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범 [367856] · MS 2017 · 쪽지

2020-05-07 17:36:08
조회수 507

경제 잘 아시는 분?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945716

피셔와 마셜의 방정식은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있

다면 물가와 경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바

탕으로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 정책 수단이 고안되었는

데, 그중 가장 강력한 것이 기준 금리*이다. 정부에서 기준 금

리를 높이면 사람들은 채권을 보유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

에 채권 보유가 늘고 그에 따라 통화량이 감소한다. 반대로 기

준 금리를 낮추면 채권을 현금화하는 양이 늘기 때문에 통화량

이 증가한다. 이렇게 기준 금리를 통한 통화량의 조절과 그를

통한 물가와 경기의 조절은 실제 경제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용

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정

부의 금리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일어났다.



올해 ebs 국어 지문인데,




정부에서 기준 금리를 높이면 사람들은 채권을 보유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에 채권 보유가 늘고 그에 따라 통화량이 감소한다.


이 문장이 일반적으로 맞나요?


금리를 높이면 통화량이 감소하는 건 일반적인 건데,

중간 부분에 채권에 대한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경유착 · 945098 · 20/05/07 17:39 · MS 2019

    https://m.blog.naver.com/mosfnet/221804921527
    관련 내용 주소입니다

  • 청년사범 · 367856 · 20/05/07 17:49 · MS 2017

    아 순간 헷갈렸던 부분이 있었는데 잘 풀렸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 뚀비 · 964118 · 20/05/07 17:52 · MS 2020

    기준 금리 인상 이후 신규 발행될(based on 인상된 기준 금리) 국채 회사채 등에 대한 수요 증대를 의미한다고 인지하시면 편할 듯 합니다.

  • 청년사범 · 367856 · 20/05/07 17:54 · MS 2017

    네 기존 채권과 앞으로 발행될 채권을 구분하면 되는 문제였어요 ㅎㅎ
    답변 고맙습니다

  • 뚀비 · 964118 · 20/05/07 17:57 · MS 2020

    기존채권 가격은 떨어지겠지요ㅎㅎ
    아마도
    금리가 오르면 기존채권은 분명 가격이 떨어졌을텐데 지문에서는 왜 채권보유가 는다고 얘기하는거지? 라는 의문이 드셨던 것 같네요!

  • 청년사범 · 367856 · 20/05/07 18:01 · MS 2017

    네 맞아요 ㅋㅋ

  • 청년사범 · 367856 · 20/05/08 16:40 · MS 2017

    어제 이해되었던 게 다시 꼬였는데요 ㅎㅎㅎㅎ


    정부에서 기준 금리를 높이면 사람들은 채권을 보유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에 채권 보유가 늘고 그에 따라 통화량이 감소한다.


    1. 기준 금리 인상 이후 신규 발행될(based on 인상된 기준 금리) 국채 회사채 등에 대한 수요 증대를 의미한다고 인지하시면 편할 듯 합니다.

    이렇게 말씀하신 대로라면,
    왜 굳이 수요 증대라고 안 하고 보유 증대라고 했는지 의문이 드네요.


    2. 보유 증대라는 말은 본인 관점에서 '기존 채권'의 보유 증대가 해석상 더 자연스러운 것 같아서요..


    3. 또한 '기존 채권의' '보유 증대'로 해석해야, 문장의 뒷부분인 통화량 감소라는 부분이 이해가 됩니다 저는....
    만약 해석하신 대로 신규 발행될 채권의 보유(=수요)증가로 해석한다면,
    채권을 구매한 사람들로 인해 통화량은 늘어야 정상 아닌가요?

  • 뚀비 · 964118 · 20/05/08 17:00 · MS 2020

    1~2

    저는 EBS가 EBS한거라고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3

    회사채는 고려치 않아야 채권 수량과 통화량의 관계를 직관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발행주체가 중앙 은행이거나, 정부거나)
    채권을 구매한 사람이 지불한 통화를 더 이상 유통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통화량은 줄어든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 청년사범 · 367856 · 20/05/11 18:24 · MS 2017

    답변 감사합니다. 늦게서야 봤네요!
    저는 그냥 학생들에게 깊이 고민하지 말라고 하려구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