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밥은치밥 · 832571 · 20/05/23 22:34 · MS 2018

    대학교 경제학과 수준의 설명이 필요하신건가요?? 설명은 어느정도 ㄱㄴ한데 대학수준까지는 불가능..

  • 수능에순응하자 · 425198 · 20/05/23 23:14 · MS 2012

    어느정도 편하게 해주셔도 됩니다.

  • 아침밥은치밥 · 832571 · 20/05/23 23:43 · MS 2018

    제가 알기로는 평균가변비용곡선(avc)에서의 최저점이 조업중단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저점이 아닌 순간에도 손실이 발생 할 수 있겠지만, 기업의 상황에 따라서 시장에서 철수하기도 하고 철수를 하지 않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시장에서 철수할 경우 계속해서 쓰이게 될 가변비용에 대한 회수는 가능합니다만, 이미 들어가 있는 고정비용은 돌려 받을 수 없게 되기때문에 그 손해를 막기 위해서 생산을 계속하게 됩니다.

    또한 제가 알기로는 경제학에서 다루는 비용과 회계장부에서의 비용은 다르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월 1000만원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사업B를 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 사업을 통해 A가 벌어드리는 순수익이 1500만원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경제학의 관점에서는 A라는 사람이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월 1000만원이라는 이익을 포기하였기 때문에 10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갔다고 생각을합니다. 하지만 기업체들의 장부에는 1500만원의 이익이 발생하였다고 하죠. 이래서 경제학에서 다루는 이윤이 0인것과 기업의 장부간의 괴리감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경쟁시장에서 다른 경쟁자들의 진입으로 A의 수익은 점점 줄어들것이고 이로 인해 장기이윤이 0으로 갈것입니다.

    여기서 기업들의 효율성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A는 사업에서의 효율성을 높여 다른 경쟁자들이 1000만원을 벌때 1100만원을 벌어들이며 장부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죠. 결국 경쟁시장이란 구조로 인해 장기이윤이 0으로 갈 전망이여도 기업의 효율성이 좋다면 이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효율성이 좋지 않고 자본이 적은 기업의 경우는 시장에서 도태가 되기 쉽겠죠.

    이를 통해서 기업들은 장기이윤이 0일때 효율성을 높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라 하면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에 대한 구조조정이라던가, 인사평가제를 실시한다던가, 동일한 비용으로 더 많은 생산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것입니다.

    얕은 경제학 지식이지만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ㅎㅎ

  • 수능에순응하자 · 425198 · 20/05/23 23:44 · MS 2012

    감사합니다 혹시 제가 회계 관련해서 물어본글도 있는데 그글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부탁드립니다!

  • 아침밥은치밥 · 832571 · 20/05/23 23:45 · MS 2018

    회계쪽은 제가 잘 몰라서요 죄송합니다 ㅠㅠ 주식 공부하면서 각종 경제학을 공부했던거라 회계쪽은 재무재표 보는 법 말고는 잘 몰겠네요

  • 수능에순응하자 · 425198 · 20/05/23 23:46 · MS 2012

    알겠습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