넵.SweeticS님이 잘설명해주셨는데요,조금더 설명을하자면 일단 어근접사가 용언을구분할때 쓰인다라는생각은 버려주십시요.예시를들어볼게요 '먹이다' 라는단어가있습니다.이때 먹이다를 활용하면,먹이고,먹이니,먹이어서 등이 됩니다.이때 변하지않는부분인 '먹이-'까지를 '어간'이라고 부르고,뒤에 막 변하는'-니,-고,-어서'등을 '어미'라고 부릅니다.자 여기까진 이해되시죠? 그다음에 어근,접사를봅시다. 어근이란 간단히 무엇이죠?단어의 실질적의미를 나타내는부분이죠.먹이다 라는말을 잘생각해보면 먹+이+다 로 쪼갤수있겠군요,이렇게 쪼개는이유는 '먹'이라는 아이가 쉽게말하자면, 우리머리속에서 먹는행위를 떠올리게 만드는 실질적인 아이이죠? 이런애를 어근이라합니다 '이'는 그럼 무엇일까요,먹'이'다라는 단어를보면강제로 숟가락에 반찬얹어서 입에다 쑤셔넣는 장면이 떠오르죠? 이때 시키는것.즉 사동의 의미를 '더해주는'아이를, 단어의 의미를 더해주는아이를 '접사'라고합니다.(이때 보통 '다'는 언급하지않는걸로알고있습니다) 더 설명이 필요하시면,여기보다는 국립국어원에 물어보시면 더자세한 설명을 얻으실수있어요
용언이 활용할때 쓰는개념이 어간어미 구요,어근접사는 '단어'에 쓰는겁니다.즉 어근접사가 더넓게쓰이죠
원래 헷갈리는부분입니다,잘 정리해두시면 수능때까지 편할꺼에요
어근 접사는 용언을 구분할때 쓰이는건데 관형사와 부사는 용언이 아닌데 왜 어미의 유형에 관형사형 부사형이 있나요?
뭔가 개념이 이것저것 스까진 것 같은데 용언에 어미가 붙어서 관형사나 부사처럼 쓰이는 경우에 '관형사형 어미'나 '부사형 어미'라고 하는 거랍니다
넵.SweeticS님이 잘설명해주셨는데요,조금더 설명을하자면 일단 어근접사가 용언을구분할때 쓰인다라는생각은 버려주십시요.예시를들어볼게요 '먹이다' 라는단어가있습니다.이때 먹이다를 활용하면,먹이고,먹이니,먹이어서 등이 됩니다.이때 변하지않는부분인 '먹이-'까지를 '어간'이라고 부르고,뒤에 막 변하는'-니,-고,-어서'등을 '어미'라고 부릅니다.자 여기까진 이해되시죠? 그다음에 어근,접사를봅시다. 어근이란 간단히 무엇이죠?단어의 실질적의미를 나타내는부분이죠.먹이다 라는말을 잘생각해보면 먹+이+다 로 쪼갤수있겠군요,이렇게 쪼개는이유는 '먹'이라는 아이가 쉽게말하자면, 우리머리속에서 먹는행위를 떠올리게 만드는 실질적인 아이이죠? 이런애를 어근이라합니다 '이'는 그럼 무엇일까요,먹'이'다라는 단어를보면강제로 숟가락에 반찬얹어서 입에다 쑤셔넣는 장면이 떠오르죠? 이때 시키는것.즉 사동의 의미를 '더해주는'아이를, 단어의 의미를 더해주는아이를 '접사'라고합니다.(이때 보통 '다'는 언급하지않는걸로알고있습니다) 더 설명이 필요하시면,여기보다는 국립국어원에 물어보시면 더자세한 설명을 얻으실수있어요
그리고 용언이 활용하면.당연히 문장내에서 그 쓰임이 달라지겠죠? 나는 예쁘다.예쁜 나는 내일학교를간다 (ㅅ불)이라는 문장에서.후자에서는 예쁘다 라는 용언이 활용을하여 관형사처럼! 쓰이죠? 관형사도 아닌놈이, 관형사처럼 쓰이게 해주는역할을어미가 해주고있네요.또 보자면 나는 예쁘게 등교한다 라는문장에서는 예쁘게가 부사처럼쓰이네요? 부사도아닌놈이? 이번에도 어미가(-게) 그렇게만들었네요
어근은단어형성어간은활용!
네 뭐 한 그 정도로 정리해두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둘이 범주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