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대 머통령 · 872579 · 20/03/23 12:03 · MS 2019

    의치는 닥전

  • 이공계의대 · 740263 · 20/03/23 12:05 · MS 2017

    Cpa합격하면 공시처럼 바로 취직가능한가요?

  • Theodor W. Adorno · 650144 · 20/03/23 12:06 · MS 2016

    회계 법인 채용 인원이 cpa 합격자 수보다 더 많아서 바로 취직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 이공계의대 · 740263 · 20/03/23 12:07 · MS 2017

    오 역시 말로만 듣던 cpa
  • Theodor W. Adorno · 650144 · 20/03/23 12:09 · MS 2016 (수정됨)

    저도 잘은 모르는데 천성이 인싸면 인맥 쌓아서 개업 후 월 세후 1000만원~2000만원 이상 벌 수 있다고들 하더라고요

    뭐 개업은 사업의 영역이니 편차가 크겠지만

  • de7T2rQcjtPYzi · 678229 · 20/03/23 12:15 · MS 2016

    씨파 공부하면 3년씩 하고 그러던데 수능은 1~2년이면 하니깐.. 근데 될 사람은 뭘 해도 될거같음 ㅋㅋ. n수하고도 의치 못가는 사람도 있으니..

  • 죽은시인의사회V · 862632 · 20/03/23 12:17 · MS 2018

    우선 여기서 cpa 쳐본사람이 있겠음?

  • Theodor W. Adorno · 650144 · 20/03/23 12:19 · MS 2016

    서강대 고닉 네임드 중에 한 분 계심

  • 죽은시인의사회V · 862632 · 20/03/23 12:20 · MS 2018

    확실한건 여기 투표한 50명 중 몇명이 cpa를 알겠음

  • o1o · 956797 · 20/03/23 12:19 · MS 2020

    성격이 다르지않나

  • 연대 아이유 · 878036 · 20/03/23 12:21 · MS 2019

    ㄷㅈ

  • 오븐토끼 · 781831 · 20/03/23 12:22 · MS 2017 (수정됨)

    cpa는 수험기간도 3년이상이고 수능보다 훨씬 어렵지 않을까요

  • 니잌넴이뭐에용? · 656891 · 20/03/23 12:29 · MS 2016 (수정됨)

    느낌이 매우 달라요.

    의치한은 상위1%안에 들어야하고 공부량도 CPA에 비하면 솔직히 많이적습니다.
    그러나 상위1%정도를 받으려면 교육과정을 완전히 정복하는 수준이 되어야합니다.
    수능응시자 수준이 낮은걸 고려하고서라도 그 안에서 1%찍는건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한치의 실수도 용납할 수가 없죠.


    반면 CPA는 공부량부터 일단 압살수준입니다. 각 영역의 세부과목 기본서가 1000페이지~2000페이지인데. 그걸 5개로 합치면 한과목이 되고, 그 과목이 5개정도가 있습니다.
    이게 1차시험의 범위구요.
    문제집은 199cm 거구의 골키퍼가 팔 양옆으로 쫙 벌린수준 정도의문제는 풀어야합니다.
    보통 최종합격까지 3.5년~4년걸리며 재수없으면 5년 6년도 가기도합니다.

    다만 장점은 1차합격은 응시자안에서 상위25%정도 안에만 들면되며

    2차도 논술형이긴하나 상위30%정도안에만 들어도 합격입니다.

    즉 자기가 취약한 부분은 어느정도 버리는전략을 취할 수도있다는거죠.

  • 0r6i · 786588 · 20/03/23 12:32 · MS 2017

    여기는 수험생이라 cpa를 잘 몰라서 그런 듯..이건 cpa가 더 힘들다 생각함 개인적으론

  • 니잌넴이뭐에용? · 656891 · 20/03/23 12:39 · MS 2016 (수정됨)

    그리고 3.5년~4년 걸린사람은 '합격자들'의 기준입니다. 합격자보다 불합격한 사람이 훨씬 더 많다는것도 생각해보아야합니다.
    무조건 의대만 가겠다는 소수의사람들을 제외한다면
    의치한을 도전했다가 실패하여도 스카 상위권 학교를진학할 수 있지만. CPA는 탈락하면 20대인생만 쌩으로날려먹는겁니다.

    하지만 과정,난이도,인턴,레지 수료과정 등의 자잘한 세부요소를 제거하고
    전문자격증의 가치만으로 따져봤을때는 의치한>>CPA인것같습니다.
    물론 CPA도 문과중에서는 최상급 전문직입니다.

  • 파이낸스 · 620108 · 20/06/04 00:47 · MS 2015

    다만 전문직 취업만을 생각했을땐 오히려 cpa가 의치한보단 리스크가 적은거같아요. cpa준비하다 힘들면 배운걸 바탕으로 세무사라는 약간 더 쉬운 시험으로 우회도 가능하고, 금융공기업시험이나 각종 기업 재경직으로 입사하기도 용이하니까요. 그에 비해 의치한만 노리는 경우엔 점수가 미달이면 진학이 힘드니까..

  • 윤츄츄 'm' · 810918 · 20/03/23 12:30 · MS 2018

    난이도로만 따지면 닥후인데 ㅅㅂ ㅋㅋ 누가 의르비 아니랄까봐 전자 투표수보소 ㅋㅋㅋ

  • 궁금하구만 · 834527 · 20/03/23 12:47 · MS 2018

    시험난이도가 아닌 합격난이도니까 그렇죠 ㅋㅋ 의사가 회계사보다 거의 모든 면에서 나은데 회계사가 더 어려우면 다 의대가지 왜 회계사시험치겠음

  • 윤츄츄 'm' · 810918 · 20/03/23 12:59 · MS 2018

    모든면에서 의사>회계사라는 건 님 생각이죠 ㅋㅋ 세상사람들 생각이 다 님이랑 똑같을 거 같음? ㅋㅋㅋㅋ

  • 윤츄츄 'm' · 810918 · 20/03/23 13:00 · MS 2018

    님말대로 그럼 회계사되기가 더 어려운데 굳~이 회계사하려는 사람들은 뭘까~요?

  • 궁금하구만 · 834527 · 20/03/25 12:04 · MS 2018 (수정됨)

    제가 언제 회계사가 어렵다고 했나요? 이해력이 좀... 수입 명예 국가인정급수 등등... 거의 모든 지표는 의사가 압승인데요? 인터넷에 투표올려도 선호도조차 의사가 압승할것같은데; 대부분의 회계사들은 의사 시켜주면 절하고 갈겁니다 의사들은 그렇지 않고요

  • o식혜o · 856971 · 20/03/23 12:53 · MS 2018 (수정됨)

    합격 난이도만 놓고 보면 의치한 아닐까요
    수능도 따지고 보면 현역 기준 실질적인 준비 기간은 3년쯤 되는데

  • 시리입대가구싶다 · 896764 · 20/03/23 13:02 · MS 2019

    와 cpa cpa거리길래 필수로 따야하는 자격증인불 알았는데 일반인들은 엄두도 못내겠네

  • 너도밤나무 · 750775 · 20/03/23 13:13 · MS 2017

    문과: cpa고름
    이과: 의치한 고름

    --> 투표 황밸

  • ✨✨✨ · 792086 · 20/03/23 14:38 · MS 2017

    후자는 안해봤지만 개어려워보임 ㄷㅎ

  • 도레미제레미 · 473112 · 20/03/25 10:35 · MS 2017

    오르비도 이제 에타처럼 뇌절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