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해수 밀도 관련 질문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58142

ㄴ선지가 이해가안돼여.. B와 비교했을 때 염분이 33/35만큼 감소했으니 이는 밀도도 33/35만큼 감소해야하는데 실제로 계산하면1보다 밀도가 작아집니다 근데 왜 ㄴ 선지가 맞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58142
ㄴ선지가 이해가안돼여.. B와 비교했을 때 염분이 33/35만큼 감소했으니 이는 밀도도 33/35만큼 감소해야하는데 실제로 계산하면1보다 밀도가 작아집니다 근데 왜 ㄴ 선지가 맞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게 단순 정비례가 아닐걸요
물의 밀도가 1이니 바닷물의 밀도는 적어도 1보다 커야해요
수온 염분표 보시면 감 오실듯
감사합니다!!
왜 1보다 작아지죠
순수 물의 밀도가 1 이니까
0.027의 33/35만큼으로 계산하심 됨
1.027*33/35=0.968~
위에는 야맨데 실제로 염분과 밀도는 비례관계아님 ㅎㅎ
염분이 적으니까 밀도가 작아지겠구나! 추측만될뿐감사합니다:)
표층해수는 일단 기본적으로 물보다 밀도가 큽니다. 따라서 1보다 클 수 밖에 없구요, 액체의 밀도는 염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습니다!
감사용:)
염분이 33/35만큼 감소한다고 밀도가 그만큼 감소하는건 아니고 (당장 숫자 대입해서 계산해보셔도 아닌걸 알수있음)
지구상의 해수 중에 밀도가 1 이하인건 없습니다.
34psu 정도의 염분에서 밀도가 그만큼 낮아지려면 수온이 존나높아야돼서 지구 환경으로는 ㅂㄱㄴ
100ml 10% 소금물과 20% 소금물의 밀도는 두 배차이인가요?
이해가 확 되네
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ㅋㅋ
근데 밀도가 1보다 작은게 세상에 없다는건 교과서에 서술되어있었나요?? 아님 그냥 상식으로 아시는 건가요?
교과서에 있는 TS도 등밀도선의 숫자를 보시면 1보다는 다 크죠.
여윽시 설의유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