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해석적연구방법에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42034
작년수능문제에서 민속지를 통한 연구가 해석적연구라고 하는데 왜인가요?? 문헌연구법자체는 실증이나 해석이 아닌걸로 알고있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괜히 웅장한 티저가 떴따! 노예님의 삼수생 썰 본편은 내일 (아마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42034
작년수능문제에서 민속지를 통한 연구가 해석적연구라고 하는데 왜인가요?? 문헌연구법자체는 실증이나 해석이 아닌걸로 알고있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괜히 웅장한 티저가 떴따! 노예님의 삼수생 썰 본편은 내일 (아마도,,)...
그 문제에 그 문제에서 민속적연구가 해석적 연구라고 힌트가 있을껄요..
"도서 지역 주민들의 경제 행위에 대한"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1002&docId=218650&qb=66+87IaN7Ke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RZfkZc5Y7vossu00pIGssc--312529&sid=UESbELpyRFAAAC00kgs
민속지(ethnography)는 일반화와 비교화를 염두에 두고, 체계적으로 특정 인간사회를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민속지는 문화인류학의 자료이다. 문화인류학에서 서술과 분석은 그 구분이 엄밀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인류학자는 사회제도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위에서 사회제도들을 추론해 내기 때문이다. 인간관계와 가치의 가장 단순한 서술도 해석과 분석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므로 순수 민속지(pure ethnography)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민속지는 일차적 연구이고, 인류학은 이차적 연구이다. 민속지는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정 문화의 주의깊은 기술을 강조한다.
"민속지적 연구" 를 문헌 연구법으로 잘못 파악하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참여관찰법등을 사용하는, 그 자체로서 해석적 연구의 성격을 띠는 연구인 것 같네요. 위에 랭더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앞 부분에 "도시 지역 주민들의 경제 행위에 대한" 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면서 일종의 힌트를 주는 게 아닌가 싶네요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