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질에 대해 어떻게생각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78497
어떤 RPG게임이든간에
장비를 맞추고 그럴려면 돈이 필요하잖아요
근데 레벨이 낮을때 게임에서 소위 말하는 노가다(앵벌이)를 했을때
그것의 가치를 현금으로 환산해보면 시간당 천원이 안나옵니다
저는 그시간이 굉장히 아깝다고 느껴져서
노가다를 안하고 그냥 현질을해요. 물론 노가다 하면서 게임의 재미를 느낀다면
할만한 가치가있겠지만 아직까지 노가다하면서 재미느낀 게임은 없었네요
게다가 요즘 게임들이 게임을 좀 윤활하게 하려면
최소한 3~4만원, 그리고 레벨이 높아질수록 더 많이 요구하죠.
아마 오래된 게임일수록 진입장벽이 높은거같고.. 제가 하는게임도 10년정도 된게임입니다.
게임도 취미니까. 취미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안될까요?
전 한달에 5~10만원정도 현질하는거같아요.
물론 게임=마약이라는 인식때문에 게임이 취미취급을 못받고
게임에 몇십만원씩 넣는다하면 '미1친놈아니야?' 라는 눈빛부터 날라오기때문에
주변사람들한테는 숨기고있는데... 왜 게임에 돈넣는건 이상하게 보는지 궁금해요
오히려 다른취미랑은 다르게 게임은 아이템을 사고팔수있으니
50만원 현질한다해서 그돈이 증발하는게아니고 게임접을때 적어도 원금의 80%는 회수가되니까..
사실 '무리하지않고 경제적 여유가 된다면' 몇백만원을 현질해도 저는 그사람의 의사를 존중해줄수있는데
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괜찮다고 봅니다.
너무 병적으로 안하고 적정선에서 하면 괜찮은 것 같음.
초딩때 20만원 질러본 사람으로서
후회만 남던데ㅠㅠ
여자가 20만원을 어디다 질렀어요?
ㅋㅋㅋ ㅋㅋㅋㅋ ㅋㅋ 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 ㅋㅋ
마비노기 리니지 등등
RPG에 쏟아넣었어요ㅋㅋ ㅋ ㅋ ㅋㅋ ㅋ ㅋ ㅋ ㅋ ㅋㅋ
기억력 좋으시네여
와ㅋㅋ 초딩때 20만원 끌어다 인터넷 거래 한거나
그만큼 현질 하신거나 대단하시네ㅋㅋ
찬성함 저는 노가다해서 잃어버릴 시간을 돈을 주고 산다는 개념으로 현질함.
근데 비용은 적정한 기준을 잡고하는게 좋을듯.
찬성함 저는 노가다해서 잃어버릴 시간을 돈을 주고 산다는 개념으로 현질함.
근데 비용은 적정한 기준을 잡고하는게 좋을듯.
아...그렇구나
노가다해서 잃어버릴 시간.....
맞는 말씀이네여
현질하러 가야지
아...그렇구나
노가다해서 잃어버릴 시간.....
맞는 말씀이네여
현질하러 가야지
그 남자 잡아야죠 게임은 잠시 접어두시고 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 ㅋㅋㅋ ㅋㅋ
그냥 좋은 친구인 것 같아요
너무 안 설레니까 그럴리가 없음 ㅋㅋ ㅋㅋ ㅋ ㅋㅋㅋ ㅋㅋ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노가다하는 시간에 과외하나 뛰고 현질하는게 낫죠...(-_-)
그리고 접을때 다시 팔고
현질했다가 또 좀 벌고 빠지면 본전 나오죠
뭔 게임인지는 모르지만 최소 본전이상 뽑는다는 자신감 있으면 하는거죠.
그냥 박는건 아깝드라구요.. 게임의 재미를 떠나서..
게임 즐기려고 하니까 개인 취향이져 머 ㅋㅋ 즐기는데 돈 쓰는거야 누가 머라해요 ㅎㅎ
저도 현질은 찬성하는데 전 50%도안뽑히는듯 항상 하고후회 ㅠㅠ
뭐 어릴때, 현금 200만원 까지 현질해봤는데, 게임하고 그대로 다시 팔아서 별로 나쁘진 않은것 같네요, 게임에 시간 많이 투자 하는거 보단 낫다고 봄 ㅋㅋ
제경우는 던파 했는데용, 시작할때 레압이랑 고강무기랑 할기 등등 한 50만원어치 현질해서 한 게임 1년하고 다시 파니까 57만원 나오더라구요.
물론 1년해서 7만원 번건 효율성으로 따지면 최악이지만 뭐 게임 즐길려고 했으니까 본전이상 나오면 됬죠 뭐
저는 게임하게되면 거의 축구게임만해서 잘은 모르겠는데
시간당 이득을 따졌을때 현금을 이용하는게 경제적이다 라는 결론을 내는건 좀 위험하지 않나요?
이말은 게임을 가상공간에서의 엔조이 대상으로써 여기는걸 넘어서 이미 게임에 집착을 나타내는것같은데..
저는 지금하는 게임에 40만원정도 지름.
근데 현질하는게 시간이나 즐기는 것의 효용을 따졌을때 좋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