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우트 [403949] · MS 2012 · 쪽지

2012-08-09 18:52:07
조회수 1,842

문뜩 드는생각인데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93399


작가가 "난 그런말로쓴시가 아닌데"라거나 "내가쓴시인데 내가다틀림 ㄷㄷ;;"라 한다고해서 수능문학이 잘못됫다고말할수잇나요?ㄷㄷ


짤은 펭귄 ㅠㅠㅠㅠㅠㅠㅠ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짝 · 246718 · 12/08/09 18:57 · MS 2008

    수능문학 괜찮지 않나요?
    객관적인 것 같은데

    사실 말로야 문학작품은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하지만 그게 정말 그렇던가요

  • 잠수모드 · 349182 · 12/08/09 19:00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니까~ 평가원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힌트줄게 맞춰봐.~" 요런 문제 같아요.

  • 나는한씨 · 33163 · 12/08/09 20:38 · MS 2003

    평가원이 아니라 교과서에서 객관적으론 이렇게 해석합니다 갠관적으로 풀어보세요 지용 ㅋㅋ

    시인은 자기주관적으로 쓴거고..

  • 문짝 · 246718 · 12/08/09 19:00 · MS 2008

    근데 펭귄이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가요?

    사슴이 더 귀엽고 사랑스러운데

  • 츄리닝 · 310930 · 12/08/09 19:10 · MS 2009

    어릴적 동물원에서의 기억에 따르면 사슴은 냄새가 나는데 펭귄은 안나니까요 ㅋ

  • 문짝 · 246718 · 12/08/09 19:12 · MS 2008

    남극의 눈물 보시면 펭귄이 얼마나 똥을 뭍히고 사는지 아실텐데ㅠㅠ 사슴의 눈망울과 바디라인은 사랑입니다.

  • 파샴 · 323635 · 12/08/09 19:12 · MS 2018

    펭귄은 뒤뚱거리는게 긔요미 ㅎㅎ
    사슴은 긔엽기보다는 뭔가 순수하달까 자연적이랄까 'ㅅ'..

  • 츄리닝 · 310930 · 12/08/09 19:18 · MS 2009

    저 저번에 등산하다가 사슴은 아니고 노루가 서있는걸 봤는데 그것조차도
    뭐랄까 신비로운 느낌이 들더라구요;;; ㅋ

  • 펭귄맛 · 389525 · 12/08/09 20:00 · MS 2011

    님 지금 뭐라 그랬음?

  • 12중대장 · 389979 · 12/08/09 20:03

    펭귄맛이 좋나요 치킨맛이 좋나요

  • 다솜의 의지 · 399397 · 12/08/09 20:34 · MS 2011

    ㅋㅋㅋㅋㅋ

  • esen · 1562 · 12/08/09 19:15 · MS 2018

    시는 시대를 반영해요. 이육사 시나 한용운의 시가 지금 나왔다고 생각해보세요. 별로 반응이 없겠죠.
    작가와 독자가 그 시를 어떻게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히 달라요.
    하지만 그 시가 가지는 의미는 작가 혼자 감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봐요.

  • 보이지않는손 · 375865 · 12/08/09 20:10 · MS 2011

    저거 황제펭귄인가요?
    저번에 ebs다큐할때 새끼펭귄들이
    얼어죽는거 보고 참 마음이 아프던...ㅠㅠ

  • 국어국문학과 · 406658 · 12/08/09 20:2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바닥에서하늘로 · 380623 · 12/08/09 20:37

    문학 그냥 문맥적으로 말이 안되는거 찾기 아닌가요? 전 그렇게 푸는데...

  • 뽀득이 · 398652 · 12/08/09 21:24 · MS 2011

    당연히 잘못됐다고 말할 수 없져 작품하나에 대한 해석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 다르고 수험생이 객관적인 올바른 해석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데 그 중 하나의 해석에 대한 길을 <보기>같은 매뉴얼을 줌으로써 열어두고 그 매뉴얼에 맞춰서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냐는 것이니까여 그런 맥락에서 보면 아예 극단적으로 생각해서 수능에서 똑같은 시를 두 번 출제했는데 첫번째 출제된 해랑 두번째
    출제된 해에 시의 해석이 서로 다르거나 첫번째 해에 이미 그 시가 출제되어서 수험생들이 그 시에 대해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게
    두번째 시험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 일어난다거나 해도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

  • kaiabrid · 390218 · 12/08/09 23:04 · MS 2011

    이것 때문에 하도 말 많으니까 평가원이 말 바꿔서 한게 있었는데... 그... 본인들이 묻는건 '정황상의 답'이라나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문항이 '옳은 것을 고르시오'가 아니라 '최대한 옳은 것을 고르시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