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나팟 · 951077 · 20/04/23 11:24 · MS 2020

    어떤 책을 본다고 가정했을 때, 1번만 봐도 머리에 내용이 전부 남고 그 안에 세세하게 스며들어 있는 세부내용,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의 연결, 숨겨진 맥락 등등 그 내용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암기가 된다면 회독은 시간 낭비죠. 하지만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봤던 내용은 까먹고 1번 본다고 전부 아는 것이 아니기에 n번 보면서 익히는 것입니다. 과목별로 다르겠지만 1회독 시에는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보기보단 1번 완주하겠다, 전체적인 느낌을 잡겠다 2회독 시에는 1회독 때 2보면서 들던 의문과 어려운 내용,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내용에 중점을 두며 3회독 때에는 모든 것을 아울러 전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n회독에서 n이라는 숫자에 집착하는 것이 아닌 2번을 보더라도 다 알면 n회독 한 것이고, 100번을 봐야 알겠다하면 100번을 보면 됩니다.

  • umbrella · 964656 · 20/04/23 11:27 · MS 2020

    그럼 N회독은 '개념을 전부 정확히 알기 위해서 하는거'라고 요약이 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