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349917] · MS 2010 · 쪽지

2012-05-19 14:20:21
조회수 978

절대습도에 대한 오개념 바로잡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01573

어제 절대습도에 대해 큰 깨달음을 얻어 나누고자 씁니다 ㅎ

저는 절대습도에 대해 오개념을 갖고 있었습니다. 저만 그런지는 모르겟습니다만
부피분의 수증기량이라고 하길래 전체 부피도 따로 있고 수증기량에 해당하는 부피도 있다고 생각햇습니다.
기체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오개념에 빠지기 쉬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절대습도는 밀도 개념입니다. 부피분의 질량이니깐요. 근데 고체처럼 일정한 질량이 조금씩 부피를 가지면서
전체 부피를 채워가는게 아니라 1g의 기체나 3g의 기체나 똑같은 부피를 채운다는 게 중요합니다.
확산되서 공간에 퍼질 것이기 때문이죠.
절대습도는 밀도이고 상대습도는 질량분의 질량이므로 단위가 없는거죠

그리고 tip은 부피분의 질량이니까 부피랑 질량이랑 같이 움직이는 것보다 부피를 1m세제곱이라고 정해두고 생각하는거죠~

적용해보면 ,

상승하는 공기가 이슬점이 낮아집니다 이것은 이렇게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승하는 공기는 상승하기 전보다 전체 부피가 팽창할 겁니다.
그러면 1m세제곱당 수증기가 퍼지니까 그만한 질량도 감소하겟죠?
따라서 그만한 질량을 가지면서 포화공기가 되는 이슬점 역시 하강하는것이죠~


너무 당연한 이야기 일 수도 있지만 도움되기를 바래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