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루 지문 이해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13599
2009년 6월(시행일 2008년 6월 4일) 모의평가
신기루 지문인데요..
2문단 중간쯤에 보면..
"그러나 그 빛의 일부는 아래로 가다가 밀도가 큰 공기층을 지나며 계속 굴절되어 다시 위로 올라가고, ..."
이런 문장이 있는데요..
저는 2문단 앞쪽에 보면 지표면이 그 위층의 공기보다 더 쉽게 뜨거워지므로
더 따뜻한 공기층이므로 밀도가 작고,
그 위층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더 차가운 공기층이므로 밀도가 크다고 생각하면,
윗부분에서 직진한 빛 외에 다른 일부는 밀도가 큰 공기층을 지나며 계속 굴절되는 것이 아니라
밀도가 큰 윗부분에서 출발하여 밀도가 작은 공기층을 만나 굴절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요..
지문을 완벽히 이해하고 싶은데 여기서 막혀버리네요ㅠ 도와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회고록 작가라는, 내키지 않는 타이틀나는 탐사 보도 저널리스트로서 북한에 잠입한...
-
[사회] 혼자 있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특히 요즘 세상에는 2
혼자 있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특히 요즘 세상에는by Scott Campbell스콧...
-
사색의 종말by Teddy Wayne테디 웨인의 다음 소설, "Loner"는 9월에...
-
아침밥은 안 먹어도 됩니다by Aaron E. Carroll아론 캐롤은 인디아나...
-
대체 전문가들이 아는 것이 있기는 한가?by Justin Fox저스틴 폭스는 경영...
-
[정치] 영국의 EU 탈퇴로 유럽이 약해질 위험에 처했다 9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과학] 이것이 공룡이 멸종하던 날 지구의 모습이다 5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과학] 자연주의가 몰고온, 화학물질에 대한 비이성적인 공포 5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사회] 친구와 가족에게 돈을 빌려줄 때 주의할 5가지 법칙 1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과학] 우린 아마 선진문명의 게임 캐릭터에 불과할 것이라는 엘론 머스크의 믿음 20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경제] 어떻게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뱅이는 더 가난해졌는지 만화로 알려줄게요 4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과학] 의사들이 두려워했던 슈퍼박테리아가 마침내 미국에 나타났다 10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정치] 왜 고학력 미국인들은 진보주의자가 되어가나 27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르포] 아들에게 에이즈를 주사한 아버지, 그리고 살아남은 아들의 이야기 3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사회] 여성향 TV 프로그램에 평점 테러를 가하는 남자들 106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
[과학] 물컵 속의 물이 태양보다 나이가 더 많을지도 모른다 19
Inspiration & Insight 는 일정 주기로 영감과 통찰을 주는 기사를...
밀도, 온도 차이는 연속적입니다
빛이 진행하면서 계속 온도와 밀도가 바뀌는것이므로
계속 굴절하는 것입니다
님께서 생각한것은
예를들어 밀도가 1인 공기층과 4인 공기층이
두개가 맞붙어 있다고 생각하신거 같은데
그게아니라 이동하면서 밀도가 4 3 2 1 이런식으로 바뀌는 거에요
모바일이라설명이 좀 이상하지만
도움되셨으면 좋겟네요
아 글쿤요..그럼 좀이해가 되는듯하네요
그런데 밀도가 큰 공기층을 지난다는건 아직 잘모르겟네요..
지표면부분으로 갈수록 밀도가 작아지면
밀도가 작은 공기층을 지나 계속 굴절되는게 아닐까요?..
문과이시죠?
개인적 의견으로는 이 지문은 조금의 과학적
배경지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그 배경지식이 고1과학이면 충분합니다
밀도가 큰 쪽으로 굴절 한다는 사실은 3문단에 나와있지만,
2문단 읽을 때에는 알 수 없죠.
이런 경우에는 '밀도가 큰 공기층을 지나며 계속 굴절되어 다시 위로 올라가며'에서
아항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주시면 됩니다
네문과에요
이제야 알겟네요ㅎ
감사해요
저도 문과인데요..
과학지식 없이도, 즉 밀도랑 굴절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지 못해도, 지문에 표면적으로 나와 있는 정보만 '확인'해도 풀 수 있는 문제였던것 같습니다. 추론 등에 과학지식이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묻지는 않는것 같네요.
근데 신기루 첫번째 문제.. '부근에 대상이 있어야 한다' 이해 안되네요, 개인적으론.
부근이란 결국 근처라는 건데, 지문 내용만으로는 (가상적으로) 아주 먼 곳에 있는 물체의 상이 굴절에 굴절을 거쳐 보이는 지점에 도달했을 수도 있잖아요. 예를 들어 '먼 거리까지 빛이 굴절되어 도달하는 일은 힘들다' 라는 식의 말이 나와 있지 않잖아요.. 즉 원 대상의 위치를 '부근'으로 한정할 만한 근거가 지문에 없는것 같은데.. 차라리 '신기루는 대상이 실재해야 발생한다'라는 정도면 몰라도..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