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에서 배경지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67774
얼마전까지는 저도 배경지식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어요 어차피 답은 제시문 안에 다 있는데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는 걸 공부해봤자잖아요
근데 어제 이화여대 모의논술 끝나고 입시설명회 듣는데 거기서 논술에 새로운 주제는 없고 새로운 시각이 있을 뿐이라고 하시더라구요
199X년부터 여러 대학이 내다 보니까 더이상 새로운 주제는 나오기 힘들다고.. 물론 그 주제가 얼마나 포괄적인건진 잘 모르겠지만
만약 그렇다면 평소에 논술을 풀때 다 풀고 나서, 그 논술의 주제와 관련된 지식을 쌓는 건 괜찮지 않을까요?
제가 지금 가장 어려운게 출제자의 의도를 읽는거거든요.. 저는 답의 방향이 항상 틀려요
그런데 논술의 주제에 대해 어느정도 알아놓으면 아 이 논제는 이런걸 물어보려고 하는거구나 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요
항상 나오던 것만 나온다면 괜찮을 것 같은데.. 실제로 어떤 대학이 다른 대학이 몇년 전에 냈던 주제를 울궈먹는것도 본적이 있어서.. 어떨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ㅅㅂ 의대 증원 줄이고 합의도 못하면 정시 광복 이후 최대헬 열리는거잖아
-
자작시-대회 0
이런 조잡한 작품도 저는 시라고 올립니다 다들 너무 부담갖지 마시길..
-
저도 시 써봄 0
동백꽃이 지고 노오란 개나리도 지고 해바라기도 지지만 내 국어 점수는 부동이다...
-
ㅅㅂ 7분동안 올린적은 처음인데 하
-
이새끼 현장에서 다구해놓고 미친새끼가 마지막에 극대가 아니라 극점을 구하고 지랄해서...
-
옯춘문예 참1가 0
시를 쓴다. 그리고 시를 적는다. 문득, 입 안이 씁쓸해져 마음에 들지 않았다....
-
중간고사 얼마 남지 않은 현 상황에서 여러분이 참고하여 체크할 수 있는 사항들을...
-
이거 ㄹㅇ임
-
이 흐릿하게 지나가던데 ㄹㅇ ㅋㅋ
-
친구나 애인 생기면 알아서 접겠죠 뭐 평생 못 접는다는 뜻임…
-
ㅇㅈ 3
으어어
-
시발ㅋㅋㅋㅋㅋㅋㅋ
-
완자 펴놓고있는거 왤케 귀엽지
-
오 ㅇㅈ메타임? 1
구경해야지
-
"진짜"는 웁니다
-
賞Orbi曲(상오르비곡) 이른 봄날, 푸른 커뮤니티를 거닐다가, 스쳐 오는 고3들의...
-
이거 다들 어케 한 거냐
-
수능 포기합니다 4
다들 감사했습니다 조만간 탈릅합니다
-
푸앙님을 기다려요
-
조 경 해 아직까지 이것보다 기억에 남는 펀치라인이 없음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쉬이이이이이이이
-
ㅇㅈ 8
사진 찍을 때 표정을 어케 해야할지 모르게씀
-
오늘의 공부인증 0
공부 존나 안되네 ㅋㅋㅋ 1.국 작년 10덮(89) 언매 하프모 1세트 2.수...
-
꿈을 빌려줬고 그래선지 사람들은 꿈을 꾼다고들 하나봐 노화라는 이름의 빚쟁이들은...
-
세지도 1컷 40 찍을 수 있다는걸 증명해보겠음
-
남자는 만년 국어 2등급 + 수학 100 99 98 97 이 꽤 많고 여자는 국어...
-
아니면 그냥 메타인가요..
-
형식이 있길래 재업
-
국어: 3시간 자고 풀어서 그런가 온갖 벙신짓 다 했다는 걸 리뷰하면서 깨달음 역시...
-
기독교에 대한 비판을 주제로 쓴 시입니다 ㅎㅎ
-
시 2
스스로 깨면 병아리임뇨 깨지면 후라이임뇨 아ㅏ애석하느뇨 지국총지국총 숭숭구리구리구리...
-
대회의 개막을 연단 느낌에서 건전한 느낌의 작품 하나 투척해야 겠슺니다
-
저도 시 써봄 1
맑게 갠 들판 네가 부르는 노래- 와 바람꽃 다른 건 아무것도 필요없으니까 물결치는...
-
나도 시써옴 2
시
-
유달리도 푸른 높은 하늘을 눈물과 함께 아득히 흘러간 별들이 총총히 돌아오고 사납던...
-
그거때매 주말자습 가는데 이제 힉교 가도 걍 쳐놂 내생각엔 이거 간절하지가 않아서...
-
저는 쓰는걸 극혐해서 하나씩 가려가면서 외우면 잘되더라구여
-
바야흐로 3년전에 쓴 시입니다 스카에서 공부는 안하고 시를 끄적거리던 때가 있었더라죠
-
3덮 4덮이랑 수능이랑 표본 차이 많이 나나요??
-
ㅋㅋㅋㅋ 걍 중세국어로 쓸까
-
펜타킬 했어 2
-
저기 푸른 숲이 일렁입니다 어깨동무하고 하늘로 뻗친 의지들 보랏빛 하늘이 뒤덮고...
-
자료가 아니라 공부가 부족한 거 같다는.. 무슨 자료를 봐도 이건 시간을 들이지...
-
더프 국어는 거의 잘쳤던듯 커로가 80중반? 물론 이감은 70점대로 도배함ㅋㅋㅋ
-
뭐가 적당하려나
-
김수영 시인의 읽고 급하게 썼던 기억이 나네요 --------------- 무성의...
-
너무 이상한게 많아서 죽고싶은데 괜찮은거있으면올려보려고요..
-
재미없어서 지웠는데 요즘 올라오는것 보니 지우길 잘한듯 ㅋㅋㅋ
풀어 본 논제에 나와 있는 내용을 찾아보는 것 정도는 괜찮습니다만, 그 외의 배경지식에다가는 시간을 많이 쏟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보다는 차라리 논술 자체를 많이 풀어보는 게 좋아요. 그리고 경제와 윤리 과목에 나오는 개념들 정도는 잘 알아 두시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같은 주제가 다시 나와도 전혀 다른 내용이 나옵니다. 출제자의 의도는 그 논술문제를 구성한 사람의 의도이지 원문의 의도가 아닙니다.
이를테면, 제가 출제자의 의도라고 말하는 것은
너네는 제시문 가에서는 새로운 종교를 새로움이라고 읽고, 나에서는 독창적 걸작을 새로움이라고 읽고, 다에서는 획기적인 발명이나 기계를 새로움으로 읽어라~
그래서 가는 이 새로움을 다수가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는 다수가 새로움을 받아들이고 전승하지만 창조는 못하고, 다는 받아들이고 전승하고 창조 까지 한다고 답 써내라~
이런 것들을 출제자의 의도라고 말합니다. 배경지식과는 전혀 상관없는 출제교수의 창작물입니다.
밝혀낼 것은 이 창작 원리이지 제시문의 원문 작성 논리가 아니라고 봅니다.
논술 문제는 논제와 제시문으로 세팅되며, 이것이 새로운 텍스트가 됩니다. 다양한 제시문과 논제를 통합하여 주제를 파악해내는 것이 중요하지요. 각 대학은 이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면 배경 지식의 영향을 덜 받게 하려고 교수들은 머리를 짜내게 됩니다. 위에 분들 말씀대로 배경 지식 공부를 따로 하지 말고 대학 기출을 많이 보는 게 좋아요. 내가 지원할 대학외에 다른 대학 것도 보시는 것이 배경 지식 따로 공부하는 것보다 훨 낫습니다.
아 그렇군요.. 머리에 딱 들어오게 댓글들을 써주셨어요 감사합니다ㅎ 여태까지 논술학원에 돈버리고 있었네요.. 진짜 아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