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날다 [257626] · MS 2008 · 쪽지

2010-12-15 18:41:09
조회수 572

설포에 때아닌 사탐선택질문 러쉬(?)가 불어서 올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9383

사탐 선택 관련  FUCKYOU FAQ


Q.내신에 근사가 있고 국사 지망자인데, 국사+근사 동시 선택을 할까효?
A.근사는 내신에서만 하시길 바랍니다. 수능 국사 속 근현대사를 편하게 넘기기 위한 통과의례(!)로만 여기세요.
09를 제외하고는 05'부터 11'까지 7차 6년동안 근현대사는 단 한번도 변별력 있게 나온 적 없습니다.
백분위 100 못 받기 아주 적절한 과목, 아니 더 나아가 만점, -2점 1등급 되기에 딱 좋은 과목입니다.
어차피 수능 사탐이 3개로 축소되어도 일선 학교에서는 내신 사탐을 고2, 고3 합쳐서 4~5과목씩은 할 것이기 때문에
근현대사 아니라도 선택항이 꽤 많이 남습니다. 그 안에서 고르세요.




Q.근사 공부하면 국사 속 근사는 볼 필요 없다면서효?
A.아닙니다. 국사 속 근사와 심화선택과목으로서의 근사가 다소 내용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일제시대 말기를 보통 근사에서는 중일전쟁이후로 퉁쳐서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국사 교과서는 중일전쟁이후와 태평양전쟁이후로 아주 미묘하게 나눠놓읍니다.
또는 근사에는 안 나오거나 크게 다뤄지지 않는 내용이 국사 속 근사에 명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제 시대의 주거형태-토막집, 문화주택, 영단주택 등등-는 근사엔 안 나오고 국사 속 근사에 나오는 특이한 내용입니다.
근사를 공부하셨더라도 국사 속 근사는 한 번 정도는 반드시 체크하셔야 합니다.




Q.그럼 국-근 이외에 다른 동시선택은 안 되나효?
A.연계과목 중 가장 안습인 국-근을 빼면 나머지는 꽤 괜찮은 조합이 나옵니다.
법-정 (매우 연관성 높음. 헌법이나 국가기관 관련 내용은 서로가 서로의 심화 관계)
한지-세지-경지 (연관성이 꽤 높지만, 경지는 경제'지리'라기보다는 '경제'지리에 가까우므로 주의. 그래프 분석능력 없으면 절대 하지말아야함)
국사-근사-세사  한강다리에 관광가고 싶다면 해도 좋은 조합


Q.역덕후인데 세계사 할까효?
A.적어도 만점 백분위 98 확보되던 10수능 정도만 되더라도, 역덕후라서 학습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세계사를 강력 추천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7차 초기의 그 괴랄한 컷으로 돌아간 지금으로선 절대 추천 하고 싶지 않습니다
세계사에서 가장 어려운 킬러문제는 국사의 약간 어려운 중상급문제보다도 쉽습니다.
일례로, 11수능에서는 완전히 듣보잡인 러시아 여왕을 직접적으로 물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으나
나머지 선택지들이 남자왕인데 제시문에서 여자라고 밝혀서 지워낼 수 있는 희한한 킬러문제도 있었습니다.
최악의 정답률이라는 문제가 정답률 50%내외였죠.



Q.학교에 법과사회 개설되어있는데 선택할까효?
A.수능의 법과사회는 배신도 적으면서, 똑바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적기 때문에
일단 님이 제대로만 하신다면 선택하셔서 후회할 일 없는 과목입니다. 꼭 선택하세요.
대신에 반드시 전문가들이 가르치는 인강을 들으셔야 합니다.
학교 내신 법사는 믿을 게 못 됩니다.
사범대 사교과에서 법 관련 과목은 거의 없습니다. 있더라도 정치에 주로 나오는 헌법을 배웁니다.
정작 법사에서 중요한 민법, 형법, 소송법은 사범대에 거의 없고, 있더라도 거의 아무도 안듣는 매니아적인 전공선택과목으로 전락합니다.




Q.이과에서 전과했는데 뭐 할까효?
A.거의 없겟지만 지2 선택자라면 눈감고 세계지리 골라도 좋습니다.
대기대순환, 해수 순환의 원리가 그대로 기후구분에 적용됩니다. 원리를 자세히 팠으므로 아주 쉬울 것입니다.

'어멋! 난 언어가 강한 영혼인데 실수로 이과왔었엉!'하는 분들은 언어적인 독해력이 많이 관여되는 사문, 정치를 생각해봄직 합니다.
원래대로라면 윤리도 추천할 만하지만 요즘엔 윤리가 물리죠 윤리 백분위가 이따위로 비윤리적이어서야 어디

과탐에서 물1, 화1의 그래프 분석능력에 능했던 분들이라면 꼭 경제하세요. 경제는 아무리 물되도 근사, 세사같은 유혈사태는 없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