있어야 하는 것이잖아요..
아무리 이자가 높아도 구입할 때 이자 보다 비싼 값을 주고 사면 손해가 나지요.
즉, 이익을 따지려면 투자 금액이라는 절대적 비교 기준이 필요하다는 일반적 상식에서 벗어난 선지입니다.
이런 것은 이윤에 약간 센스가 있는 학생이라면 그냥 제껴놓습니다. ㅎㅎ
③ 다른 지급 조건이 같다면 채권의 액면 이자율이 높을수록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 1문단 마지막 ‘채권 가격은 현재 가치, 만기, 지급 불능 위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요인이 모두 같다면 이자를 더 주는 쪽이 비싸지는 것은 당근!
역시 그저 넘어가는 선지
④ 지급 불능 위험이 커진 채권을 매입하려는 투자자는 높은 순수익을 기대한다.
☞ 4문단, ‘기업은 지급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런 채권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위험을 감수해야하므로 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위 ②번 선지에서 ‘순수익’을 생각해 봅시다.
현재 가치는 정해졌다고 합시다.(왜냐면 채권이 발향될 때 액면과 이자율은 정해지므로, 1문단에 있음) 그럼 현재 가치를 100원이라 합시다. 지급 불능 위험이 커지면 채권가격이 떨어지죠? 채권 가격이 80원 정도 였는데 기업의 지급 불능 가능성이 높아져서 채권 가격이 50원으로 떨어졌으면 어느 쪽이 높은 순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까요?
역시 지문에 의존하지 않고도 상식선에서 풀리는 문제입니다.
학생들은 생활 경험이 조금 부족해서 어렵지만 엄마나 아빠께 물어보세요..
당근 빤쭈라 할겁니다..
⑤ 일반적으로 지급 불능 위험이 낮으면 상대적으로 액면 이자율이 높다.
☞ 지급 불능은 4문단에서 다루고 있는데 이자율과의 관련성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으며,
1문단에서 이자율은 채권이 발행될 때 정해진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자율을 정하는 요인(요소)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습니다.
본문과 완전 불일치..
추론하려 들면 말려듭니다..
언어영역 비문에서 추론하는 문제는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이 일치/불일치 이며, 적용하기와 어휘 문제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