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2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635234
ln(x)-t 라는 함수와 ln(x) 함수에 대해, g(x) 를 도입해 보자.
g(x)는 직선이므로
mx+b 라고 하자.
ln(x)-mx-b 는 1
ln(x)-t-mx-b는 e=
둘은 어떤 함수의 불연속 이동.
미분하면 1/x-m 이고, 이를 통해 위로 볼록하고 극댓값을 가지는 함수이다.(x=1/m에서 극대)
이때 1,1/m,e의 위치가 파악이 안되므로 케이스를 분류하자.
1/m<1 이면
ln(e)-me-b>=0, ln(e)-t-me-b<=0.
ln(1)-m-b>=0 이다.
이때 b<=-m 은 앞의 조건을 포함한다.
정리하면
(1-t-b)/e=
인데, b가 최대일때 최소이므로 b=-m에서
m=(1-t)/(e-1)
이다.
1<1/m
이어도 식이 같다....
그런데 1/m
ln(1)-m-b>0 이므로 b
f(1/m)<=0 이 된다.(극대)
-ln(m)-t-1-b<=0 이므로
-t-1-b
이며,
-t-1+m
계산하면 끝.
이렇게 했을듯 ㅇㅇㅇ
10분 정도 예상
m(x-1) 꼴이라는 거 없이.
그걸 그냥 대수적으로 알아내기.
그래프와 대수 조합도 아니고
엄밀하게 풀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혹시 다니면 어디 학원인지 알려줄수 있을까? ㅠㅠ 연기 관심생겨서 찾아봤는디...
-
이성적이면 최초합 가능할까요..? 연영이 보통 어느정도 입결인지 감이 잘 안잡히네요...
이거 파급에 실을래요
파급님께 건의해보셈
형이 보기엔 어때요?
풀이로 놔둘 만하기는 한데 현장에서 구현하라 하긴 좀 힘든 풀이인 듯해요. 기출로 공부하라고 할 때는 참고할 만한 풀이인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