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기출 궁금한거 있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403235

적도 용승에 관한 문제인데
보기에 물어보는 것은
“적도 부근에서 바람이 약해지면은 적도 해역의 해수면은 높아지니?”인데
적도 용승의 메커니즘이
적도 부근에는 에크만 수송이 적도 바깥쪽으로 작용하여서 발산하는 지역이 되고
이 빈 부분을 채워주기 위해 용승이 올라오는 거잖아요
그런데 바람이 약해지면, 에크만 수송이 약해지므로,
애초에 해수의 발산이 약해지니까 해수면 높이가 평소보다 덜 낮아질 건데,
덜 낮아지니까 용승도 덜 생겨서 해수면이 덜 상승하겠죠.
덜 낮아지고, 덜 상승하면...띠용?
ㄷ 어떻게 푸는거죠?
해설은 에크만 수송의 약화만 이야기하고 있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바르샤나 레알은 재미없을거 같아서 비야레알로 할 생각인데 혹시 비야레알 잘...
글씨체 넘 이쁘세요!
근데 지1에도 수압경도력이랑 에크만 수송 나옴?
수압경도력은 없고 에크만수송은 있음
킹크만 수송ㄷㄷ
킹육과정 ㅋㅋ
아! 에크만 수송은 나오고 수압경도력은 안나와요
(나)에서 바람이 약해지면 북반구 남반구 쪽으로 덜 가잖아요 그래서 해수면이 높아지는거 아니에요?
적도 부근에는 수압경도력이 적도 바깥쪽으로 작용하여서 발산하는 지역이 되고
-> 수압 경도력이 적도 바깥으로 작용하는거 아닙니다 용어 정의에 혼동이 있으신거 같네요
아 죄송 표현 잘못했네요 결론적으로 적도에서 V자 형태가 되는거 말하고 싶었습니다
바람 약함->해수의 발산 약화->해수면 높이 덜 낮아짐->바람 강할때보다 해수면 높음 이 맞습니다. 용승 때문에 해수면이 높아지지는 않아요.
찌찌뽕
라뽕
용승때문에 해수면 높이가 높아지진 않아욥
적도 해역의 표층 해수 발산 ->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심해층의 찬 해수가 용승
“보충”이라는 표현 보고 용승이 들여올려준다고 생각했네요
넹 단순히 보충 정도의 개념임니다

다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