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공부시간 늘리고 싶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45270
안녕하세요 요번에 언어때문에 재수를 하게됬는데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 휴학안해도 2029 2월 예정이네요….
-
불과 작년만해도 정법 하라는 분위기였는데 바뀐거같네요?
-
근데 울산 너무 멀어….
-
피자 버거 치킨 국밥 카츠 제육 제외
-
니 인생에서 뭔가를 바뀌려고 몇달간,몇년간 시도를 한적이 있었을거임. 특히 사춘기때...
-
오르비 팔로워 50명이상인 사람들의 아웃풋이 궁금하구나 5
어마어마할듯
-
진짜 발표하려나
-
어떡하죠 놀다가 이제 정신 붙잡았습니다. 밀린 올오카 처음부터 하는게 맞을까요?...
-
올해 입학하면 4
2025 3월이니까 졸업예정이 2029 2월???? ㄷㄷ
-
이러다 나 죽어 0
나와라예~~~ 나와라요~~~
-
해도되나요? 뭘 해야할지 막막해서
-
어떤 의뱃분이 그냥 올해 옵붕이들이 공부를 잘하는거다 이랬는데 그말이 ㄹㅇ인듯
-
내 20대 후반은 여기서 보낼 수 있길... PLEASE 학점 말아먹고 리송하기는 싫다
-
90대 여성에 성범죄 저지른 70대 마을 이장...긴급체포 1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9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70대 마을 이장이...
-
맛있는건~ 1
정말 참을 수 없어어~
-
긍정적인 생각 1
앞으로 9개월만 공부하면 된다
-
헤헤
-
인생 ㅈ망하는듯 정확히는 재수,삼수,오수 ㅇㅈㄹ 하면서 점점 주어진상황에서...
-
N수는 못 멈춤 2
이미 너무 멀리 왔음 수능 말고는 성공할방법이 아예 없음
-
꼭 가고 싶다 0
(자연과학 기준임. 종합랭킹은 63등)
-
단톡방 들어가기 힘드뇨 ㅠㅠ
-
그리고 실제로 190621 에서 이와 유사한 극한을 출제한 바가 있다.
-
원래 질문 이리 없음?
-
성대 다군 3
에너지학과 추합 몇 점대까지 돌고 있나요?
-
수1 다항함수 그래프가 섞인 문제가 지수 그래프랑 같이 엮어서 나오잖아요,,, 근데...
-
인생 마인드 0
요즘 어떤마인드를 가지고 인생을 살아야 할지 모르겠음 원래는 최선을 다하고 모든걸...
-
4월은 언제오지
-
점심여캐투척 9
2기 주인공의 품격
-
낙지는 두눈으로 지원 표본을 볼 수 있고 고속은 그냥 코핌 한 명이 예상컷을 뿌리는...
-
그냥 맘마 좋아시는 분인줄 알았는데.. 그정도로 ㄹㅈㄷ 고능아일 줄은 생각도 못함....
-
두 명은 친구의 친구 소개 받음 한 명은 원래 친하던 6년 지기 친구 team 오우석 파이팅
-
또또또 서울대 의대 아니라고 무시 당함... 아 기분 더럽다 솔직히 의대 가서...
-
얘기들어보니 빵꾸가 한두개난게 아니던데
-
한번만 행복하고 싶다
-
항상 보던 고닉들이 19
뻘글만 쓰다가 하나둘씩 명문대 합격증을 들고오는 것을 보면 뭔가 배신감?과 신기함이 듦.
-
화2 생2 1
인강 안좋아하면 엣지가 바이블이고 화2는 걍 어나클이 바이블임
-
호감 사이트 2개 박혀있음ㅋㅋ 션티k야..
-
금요일에 9번이었는데 돌앗네
-
님들이라면 어디가심?
-
여기도 아무 과나 갈수 있는건가요?
-
반박 안 받음
-
화들짝 놀랐네
-
고대 식자경 3?칸 떠서 붙어도 공대 가야지 냥/성/중 공대 섰는데 고대 높공 몇개...
-
서울대 합격 ㅇㅈ 35
조금 늦었지만 증명했습니다 "최초불합은 중요하지않다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마음"
-
싸이월드 복구됏다 햇을때 사진 백업해둿나봄 내 사진 많다고해서 나도 볼랭 해서...
-
시험지 자동 제작, 기출 번호 검색기 업데이트함!; PASTKICE 3
수학 : 2003 ~ 2410 영어 : 1903 ~ 2410 수학, 영어 교육청...
-
네.
-
ㄹㅇ 모름
?? 언어 공부시간을 늘리시면 되지요..;
구체적으로요 아까운기출지문 더풀수도없고
김강원님이 추천하시는 비문학 구조화 읽기해보세요 ㅋㅋ
제시문을 꼼꼼히 읽고 이해할수 있다는 장점 + 시간도 많이 투자
해밧는데 갠찬은 듯요 ㅋㅋ(자세한건 리웰님 자료를...)
늘리면되죠
기출지문을 아깝다고 생각하는 거에서 방향이 일단 잘못됐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언어에서 기출이 중요한 이유는 유형을 알려주는 것도 있지만
판단의 근거를 제시해 준다는 겁니다.
특히 문학에선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현실에 대한 극복의지를 보이고 있다.
혹은 현실 정치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뭐 이런 것들이 나오면 이 말이 어디까지 해당하는 가를 보여주는 게 기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까지가 관심이지? 이정도면 극복의지라고 볼 수 있나?
하는 것들은 그때그때 달라요가 아니라 기출의 반복적 학습을 통해서
그 바운더리를 정하고
수능에선 그걸 근거로 판단을 명확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물론 기출이 모든 경계를 다 제시해 주진 못하지만
기출을 많이 반복해서 내것으로 제대로 만들 수록 경계가 명확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비문학에서는 기출을 통해 선지를 구성하는 원리와
지문을 어떤 식으로 구성하는지를 배울 수 있죠
수능지문과 일반 사설문제집 차이가 문제의 차이도 있지만
지문의 차이도 큽니다.
수능지문은 어디서 복사 붙여넣기 한 것이 아니라
교수가 원문을 읽고 글을 읽는 사람이 읽기 쉽도록 정갈하게 재구성한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고 볼 수 있죠.
기출을 반복하다보면 본문 곳곳에 숨어있는 배려들을 느낄 수 있습니다.
논설문이나 큰 개념이 들어있는 지문들의 경우엔 더 명확히 느낄 수 있는데
서론에서 앞으로의 전개와 핵심을 제시하고
그 뒤에 단락들은 죄다 서론을 구체화 하는 데 쓰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계속 같은 내용을 말만 조금씩 바꿔서 설명하면서 이해를 돕고있죠.
문제 출제도 굳이 찾을 필요없이 동의어로 바꾸면 다 풀리게 냅니다.
설명문의 경우는 좀 다르지만요
아무튼 기출은 많이 보면 볼수록 좋다는 게 제 견해이고
언어 가르치는 사람 중에 언어를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라면 반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