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국어 [57154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0-04-19 17:08:26
조회수 10,265

[유성] 독해, 결국은 스키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512888

읽기 교육론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이 schema(스키마)라는 겁니다.





스키마란 굳이 우리 말로 번역하자면


기억 속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체제화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 


경험을 부어 넣는 마음의 주물


등으로 번역되는데,


대게 학문적 영단어가 그렇듯 완벽하게 그 뜻을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스키마는 "경험"에 의해 형성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어릴 때 사나운 개에게 물린 사람은 커서도 개를 무서워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가 자신을 물지 않음에도요.


어릴 때 개에게 물린 경험이 "개는 언제든 나를 물 수 있다"는 스키마로 작용한 것이지요.




스키마 개념이 읽기 교육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이유는 


개인에게 형성되어 있는 스키마 개념이 독해에 아주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다음 글을 한 번 읽어볼까요?




토니는 매트에서 천천히 일어나면서 빠져나갈 궁리를 하고 있다. 그는 잠시 망설이면서 생각을 해 보았다. 모든 것이 잘 풀리지 않는다. 지금 붙잡혀 있다는 사실이 그를 괴롭혔다. 그는 자기의 현재 상태를 여러모로 생각해 보았다. 그를 잡아두고 있는 자물쇠는 너무 튼튼하지만 자기는 그것을 깰 수 있다고 생각했다. 중요한 것은 시기가 적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 지경이 된 것이 초기의 거칠게 행동한 것으로 받은 대가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너무 가혹하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지금 상황은 점차로 기진맥진되어 가는 상황인데 그는 너무 오랫동안 짓눌림을 받고 있어 녹초가 될 지경이다. 그는 무자비하게 짓눌리고 있다. 토니는 화가 나기 시작했다. 지금이 어떻게든 해야 할 시기라고 느꼈다. 그는 성공 또는 실패가 다음 몇 초간 자기가 하는 행동 여하에 달려 있음을 알고 있다. 

앤더슨(Anderson)의 실험



위 글을 가지고 연구를 했더니 독자들은 개인의 스키마에 따라 글을 다르게 해석했습니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위 글을 감옥에서 탈출하려는 죄수의 글이라 해석했지만


체육학과에서 레슬링에 대해 배운 피험자들은 


위 글을 다른 선수에게 압박 당하고 있는 레슬링 선수의 상황에 대한 글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스키마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내용 스키마와 구조 스키마죠.


내용 스키마는 (역시 완벽한 번역은 아니지만) 우리가 흔히들 말하는 배경지식입니다.


우리가 리보솜, 피브로박터 숙시노젠 등 우리가 모르는 단어가 들어간 과학 지문을 읽을 때보다


아이유, 서강준 등 우리가 아는 단어들이 들어간 연예기사를 읽을 때 더 쉽게 읽히는 이유가 


바로 이 내용 스키마 때문입니다.




구조 스키마는


여러분들이 흔히 아시는 구조 독해에 관한 것입니다. 


이 글은 둘 간의 차이점을 밝히는 '두 대상 간 비교'가 중심적인 내용이구나.


이 글은 첫째 둘째 등의 표지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니 어떤 정보를 나열하겠구나.


이런 무의식적인 생각들이 바로 이 구조 스키마 덕분이지요.


"흔히들 물은 몸에 좋다고 생각한다."


라고 글의 첫문장이 서술되어있으면


'어? 그럼 이 글은 물이 몸에 안 좋다고 하는 글인가?'


라고 예측할 수 있는 이유 또한 (통념-비판 구조에 대한) 구조 스키마 덕분입니다.





"스키마"는 독해에 있어 아주 강력한 장치입니다.


수학같은 경우는 사람들이 어려워 하는 문제가 거의 비슷한데


국어의 경우는 사람들이 어려워 하는 지문이 다 다른 이유도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스키마가 다르기 때문이지요.




중요한 것은, 스키마는 연역적 학습이 아닌 귀납적 학습의 결과물이란 것입니다.


스키마를 먼저 알고 독해에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키마를 알기 위해선 아주 방대한 양의 글을 섭렵해야 한단 것이지요.



저는 항상 국어 공부의 왕도는 다음과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a. 수능에 최적화된 (최소한의) 지문 독해 / 문제 풀이 방법 습득 

b. 지문 독해 / 문제 풀이 방법의 무한 적용(+지문 독해 / 문제 풀이 방법의 정교화)



여기서 b의 과정은 단순히 a에서 배운 지문 독해 / 문제 풀이 방법의 적용 능력 향상만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방대한 양의 수능 지문 독해를 통해 수능에 최적화된 스키마를 길러내길 바라는 것이지요.




혹시 여러분은 지금 너무 방법론에만 집중하여 공부하는 것이 아닌지요?


방법론 없는 적용은 맹목적이지만,


적용 없는 방법론 또한 공허할 것입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칼럼을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