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시옷시옷 [335159] · 쪽지

2012-02-13 20:23:43
조회수 2,293

연고상경에 비해 설사범은 cpa, 취직말고 또 불리한점이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60981

행시직, 로스쿨, 교수진출에서는 후자가 압승인가요?

게다가 설사범이 상경쪽 복전을 한다면 취직에서 그래도 많이 불리하나요?

비상경계열인 학원가, 출판사 등등에서는 취직에서도 설사범인가요?

객관적인 사회적 인식에서는 어디가 앞서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임진아 · 366924 · 12/02/13 20:25 · MS 2017

    행시나 cpa같은 건
    개인차라 모르겠는데
    로스쿨은 자교생들을 많이 뽑는다고 들은
    것 같아요.

  • 27149 · 389943 · 12/02/13 20:32 · MS 2011

    연고상경이 어떻게 cpa에서 설사범보다 유리하나요? 준비과정이야 전자가 쉽겠지만 붙은 이후는 간판입니다. 물론 연고 상경으로도 4대 법인 가기는 충분합니다.

  • 폭풍시옷시옷 · 335159 · 12/02/13 20:32

    그런가요.. 몰랐음,, 외국교떨어지고 멘탈승리해보고싶어서 올린글인데 객관적으로 설사범>연고상경인가요 ㅠㅠ
    아 진짜 집 방배역 바로앞인데 제일가까운 서울대를 왜 가지를 못해 왜! 고대 1시간 30분걸린다 으악 운ㅋ지

  • 곶곶곶곶아라니 · 344091 · 12/02/13 20:47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나는엄청쎄다 · 393089 · 12/02/13 20:48 · MS 2011

    일단 외국계ib입사의 경우는 상경계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cpa야 과 불문하고 하도 많이 하지만 상경계가 타과에비해 합격자 수도 많은건 사실이에요. 사범대 가셨으면 똑같은 직장을 갖기 위해서 몇배로 노력해야합니다. 나름 자기가 원하지 않던 전공이라면 그에따른 자격지심도 존재할수있구요. 현재 진학한 학교가 고대상경계라면 학벌로 크게 손해볼일 없습니다.
    단순히 서울대에 걸쳐라도 볼까란 생각으로 사범을 쓰신거라면 진학후에도 후회하실수 있으니...

  • 폭풍시옷시옷 · 335159 · 12/02/13 21:01

    꿈이 대기업입사가 아니라서요 진학못해서 후회되네요 ㅠㅠ 게다가 은행 이런덴 고대상경보단 설사범, 인문이 더많더라구요 ㅠㅠ

  • 자이언트팬더 · 195528 · 12/02/13 22:15 · MS 2007

    엥? 무슨 고대 상경계열에서 은행권 가는 사람이 설사범 인문보다 적나요? 물론 예전에야 서울대 인문 갈 사람이 한 과목 망하면 고대 상대를 갈 정도로 입결 차이가 컸지만... 그정도는 아닐텐데... 고대 은행계 인맥 좀 쩌는데... 4대 은행 중에 3개사 대빵이 고대 출신이잖아요. 하나은행 김승유(지금 물러났지만...), 국민은행 어윤대, 우리은행 이필상...

    그리고 은행이나 기업 등등에서 재무-회계쪽 직렬같이 인원수가 많은 직렬을 뽑을때는 아예 '상경계열 전공자'라고 자격을 못박아두고 있기 때문에 다른 계열 전공자는 원서 자체도 못 내 봅니다. 한국은행 금감원 같은 공기업도 아예 시험과목이 경영, 경제, 법 같은 과목밖에 없구요. 제 말이 안 믿기면 대학에 무수히 붙어있는 취업 안내 포스터에서 한 번 모집 인원과 해당 전공을 보세요.

    그리고 서울대의 메리트 중 하나는 자유로운 전과 제도라는데, 사범은 전과 안 되는 거 아시죠? 그리고 일단 기본으로 들어야 되는 과목이 많으니 복수전공을 하는 것도 쉽지가 않을 듯...

  • 폭풍시옷시옷 · 335159 · 12/02/13 22:17

    저번 디시 사갤에서 본 바로는 설대 사범이나 설 독문 불문 지원자들이 상당히 붙엇던대요;; 실제로 설경사자는 거의없구요.. 아닌가요 ?

  • 나는엄청쎄다 · 393089 · 12/02/13 23:15 · MS 2011

    원래 설경사, 연고경등 상경계에선 시중은행안갑니다.
    시중은행은 전공무관으로 뽑기때문에 취업 잘 안되는 과에서도 스펙좋은 사람들은 많이가요. 학벌이 중요하단건 이런 일반 시중은행이고, 가면 영업압박도 크기때문에 실제 상경계에선 금융권 메이져공기업이나 외국계ib, 컨설팅펌등 경영학회등 커리어 통해서 진출해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인문가도 낫다고 하는건 경영대가 아님으로써 받는 불이익을 극복했을때 연고상경이랑 맞짱뜰만하다는거지. 보편적인 상경계학생의 진로와 인문계열 학생의 평균적 진로를 놓고 보면 확실히 왜 사람들이 상경계를 선호하는지 압니다.

  • 우루우루 · 251027 · 12/02/13 23:35 · MS 2018

    복전은 just 복전생일뿐 ㅋㅋ 취직노력의 일환이겠죠 사범대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주진 않습니다. 학원가는 실력의 세계입니다. 잘가르치면 설사범이던 연경이던 뜨고 돈 잘법니다. 취직하면 사범대인데 왜 교사안하고 취직하려하는가 물어봅니다. 취직해서 다니다가 교사로 빠지는 경우가 많아서 기업에서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 단대입니다.