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자듀(고구마) [348398]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12-09-11 10:08:03
조회수 7,925

[고구마학습칼럼] 15. 9평 이후에도 성적은 오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7190

안녕하세요.

고딩을 구하는 마법사, 고구마입니다.

약속드렸듯이 강연회 내용들 중 중요한 내용을 칼럼으로 작성하려고 했는데 밤새 사건이 있었네요.

한 최상위권 수험생의 9평 성적이 좋지 못한 학생들을 자극하는 글이었는데

여론의 방향이 생산적이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이 논쟁과 관련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수험생분들의 경우 이런 글에 흔들리고 시간을 낭비하지 마셨으면 합니다.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입니다.)


강연회때도 이야기했는데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성적은 분명히 9평이후에도 오릅니다.

물론 모든 학생들이 성적이 오를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수능이라는 시험이 기본적으로 상대평가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두의 실력이 오르는 것은 가능하지만 모두의 성적이 오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성적이 오르는 수험생들이 있습니다.

경험상 그 확률은 10~20% 정도라고 봅니다.
(이것에 대한 설명은 얼마전 lacri님께서 쓰신 칼럼을 참고하시면 제가 드리려는 말씀을 자세히 해주셨으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제가 가장 성적변화를 잘 알수있는 지도학생들의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제가 2달간 3등급 학생 10명을 지도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1~2명 3->1
6~8명 3->2
1~2명 3->3

즉 1~2명은 평균 이상의 결과가 1~2명은 평균 이하의 결과가 나타나고 나머지 학생들은 평균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 원리를 수험생 전체로 확대한다면 9평에서 수능까지의 평균적인 변화는 0입니다.
(시험 자체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기간을 아무리 늘려도 수험생 전체의 평균적인 변화는 0 즉 제로섬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평균 이상의 결과를 내는 1~2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이라면 당연히 평균 이상의 결과를 내는 1~2명의 학생에 속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최선을 다하는 일은 1~2명의 속하기 위한 기본 조건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전체 수험생의 1~2명이 특정 상황이나 집단에서 집중 발생된다는 사실입니다.

고시계에 이런 속설이 있습니다.

"스터디를 하면 스터디원이 대부분 잘되거나 대부분 안된다."

실제로 고시를 합격한 친구들 주변은 평균 고시합격율보다 훨씬 높은 비율로 합격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수험생 여러분께서 어떻게 해야할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9월 10월 두달간 평균 이상의 결과를 내는 평균 이상의 학습계획을 짠다.

2. 최선을 다한다.

3. 최선을 다했는데도 평균 이하의 결과가 나오기는 어렵기 때문에(평균 이하의 결과가 나오는 원인은 대부분 노력이나 집중력부족이고 일부는 운이 정말 없는 경우입니다.)
수능 때 일정수준의 성적향상을 얻을 것이다. 이 경우는 수능대박은 아니지만 스스로 만족할 만한 결과이다.

4. 물론 일부는 평균 이상의 결과를 얻을 것인데 이 경우가 수능대박이다.(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오는 원인은 대부분 엄청난 노력과 집중력 때문이고 일부는 운이 정말 좋은 경우입니다)


상대평가인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의 평균성적의 변화는 없습니다.(물론 실력의 상승은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성적이 오르는 학생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매 시험 전체수험생의 10~20%정도는 성적이 꽤 오릅니다.

게다가 이 10~20% 평균이상의 결과를 내는 집단에 속하는 것은 학습계획 단계에서 결정되는 부분이 큽니다.

자신이 평균 성적이 오르는 평균 이상의 학습계획을 짰다면 이 계획을 따를시 성적이 오를 확률은 10~20%가 아닌 60~80%정도가 됩니다.
자신이 평균 성적이 변화가 없는 평균의 학습계획을 짰다면 이 계획을 따를시 성적이 오를 확률은 10~20%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달간 성적향상 확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학습계획을 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계획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작년 제 사촌 동생의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저의 사촌동생이 9평 성적이 나빠서 추석이후부터 제가 전화나 문자로 학습계획만 짜주고 확인만 했었는데
전체적으로 등급이 1등급 이상씩 향상이 되어 서울소재 모 대학에 합격을 했습니다.

이정도로 학습계획의 올바른 수립은 중요합니다.

9평 이후 수능까지 성적이 오를 확률은 높다면 높고 낮다면 낮습니다.
평균 이상의 학습계획을 세워 높은 확률을 기대해보는 수험생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제 말고도 평균이상의 학습계획을 세워주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성적향상의 성과는 대부분 거기에서 나오니 가능하면 스스로 하기보다는 선생님이나 멘토의 도움을 받아 평균이상의 학습계획을 세우셨으면 합니다.


저는 당분간 수험생활의 마지막 시점에 저를 믿어주신 수험생 분들의 평균 이상의 성적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시간동안 수업연구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전처럼 한분 한분 개별상담을 해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평균 이상의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만한 칼럼은 계속 진행되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한분한분 다 상담을 해드려야 하는데 시간이 부족해 그렇게 하질 못해 정말 죄송합니다. ㅠㅠ
평균 이상의 좋은 계획을 짜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지난주 강연회 내용중 중요한 내용들을 틈틈히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수업준비로 상담이 힘들다고 했는데 오히려 평소보다 상담이 더 많아졌습니다.
수업준비를 하면서 틈틈히 와서 답변을 해드리고 있는데
문자나 전화로도 상담요청이 많이 와서 상담이 조금 지연되고 있습니다.
쉴시간을 쪼개서 답변을 해드리고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