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bu대표(김형모) [403909] · MS 2012 (수정됨) · 쪽지

2020-05-18 22:37:29
조회수 3,408

물리학 공부 꿀팁 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185410

특정 물리량과 무관한 식 자체의 공통 성질을 알아두면 좋다.


0. A = A1 + A2 꼴의 등식은 A = sigma_n(An) 으로 확장할 수 있다.


1. 변화량 + 변화량 = 변화량이다. 처음과 끝만 남는다.

ex) [A에서 B] + [B에서 C] = [A에서 C]


2. A = B * [변화량 C]이면, B가 구간 n에 따라 변하는 경우 A = sigma_n(Bn * [변화량 Cn])이다. (적분)

<주의> A = [변화량 (B*C)]이고 B와 C가 동시에 변하면 그냥 처음과 끝을 빼서 구해야 한다.


3. A = [단위 B 당 C 변화량]이면 C-B 그래프의 기울기는 A이다. (미분)


4. A + B = 일정이면, [변화량 A] + [변화량 B] = 0 이다. (보존법칙)


5. "A에 대한 B의 물리량"은 "B의 물리량" - "A의 물리량"이다. (상대량)

벡터의 차와 같다. A를 원점으로 삼는 거라고 보면 쉽다.


6. 대부분 [계의 물리량 = 모든 물체의 물리량의 합] 또는 [계의 물리량 = 각 물체의 물리량]이 성립한다.


7. (A에 대한) 평균 B = (A1B1 + A2B2) / (A1 + A2)

ex) 보통은 시간에 대한 평균만 알고 있지만 질량에 대한 평균도 쓰인다.

식을 잘 보면 통계에서의 기댓값 E(B)과 식이 같다. sigma_n(AnBn) / sigma_n(An)도 성립한다.

0 XDK (+7,100)

  1. 5,000

  2. 1,000

  3. 100

  4.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