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학평 언어 궁금한게 생겨서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37525

23번문제 답을 보면 2번 ㄴ을 통해 ㄱ의 한계를 지적하고 화제에 대해 설명하고있다는데 ↓
둘째 문단에서 미적·유희적 동일시(ㄴ)를 통해, 동일시 이론(ㄱ)의 한계를 지적하고 화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럼 2째문단에서 어느부분이 미적 유희적 동일시를 통해 동일시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는 거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음... 제가 조언할 만한 성적대는 아니지만...
먼저, 첫문단에서 ~의미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라고 한계점이 제시되어 있어요.
그렇다면, 그거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겠다는 얘기겠죠.
그 다음에 둘째문단 주체와 객체가 엄격하게 분리되거나 완전히 겹쳐지는 것으로 이해하는 통상적인 동일시 이론과는 달리,~ >> 여기서 완전히 제시한거죠. 동일시 이론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했으니까요. 영어에서 치자면, not A but B 구문 정도로 칠수 있겠네요. 평가원에 비해서 근거가 조금 논리적인 비약이 있어보이긴 하지만요... 그럼으로써 이후에 동일시 이론과 비교를 통해서 유희적 동일시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글쓴분 말씀대로 명확히 어느 부분인지는 드러나 있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 물론 의미상으로는 비슷한 부분이 있긴 하지요 .. 그런데 저는 풀때 글 흐름 자체가 한계가 나오고 해결?방안으로 미적유희가 나온 것이라 생각되서요 그냥 고민하지 않고 지워나갔어요
2분 감사합니다 . 저도 풀때는 언쇠님처럼 그냥 넘기고 다른게 너무 답이아니라서 그거 골랐는데 다시 보니까 살짝 명확하지가 않아서요 ㅋ
어쨌든 쾨니히님 언쇠님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