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hi [957712] · MS 2020 · 쪽지

2020-04-09 01:09:06
조회수 388

마지막 문장 해석 좀 쉽게 할 수 없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227352


부정이랑 부정 매칭시키려 했는데.. 


여기서 no가 순간을 부정하는건지 어떤으로 해석되는건지.. 


어떻게 해야 쉽게 해석할까요 자꾸 해석이 반대로 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라프 '>' · 753108 · 20/04/09 01:09 · MS 2017

    앗 영어..

  • 사각턱다오 · 957476 · 20/04/09 01:09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0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사각턱다오 · 957476 · 20/04/09 01:10 · MS 2020 (수정됨)

    어 헷갈리네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1 · MS 2020

    ㄹㅇ 영어1인데 너무 헷갈림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1 · MS 2020

    자꾸 해석이 반대로됨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1 · MS 2018

    하루 일과의 어떤 순간도 완전히 빈칸이 없을정도로 작지 않다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1 · MS 2018

    =모든 순간은 빈칸이 있다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2 · MS 2018

    아 아닌가 ㅅㅂ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2 · MS 2020

    자꾸 해석이 반대로되네요 제대로되었다가 아니었다가 no 의미를 캐치 못하겠어요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3 · MS 2020

    어떤이 부정이었나요 no

  • 플레인탄산수 · 955446 · 20/04/09 01:14 · MS 2020

    No ~~~~ without

    이중 부정아닐까요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5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사각턱다오 · 957476 · 20/04/09 01:13 · MS 2020

    어떤 순간도 작지않다에요?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4 · MS 2020

    사소하다로 해석된대요

  • 사각턱다오 · 957476 · 20/04/09 01:15 · MS 2020

    어떤 순간도 작지않다라고하면 답이 안나오나요?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7 · MS 2020

    그럼 설득 없이는 어떤 순간도 작지 않다는건데 그럼 설득을 안 좋게 보는 꼴이잖아요 지문이랑 반대임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4 · MS 2018

    완전히 빈칸이 없기에는 너무 작은 순간은 없다

  • 안녕hi · 957712 · 20/04/09 01:17 · MS 2020

    이게 설득없이는 사소하다는 뜻 같은데 그럼 no가 긍정의 의미로 바뀌지 않나요

  • 흥미로운 이 작품의 지은이 · 799225 · 20/04/09 01:18 · MS 2018 (수정됨)

    no가 긍정의 의미로 바뀌는게 아니라.. too to 자체에 이미 부정의 의미가 들어있어서 그렇습니다

  • 안녕hi · 957712 · 20/04/09 01:20 · MS 2020

    아 그럼 too to가 no를 또 반대로 해주네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4/09 01:21 · MS 2019

    얼마전에 똑같은 문장을 질문한 학생이 있어 그 때 달아준 답변을 그대로 복붙해드립니다.


    힘 닿는데까지 설명해보겠습니다. 학생이 제 답변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문장을 정확히 독해하려면 다음의 문법지식이 필요합니다.

    -부정어구 (no, nothing, hardly, few, little 등..) 전반에 대한 이해. 특히, no에 대한 이해.

    -이중 부정 구문

    -to too구문

    이 3가지 개념 중 하나라도 모르면 이 문장을 제대로 독해할 수가 없습니다.

    조만간 쓸 글의 주제이기도 합니다만, 문법&구문독해로 영어를 익히는 방법은 수학과 매우 흡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조밀한 문법규칙에 맞춰 독해가 되기 때문이거든요. 그래서 어느 한 문장을 읽을 때도 그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중 하나라도 모르면 쉽게 읽히지 않게 됩니다.

    아무튼,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No moment in the routine events of the day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______ 라는 문장을 No moment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you.로 바꾸겠습니다.

    쉽지 않겠지만 글을 잘 따라와주시기 바라요~


    1. no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no의 품사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항상 명사와 붙어서 사용되고, no는 '어떤 ~도'라는 한정의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문장을 부정문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어떤 ~도'라는 한정의 뉘앙스를 꼭! 넣어서 부정문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그러니까 주어인 No moment는 '어떤 순간도 (~가 아니다)'라고 해석해야 하는거죠.


    2. to too구문에는 해석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너무 형/부해서 v할 수 없다'이고, 나머지 하나는 '너무 형/부하다. v하기에'입니다.

    둘 중 하나를 고르는 법은 해석을 해 보는 방법입니다. 둘 중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면 해석이 이상해지거나, 해석이 굉장히 어려워지는데 이 방법을 통해 옳고 그른 것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너무 형/부하다. v하기에'를 택해야 합니다.

    그런데 학생은 '너무 형/부해서 v할 수 없다'라는 선택지를 택했습니다.

    이미 문장에 no가 들어가서 부정문이 됐는데 거기에 또 'v할 수 없다'라는 뜻이 들어가버리면 멘탈이 터지지 않고는 배길 수 없지요.

    이 문장에서는 '너무 형/부하다. v하기에'라는 해석 선택지를 고르세요.

    따라서 No moment is too small to be without you.의 해석은
    어떤 순간도 너무 작지 않다. 너 없이 있기에. 가 나오는거죠.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4/09 01:22 · MS 2019

    그래서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No moment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you.
    어떤 순간도 너무 작지 않다.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어떤가요.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 너무 작지 않다'와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너무 작지 않다'

    일부는 그렇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는 부분 부정의 뉘앙스가 추가된 겁니다.

    이제 원래 문장을 생각해볼까요?

    No moment in the routine events of the day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______

    일상적인 사건들의 어떤 순간도 ___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너무 작지 않다.

    라는 해석이 나오게 됩니다 ^^

  • 사각턱다오 · 957476 · 20/04/09 01:23 · MS 2020

    크 시원하게 해결이되네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4/09 01:25 · MS 2019 (수정됨)

    제가 실수로 그 때 설명에 살짝 실수를 했는데, 실수한 버젼으로 복붙해버렸네요. 수정버젼 올려드리니 이걸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글이 달려 수정이 안되네요 ㅜㅜ

    '사각턱다오'님께서 답글달아주신 댓글은 아예 읽지 마시고, 지금 이 글을 읽으세요!

    ---

    3. 여기까지 따라왔으면 잘 따라오고 계신 겁니다. 문장을 다시 보니 'completely'가 있습니다. 이렇게 전체의 뉘앙스를 띠는 단어(every, all, very, completely 등..)가 부정문에 사용되면 문장 전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만 부정한다는 '부분 부정'의 뉘앙스를 띠게 됩니다.

    따라서 해석은 이렇게변합니다.

    No moment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you.
    어떤 순간도 너무 작지 않다.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어떤가요.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 너무 작지 않다'와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너무 작지 않다'

    일부는 그렇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는 부분 부정의 뉘앙스가 추가된 겁니다.

    이제 원래 문장을 생각해볼까요?

    No moment in the routine events of the day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______

    일상적인 사건들의 어떤 순간도 ___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너무 작지 않다.

    라는 해석이 나오게 됩니다 ^^

  • 안녕hi · 957712 · 20/04/09 01:29 · MS 2020

    긴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completely가 없으면 해석은 반대로 되나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4/09 01:35 · MS 2019

    아닙니다. 반대가 되는게 아니라, 그저 '부분 부정'의 뉘앙스가 사라지는 것 뿐입니다.

    아마 학생은 '부분 부정'의 개념이 부족한 것 같은데요. 쉽게 설명하자면..

    I didn't watch all movie의 의 해석은 '나는 모든 영화를 보지 않았다'일까요 '모든 영화를 보지는 않았다'일까요?

    바로, 모든 영화를 보지'는' 않았다. 입니다.

    이처럼 문장이 부정문일 때, 전체의 뉘앙스를 띠는 단어, 예를 들어 all, every, very, completely 등등이 문장에 들어가면 '부분만 부정하는 부분 부정의 뉘앙스'가 들어가게 됩니다.

    즉, 아예 100% 부정하는 게 아니라, 일부만 부정하는거죠. 일부는 그럴 수도 있고~ 일부는 아닐 수도 있고~ 이런 느낌인 겁니다.

    그래서 No moment is too small to be completely without you.라는 문장은 no때문에 부정문이 됐는데 completely가 등장하므로 부분 부정의 뉘앙스가 첨가되는 겁니다.

    그래서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 너무 작지 않다]라고 해석하는게 아니라, [너 없이 완전히 있기에'는' 너무 작지 않다] 라고 해석하면서 '부분 부정'의 뉘앙스를 넣어준 겁니다.

  • 안녕hi · 957712 · 20/04/09 02:00 · MS 2020

    아하...감사합니다 더 궁금한 부분 생기면 여쭤도 괜찮을까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04/09 03:22 · MS 2019 (수정됨)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궁금하신 진 모르겠으나, 일반적으로 '문법 개념'에 대한 1:1질문을 받아드리진 않고 있습니다. :) 보통 글 몇줄로 쉽게 설명할 수 없을 뿐더러, A를 설명하기 위해 B를 설명해야 하고, B를 위해 또 C를 설명해야 하고.. 이런 경우가 많거든요. 결국 근본적 해결책은 문법 인강이든 책이든 기본부터 다시 한 번 공부하는 겁니다.


    그리고 설명해드리는 김에 질문하신 지문에 대한 지문분석도 같이 해드렸으니 시간 나시면 한번 읽어보세요.
    https://orbi.kr/00029230943

    + 그런데 학생이 질문한 저 지문, 수특 어디서 나온 지문인가요? :)

  • jimpa · 749591 · 20/04/09 07:22 · MS 2017 (수정됨)

    순간은 없다/일상에서/ 너무 소량이어서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괄호 없이


    즉 괄호는 일상생활에 항상 존재 한다

    도치구문으로 해석하는게 더 쉬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