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개구리 [790112]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0-05-18 00:04:27
조회수 1,067

비문학 <스마트폰 위치 추적 방법>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171926

(16.0K) [465]

스마트폰에서 현재 위치는 GPS를 주로 이용하여 찾아낸다.hwp

현장에서 배운 내용을 복기하는 용도로 썼습니다.

부족한점이 많지만 한 번 올려봅니다.

<>은 독해를 하면서 했어야할 행동영역입니다.



스마트폰에서 현재 위치는 GPS를 주로 이용하여 찾아낸다.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통념)에 벗어나지는 않는 문장이다.>

 



그러나 실내와 같이 GPS를 이용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인접 기지국을 활용하여 알아낸다.

<그러나를 보며 우리의 일적인 통념과는 다른 점이 서술될 것을 알아차려야한다.

그리고 인접 기지국이 무엇인지인접 기지국을 활용해 현재 위치를 찾아내는 과정을 서술할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어떤 기지국에서 스마트폰의 신호가 수신되면그 스마트폰은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고 수신 가능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 지역 내에 있다고 볼 수 있고 이 여영을 위치 추정 범위라고 한다.

<여기에는 그림이 없지만 지문에 나오는 그림 1을 보며 정보를 처리했어야한다.>

 



한 기지국의 수신 가능 거리는 일반적으로 수백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에 이른다.

<그냥 그런가보다하고 넘어가면 된다.>

 



그런데 만일 두 기지국에 한 스마트폰의 전파가 수신되면그 스마트폰은 <그림1>의 음영 영역즉 두 기지국의 수신 가능 지역이 중첩되는 지역 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문장 역시 <그림1>을 보며 정보를 처리하는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기지국을 사용할 때보다 위치 추정 범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실제 통신사에서는 통화가 끊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수신 가능 지역이 서로 중첩되게 기지국을 설치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지국 수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고 기지국의 배치 형태에 따라 중첩 영역이 달라지므로이 방법으로는 위치 추정 범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줄이기는 어렵다.

<충분히 납득 가능한 문장이였고 마지막 문장을보며 일정 수준 이하로 줄이기는 

어렵다는 P를 보며 뒤에 해결책인 S가 제시될 것임을 알 수 있다.>

 



전파 세기와 거리의 관계를 이용하면 더 정확하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파 세기와 거리 관계를 관련지어 서술하며 이것을 토대로 위치를 일정수준 줄이는 방법에 대해 나오겠구나.>

 



이상적 상황에서는 전파의 세기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수신된 전파의 세기를 알면 기지국과 스마트폰 간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상적 상황에서라는 것을 보고 뒤에서는 아마 not이상적인 상확이 나올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파의 세기와 송신기-수신기 간 거리는 화살표로 정보를 처리해두자.

그러면 수신된 전파의 세기를 알면 거리를 알 수 있다는 문장이 납득 될 것이다.>

 



그러나 대기의 습도 등 전파가 전달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지국에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가 일정하지 않다.

<앞에서 예측했던 바로 not 이상적인 상황 즉 좋지 않은 상황이 나왔다.>

그러므로 단순히 전파의 세기만으로는 정확한 거리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만에 주목했다면 전파의 세기 말고 무언가가 더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파 전달 환경이 같다면특정 시간에 두 기지국에 수신된 전파 세기가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비율은 동일하다.

<앞에서 나온 전파의 세기와 송신기-수신기 간 거리의 제곱의 관계를 떠올렸다면 납득가능하다.>

 



그러므로 그 비율로부터 스마트폰과 각 기지국 간 거리의 비율을 알아낼 수 있다.

이 방법은 전파 수신 여부만을 이용할 때보다 위치 추정 범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자명한 이야기다>

 



예를 들어 두 기지국에 수신된 전파의 세기가 동일하다면<그림2>와 같이 스마트폰은 수신 가능 지역이 겹치는 영역 내에서 두 기지국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지점에 위치한다.

이 지점들을 연결한 선이 스마트폰의 위치 추정 범위가 된다.

<여기까지는 <그림2>에 나오는 그림을 보며 충분히 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앞에서 나온 것 보다 위치 추정 범위가 좁아질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기지국이 세 개 인 경우각 기지국에서 수신한 스마트폰은 전파의 비율들과 그에 대응하는 각 기지국과의 상대적 거리의 비율이 같아지는 지점은 한 점이다.

이 점이 스마트폰의 정확한 위치이다.

<이 문장 또한 <그림2>를 보며 장악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지국과 주변 건물의 배치 등의 요인 때문에 수십 미터 정도 오차가 나타난다.

<현실 반영해서 오차가 있다는 이야기라고 대충 넘어가면 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