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언어를 종결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법칙 : 지문-선지 연결법이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34428
2013 수능 예측 언어 by 언어외길.pdf
안녕하세요 오르비 - '2013 수능 예측 언어'의 저자 언어외길이라 합니다 ^^
이번 글에서는 오르비 유저분들께
제가 수능 언어 영역에서 가장 중시하는 한가지 법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단 다음 평가원의 해설 사례를 보겠습니다.
사례1 언어 영역 - 2007년 06월 모의평가 49번
평가원의 답변 내용
온건한 공평주의자는 상황이 같을 때에만 개인적 선호가 허용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
다. 지문의 여섯째 줄에 “사람들은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 신
체와 생명, 복지와 행복에 있어서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라고 나와 있
듯이, 나이는 상황을 다르게 만드는 조건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간병인이 있고
없음은 상황을 다르게 만드는 조건이기 때문에 순이의 외할머니와 친할머니가 처한
상황은 다릅니다. 그러므로 순이는 간병인이 없는 친할머니를 도와야 합니다.
사례 2. 언어 영역-2008 수능 33번
평가원의 답변 내용
정답은 ‘① 가족’입니다. 문제를 제기한 사람들의 주장은 ‘⑤ 우정’도 부등호의 배열이
‘<><>>’ 모양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문의 넷째 문단에 “음절 초에는
‘ㅇ[ŋ]’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음이 올 수 있지만”이라고 하여 음절 초에
‘ㅇ[ŋ]’이 올 수 없음을 분명히 언급하였습니다. 국어 음절 말의 표기 ‘ㅇ’은
자음으로 발음이 [ŋ]이지만, 음절 초의 표기 ‘ㅇ’은 자음이 아니라 자리를 채우기 위
한 기호일 뿐입니다. ‘우정’을 발음기호로 나타내면 [ŋuʤəŋ]이 아니라 [uʤəŋ]이 됩니
다. 이것을 지문의 개구도에 따라 부등호로 표시하면 ‘><>>’이 됩니다.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 평가원은 문제 해설을 할 때 구체적 위치를
들어가며 ‘지문의 몇 번 째 문단, 몇 째 줄에 어떠한 내용이 있다.’는 내용을 결정적인 근거로
삼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꼭 위의 두 가지 사례 뿐만 아니라 평가원은 대다수의 문제에서
위와 같은 문제 해설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설하는 근거가 지문에 있어야 70만 명
이 깔끔하게 정답을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수능 언어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알 수 있습니다.
핵심 1. 출제자는 문제를 해설하는 결정적인 근거를 지문에둘 수 밖에 없다.
핵심 2. 역으로 생각해보면 지문에서 문제를 풀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의 위치(몇 째 문단, 몇 째 줄)만 찾을 수 있다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
핵심 3. 따라서 문제에 있는 선지를 판단할 때, 지문에서 근거를 찾아서 지문과 선지의 내용을 연결, 비교, 대응해보는 연습이 가장 효과적인 수능 언어 공부의 본질이다.
저는 이러한 공부법을 '지문-선지 연결법'이라 칭하겠습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은 수능 출제자가 문제를 출제하는 원리가 되는 법칙이며 평가원이 이의 제기 문항에 대해서 문제를 해설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이란 문제에 있는 선지의 OX 판단을 할 경우, 선지가 맞을 때는 선지가 맞는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보고
선지가 틀렸을 때는 선지가 틀린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서 서로 연결한 뒤, 지문과 정답 선지의 내용을 비교, 대응해보는 것입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을 이용해서 어떻게 문제를 풀고 분석해야 하는지
지문-선지 연결법을 이용한 기출분석 샘플 파일을 첨부하겠습니다 ^^
새로운 샘플파일입니다 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세젤쉬 들으면서 미친기분 시작편 병행하고 있습니다 안 풀리는 문제들도 당연히...
-
아직안잠 4
밥 괜히 적게 먹음 더 먹고 자야지 돼지가되
-
수능보고 수능 3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수능 보고...
-
아니제가 전적대 에타를 탈퇴 안 해뒀다가 이번에 탈퇴하고 이대를 등록했는데 한양대...
-
내게 마지막 남은 기쁨이었단 걸~~
-
경희대 이대 4
경희대 생체의공 vs 이대 과학교육과 (복전/전과 보고있음) 개쩌는 학교생활...
-
안경잃어버렸다 5
안경찾다가 못잤음 암튼그럼
-
하라리하라레이마오도리오도레코이코가레우소베사쿠랏테우타에하나니마기레이마오토리모도세스이쿄니아소베사코코데오도레 4
보름달이뜬날 가득찬군중속 격렬한무대위 모든걸불태워줘 섬광마저영원하듯
-
50명도 안되는데 쓸수가 없다 크아악
-
어문 걸어놓고 반수해서 단국대 전기가는데 몇타치임? 가천대는 스‘가’이 할때 그 가임ㅇㅇ
-
한국사 천덕 퀴즈 10
우리나라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은 어느 정부 때인가
-
장소퀴즈 3
나라+도시 둘 다 맞춰야함
-
시대라이브 2
라이브신청하면 이전회차랑 앞으로들을 수업영상도 받을수 있나요?
-
플래너쓰고 잔다 0
오르비를끊던가해야지!!
-
장소퀴즈 16
나라+도시 둘 다 맞춰야 함
-
상식?퀴즈3 21
상식만으로 풀리긴?함 좀 오래 걸릴 뿐이지 경제러 제외하고 풀이까지 맞추면 만덕
-
자다가 깼군 10
다시 잔다
-
해야지 하아 정을선전 작년에 대비안했다가 뭔말인지 안읽혀서 망했다 이거야
-
충격 2
맨날 먹기만 하고 안움직였더니 방학동안 +7kg.. 몸무게 앞자리 바뀔 위기다
-
신문왕이 녹읍을 폐지하는 대신 준 것은?
-
시대 수학 단과 다녀서 마더텅이랑 시대 기출 가지고 있습니다 수업과 별개로 기출을...
-
맞추면 천덕
-
밤 9시~11시에 엄청 졸리고 12시쯤에 자려고 하는데 1시 반까지 잠이 안오고...
-
상식퀴즈 12
1+1=
-
라유라유퀴즈 2
라유의 레어는 200개를 넘은 적이 있다 ox
-
신설이라 학부 전체가 새터 안 간다고 하네요;; 이런 경우가 흔해요?? 주변에...
-
왜란 이후 일본이 조선이랑 다시 교류하기 위해 맺은 조약은?
-
나다가 울고싶을정도로 우울해지는군
-
주변에 머리 진짜 좋은 얘들 다 공대가서 공대가면 대기업 취업밖에 길이 없음......
-
세지 상식퀴즈 1
음
-
ㅇㅈ 5
깁스 인증.
-
안녕히,
-
6평보고 싸하면 사문 한지 lets go
-
상식퀴즈 5
어쨋든 상식퀴즈
-
상식퀴즈2 5
사실 이건 상식까지는 아님 그래도 경제몰라도 풀 수 있음
-
탈출가능...맞팔 할사람....
-
똥테 가기 싫어 7
못생겼음
-
새벽 맞팔9 4
똥테 탈출하기
-
나도 갓생살아서 하루 2끼먹고싶다
-
상식퀴즈 17
상식퀴즈맞음
-
나도 써줭 11
-
맞팔구 8
라고 올리면 된다는데 이거맞나요!!
-
이미지 써주세요 12
-
음료 두캔으로 두통비스무리한게..
-
이미지 써주세요 34
-
다들그러지않나
좋은 책 쓰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한번도 뵌적은 없으나 언어영역을 지도하는 한 사람으로서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고구마님 안그래도 오르비에서 좋은 글 많이 올려주신 것을 보았습니다. 이렇게 제 책을 추천해 주시니 영광입니다 ^^
외길님 이전 출제자처럼 분석하는법 사려다가 개정판 나온다길래 기다리고 어제 바로 샀습니다
수능날 멘붕한 언어에 힘이 되어주길 기대합니다 ㅠㅠ
네 화이팅 입니다 ^^
추경문 선생님께서도 이 방법으로 비문학 가르치시던데요 선지에서 몇문단에 내용있고 가령 옳지않은 것은 주어부분은 3문단인데 서술부는 5문단이라 틀리고 이렇게요
아 그렇군요 ㅋㅋ 추경문 선생님의 강의는 들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ㅠㅋ
김동욱샘이랑 약간 다른 방법인듯...?
네 제가 김동욱 선생님의 강의는 들어본적이 없지만 오르비 유저분들의 이야기를 들
어보니 다른 방법인 것은 맞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