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2에 대해 과장된 측면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743618
[1] 표본
일단 물리 자체에 대해 선입견이 견고한데다가 16 수능 2등급 블랭크 사건의 임팩트가 매우 크다보니 물리2 표본이 미쳐 날뛴다는 생각이 퍼져있는듯합니다
하지만 17~20 수능의 경우 컷을 보면 미쳐날뛴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나름 물리2 입시 지박령으로로서 물리2의 변천사를 봐온 입장에서,
17 수능은 생각보다 높게 나오기는 했습니다. 그래도 47을 예상했었으니..
18, 20 수능은 딱 난이도 대로 나왔다고 생각하고 19수능은 1컷 50이 나올만한 시험이었습니다.
그래서 17수능 1컷 48을 보고 표본이 고이기 시작했나라고 생각했었지만, 18~20수능을 보면 다른 2과목에 비해 고였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습니다.
[2] 스킬
일단 물리라는 과목 특성상 간결하고 세련된 풀이를 모든 사람들이 지향하고, 그로 인해 수많은 스킬들이 나왔죠
특히 18 평가원부터 충돌과 열수철 난이도와 계산량이 많아지면서 이를 빠르게 풀어내는 스킬에 많은 관심이 쏠렸고 그 과정에서 현강이 각광을 받았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도 충돌과 열수철을 시험장에서 쌩정석으로 풀 경우 침착하게 멘탈을 유지하며 답을 낼 수험생들이 많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물리2의 경우 시험장에서 한번 풀이가 안보이면 시험장에서는 아무리봐도 안풀리는 경우가 많아서 하나의 풀이가 막히면 다른 풀이를 도입하는게 꽤 유효했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러한 문제는 시험지 전체에서 딱 1문제밖에 없는데다가, 평가원도 그걸 알기때문에
2점 역배점으로 출제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만점은 몰라도 1등급이 목표면 스킬이란 건 꽤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더 중요한게, 이전에 이미 글을 썼듯이 15 물2의 경우 스킬의 중요성이 줄어들었습니다
물2에서 메인 킬러로 나올만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돌림힘(역학적 평형)
2차원 등가속도 운동과 포물선 운동
2차원 역학적 에너지 보존
직류 회로와 트랜지스터
추가로 매우 넓게 범위를 잡으면 서브 및 융합 소재로
등속원운동
케플러 운동
전기장 융합
전류에 의한 자기장 퍼즐 유형
상호 유도(변압기)
도플러 효과
물질파 융합
광전 효과 퍼즐 유형
서브는 사실 09와 크게 달라진게 없고 메인 킬러가 중요한데
돌림힘 : 물1에서 올라온 주제라 스킬이 공개되어 있고 컨텐츠도 많음
포물선 : 전통적인 킬러 주제라 많은 스킬이 공개되어 있음(중력 무시, 축돌리기, 평균 속도, 변위 벡터, 평균 접선기울기)
여기서 가장 많이 쓰이는 평균 속도나 중력 무시만 해도 사실 충분하고, 아무리 많아도 변위 벡터나 변위 탄젠트(기울기)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보다 효율적인 풀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굉장히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서 이미 알려져있는 스킬로 충분합니다.
대칭성은 스킬이라고 하기 그러하니..
직류 회로 : 수능 수준 회로에서 스킬이 상대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지 않음 키르히호프는 기본이니..
역학적 에너지 : 포물선 운동 조건만 다르게 주는 것임
트랜지스터는 바이어스 전압 정량 계산이 킬러를 만들 방법인데 교과 과정에 제약 조건이 너무 많고 설령 킬러가 되더라도 직류 회로와 마찬가지로 스킬과는 무관한 주제입니다
2차원 등가속도 운동은 그냥 09 로렌츠 너프 버전에 불과하죠
스킬이 중요했던 열수철, 충돌이 빠졌고 로렌츠는 너프 먹었으며 개념 자체에 난이도가 있던 교류도 빠지면서 15물2는 09물2보다 스킬의 중요성은 크게 줄어듦
결론적으로 현강을 들어야만 하는 과목이라는 건 매우 과장된 결론이라고 생각합니다
[3] 사실 굉장히 많은 수험생들을 봤는데, 1등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 실수와 낯선 준킬러에 대한 대처, 그리고 식정리라고 봅니다
실수는... 일단 문제 풀면서 본인이 가장 크게 의식해야하고 어떤 실수를 했는지 정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낯선 준킬러는 이게 물리2의 경우 풀이 방향이 안보이면 그대로 머리가 하얘져서 그대로 시험을 꼴아박는 경우를 생각보다 많이 봤습니다
일단 넘어가고 나중에 돌아오면 풀이가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거기서 계속 미련잡고 있으면 시험 전체를 망하기때문에 후반부 가면 이런 연습도 해야한다고 봅니다. 양치기도 중요하고요
작년 수능의 경우 17번이 이런 역할을 했죠
식정리는 물2 특성상 문자와 비례식을 이용할 일이 많은데 이 과정에서 필요없는 식을 쓰거나 변수를 사용해서 빙빙 돌아가는 경우를 생각보다 많이 봤습니다. 특히 포물선에서요
이건 스킬이 아니라 오히려 정석으로 풀면서 감을 익혀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컨텐츠는 솔직히 올해 어떻게 되려나 모르겠네요
물리는 3과 연관지어서 양치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많은 컨텐츠가 나오길 기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모 강남8학군 과년도 내신기출 변형 최초 정답자, 오류 있을시 제보자 2000덕...
-
닉변햇습니다 0
전닉은 My Love입니다
-
ㄹㅇ
-
실모보다 교사경을 추천하는 이유(유대종 과거사진 포함) 9
1. 싸다 실모하나당 거의 만원정도 하는데 교사경은 프린트 딸깍이면 풀 수 있다....
-
실모 칠때마다 언문독 하면 더 운영 잘될거같던데
-
내일 할 일 0
나가서 사람 오랜만에 만났다가 집와서 니노짤 완성하기. 원작 니노랑 너무 다르게 그렸어...
-
오르비언들아 12
잘있어
-
국어 시간관리 1
작수 국어 4등급 재수생입니다. 지금까지 실모보면 전부 다 풀어버리겠다는 마인드로...
-
작년 이때쯤부터 수능때까지 보이던 고닉들이 안보임 물갈이 된건가
-
안녕히계세요 23
바이
-
수학 푸는데 엄빠 싸우고 영어듣기때 뉴스 다 들리더라
-
접어
-
국 81 수 68 영 3 세지 47 사문 45 몇정도 뜸?
-
확통 84 2
5덮 획통 84면 보정기준 백분위 몇일까요??? 다 공통틀입니다
-
안녕하세요..ㅠ 지금 고3이고 현재 국영수사과 내신 1.68입니다… 문과이고...
-
ㅈㄱㄴ
-
군수하고 있는중이고 내년까지 수능볼거라 올해는 수학과탐 위주로 하는중입니다...
-
좆되는데 진짜
-
심심해서 등급컷 보고있었는데 지2 1 2 컷이 왜이렇게 낮은건가요??
-
다시 칼럼을 쓰는 이유처음에는 꾸준히 칼럼을 썼지만, 최근에는 쉬었습니다. 그...
-
5덮 3
언매 96 미적 86 물1 40 지1 34 무보정 몇 뜰까요 ㅠㅠ 5월더프 더프 덮
-
5덮 수학 6
통통이 3컷이 어느 정도일까요?
-
너무 많이 시간 쓰나? 다 맞긴햇어요
-
나중에 쉬는 날에 각잡고 만들어야겠네 이건 어렵다
-
깨져ㅆ다 9
미적 1컷 -> 백분위 98,99로 올랐다 왜 오른건진 모르겠지만 이겼다 난 자신...
-
김승모도 풀고 매월승리도 풀고 기출도 풀고 Tim도 풀고 교사경도 풀고 국어 1~2 가즈아
-
지금 거꾸로 입엇다는건 아닌데 예전에 저랬던적이 있어서 어떻게해야할지 궁금햇음
-
확인완뇨 7
김승모 내가 해설해야겠구만
-
이사람들이진짜 2
Mh세대아니랄까봐
-
칼럼) 가장 단 기간에 국어 성적 상승 시키는 비결(요약본도 곧 올림 메인갈시 추가로 씀) 6
"메인 보내주시면 상세 설명+시간관리도 쓰겠습니다." 일단 제가 초창기에는 칼럼을...
-
제가 지금 신택스 듣고있는데요. 신택스 드가기전 커리가 일리잖아여. 근데 일리는...
-
언매 97(백분위98) 전교 32등 확통 73(백분위91) 전교 155등 사문...
-
요아정이 ㅋㅋ
-
이 짓거릴 4년씩이나 하고 있네 올핸 꼭 손 털어야지
-
5덮 수학 0
통통이인데 68이면 무보로 몇 나와요? 6모 때까지 3등급 안으로 들어가고 싶은데..
-
근데 님들아 팬티 거꾸로 입은걸 입은지 6시간 넘어서 발견햇음 21
그러면 다시 뒤집어 입을거임?? 이미 장시간 쓴 상태에서 뒤집어 버리면 내 똥꼬랑...
-
4덮 vs 5덮 4
수학 5덮이 더 어렵나요?
-
의치한약수, 계약학과 or 서울대 카이스트 제외 옛날에야 명문대 나왔다 하면 적어도...
-
화장실임
-
물1 질문 4
자기력 작용 방향이 N에서 S니까 자기장 방향이 연직 위라고 해야하는게 아닌가요??...
-
사실 문디컬은 꿈이고. 의치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고 경한이 안된다면 가천한부터...
-
기하특 2
여전히3년째 뉴런이 바뀌지않음
-
5덮 확통 30번 14
43나왔는데 밥먹고다시푸니까 5나옴 걍
-
오노추 6
⭐️
-
미적을해야하는이유!¡!!!!¡!!!!!!!¡!!!!!!!!!!!!!!!!¡!!! 10
미적하면 수1수2 다 댐
-
내 옆 짝궁은 학평에서 국어 하나라도 틀리면 집에가서 엉엉 운대
-
한지세지 통수 걱정이면 한지 하는게 맞음??????@@@@ 0
솔직히 통사해봤을 때 세지가 쉽다고 느꼈음 근데 작수 킬러가 한지는 추론으로 나오고...
-
표점높음
-
제가 화작을 풀때 너무 시간 줄이겟다는 생각만 해서 그런가 첫지문 기준 풀기 전...
-
핏자데워먹어야지 16
캬캬캬캬캬캬캬캬캬
컨텐츠가 너무 없는듯ㅜ
그건 맞아요 ㅠㅜ 많은 컨텐츠가 나오길 기원합니다
물2 홍보 많이많이 퍼지면 좋겠네요 ㅋㅋㅋ

솔직히 물투 악명이 높아서 그렇지 해볼만 해요 진짜
ㅇㅈ 또 ㅇㅈ입니다악명높은 물2 제가직접 해보겠습니다!

물2러는 사랑입니다
열수철 이제 물1러도 해요가능성은 꽤 낮으니 걱정하지 마용
탄성계수쪽과 열역학 쪽 모두 교과 과정이 애매해서 저는 힘들다고 보기는 해요. 설령 출제된다고 해도 P-V 그래프도 주고 내부에너지도 주는 간단한 형태가 아닐까 생각중입니다

올해 물2 갑니다
모든 물2러의 대박 기원합니다
조와요적성만 잘맞으면 충분히 해볼만한 과목이죠. 물론 안맞으면 끝까지 맞추기 힘들지만요.
그건 맞아요. 물리라는 과목이 수학과 유사하게 진입 장벽이 높다는 특징이 있죠. 그래서 (1) 나는 서울대를 가야만 한다 (2) 물1에서 상황을 보고 조건을 뽑아낸후 식을 정리하는 과정을 잘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부담을 느끼지 않았다. 이 둘을 만족한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1컷 50이면 1등급이 목표인거나 만점이 목표인거나 거의 같은거 아닌가요
18~20 물2 1컷은 45 50 47 이었어요
또한 1컷 50이 뜬 시험이면 스킬의 의미가 없을정도로 쉬운 시험이라 같은 논리가 적용될 것 같습니다
그렇군요
물리2를 하려면 물리1은 어느정도로 해야하나요?
윗 댓글에 말씀하신 식 작성?하는 정도?인가요
모 강사 오티보면 물1 몰라도 될 정도라 연계되는 부분은 빠르게 넘어간다~ 이러시던데
(그 말은 물1을 어느정도 해야된다는 거겠지만요...)
2과목은 생판 처음이라 선택 시에 참고하고 싶습니다..!
1단원에서 등가속도 운동/뉴턴의 운동 법칙/힘의 평형/여러가지 힘의 개념/ 일과 에너지/역학적 에너지 보존과 손실 2단원에서 pn 다이오드 정도만 보시고 바로 물2 오셔도 됩니다
물1 기출을 풀어보실 필요는 없고 개념만 보고 물2 시작하셔도 됩니다
솔직히 물2 포기할만합니다! 저부터 포기하겠습니다 ㅋㅋ
비보존력 이용하는 문제 나올까요??
수특에 마찰력과 일당량 섞은 문제가 있기는 한데, 기본적으로 물1 주제라서 직접적 출제는 힘들다고 봅니다
도움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6평 이후에 물2하기에는 늦었나요? 현재 생1에서 물리1로 바꾸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