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공부 꿀팁 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185410
특정 물리량과 무관한 식 자체의 공통 성질을 알아두면 좋다.
0. A = A1 + A2 꼴의 등식은 A = sigma_n(An) 으로 확장할 수 있다.
1. 변화량 + 변화량 = 변화량이다. 처음과 끝만 남는다.
ex) [A에서 B] + [B에서 C] = [A에서 C]
2. A = B * [변화량 C]이면, B가 구간 n에 따라 변하는 경우 A = sigma_n(Bn * [변화량 Cn])이다. (적분)
<주의> A = [변화량 (B*C)]이고 B와 C가 동시에 변하면 그냥 처음과 끝을 빼서 구해야 한다.
3. A = [단위 B 당 C 변화량]이면 C-B 그래프의 기울기는 A이다. (미분)
4. A + B = 일정이면, [변화량 A] + [변화량 B] = 0 이다. (보존법칙)
5. "A에 대한 B의 물리량"은 "B의 물리량" - "A의 물리량"이다. (상대량)
벡터의 차와 같다. A를 원점으로 삼는 거라고 보면 쉽다.
6. 대부분 [계의 물리량 = 모든 물체의 물리량의 합] 또는 [계의 물리량 = 각 물체의 물리량]이 성립한다.
7. (A에 대한) 평균 B = (A1B1 + A2B2) / (A1 + A2)
ex) 보통은 시간에 대한 평균만 알고 있지만 질량에 대한 평균도 쓰인다.
식을 잘 보면 통계에서의 기댓값 E(B)과 식이 같다. sigma_n(AnBn) / sigma_n(An)도 성립한다.
0 XDK (+7,100)
-
5,000
-
1,000
-
100
-
1,000
-
대성배치표에서 이대 초등교육과 표점이 왜 515일까요? 15
이대 초교가 이화여대 간판학과에 작년기준 스크랜튼 보다높았다고 했는데 이대...

쉿...??

개꿀팁 우리만 알고있어야죠

컴공 관련 글이랑 물리 관련 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전자책 사라고 안할테니 덕코 좀 주세요 여러분
감사합니다

선형사상 시러요물2내용인가영?
기본적으론 물1입니당
3평 22점 노베에서 수능50맞기까지 파렉도움진짜 많이받었슴미다
와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